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식물명 상기생(桑寄生)의 분류학적 실체 = Taxonomic identity of the plant name Sanggisae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98148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eferences in the modern Korean literature in this area to the Korean medicinal plant name written in Chinese script and expressed as Sanggisaeng have been extremely confusing. This name has been considered as six species, specifically Loranthus parasiticus, Loranthus tanakae, Taxillus yadoriki, Taxillus chinensis, Korthalsella japonica, and Viscum album var. coloratum. Recently, it was suggested that sanggisaeng is not distributed in Korea; however, the plant name Sanggisaeng recorded in old Korean literature sources, such as in the Hyang-yak-chae- chwi-wol-lyeong, Hyang-yak-jib-seong-bang, and Dong-ui-bo-gam sources, among others, was identified using the name V. album var. coloratum, whereas in China, Sanggisaeng was referred to as T. sutchuenensis. The Hangeul name of Sanggisaeng had been Ppongnamugyeousali, but now the name Gyeousali is widely used.
      번역하기

      References in the modern Korean literature in this area to the Korean medicinal plant name written in Chinese script and expressed as Sanggisaeng have been extremely confusing. This name has been considered as six species, specifically Loranthus paras...

      References in the modern Korean literature in this area to the Korean medicinal plant name written in Chinese script and expressed as Sanggisaeng have been extremely confusing. This name has been considered as six species, specifically Loranthus parasiticus, Loranthus tanakae, Taxillus yadoriki, Taxillus chinensis, Korthalsella japonica, and Viscum album var. coloratum. Recently, it was suggested that sanggisaeng is not distributed in Korea; however, the plant name Sanggisaeng recorded in old Korean literature sources, such as in the Hyang-yak-chae- chwi-wol-lyeong, Hyang-yak-jib-seong-bang, and Dong-ui-bo-gam sources, among others, was identified using the name V. album var. coloratum, whereas in China, Sanggisaeng was referred to as T. sutchuenensis. The Hangeul name of Sanggisaeng had been Ppongnamugyeousali, but now the name Gyeousali is widely us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향약채취월령』과 『동의보감』을 비롯한 우리나라 옛 문헌에 나오는 식물명 상기생(桑寄生)은 지금까 지 뽕나무겨우살이(Loranthus parasiticus), 꼬리겨우살이(Loranthus tanakae), 참나무겨우살이(Taxillus yadoriki), 뽕 나무겨우살이(Taxillus chinensis), 동백나무겨우살이(Korthalsella japonica), 그리고 겨우살이(Viscum album var. coloratum)로 알려져 왔다. 최근에는 상기생(桑寄生)이 국내에는 분포하지 않는다는 주장도 제기되었으 나, 옛 문헌에 기록된 상기생은 중국에서 부르는 상기생, 즉 Taxillus sutchuenensis과는 다른 겨우살이(V. album var. coloratum)임이 확인되었다. 상기생을 뽕나무겨우살이라고 불렀으나, 최근에는 겨우살이로 부르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번역하기

      『향약채취월령』과 『동의보감』을 비롯한 우리나라 옛 문헌에 나오는 식물명 상기생(桑寄生)은 지금까 지 뽕나무겨우살이(Loranthus parasiticus), 꼬리겨우살이(Loranthus tanakae), 참나무겨우살이...

      『향약채취월령』과 『동의보감』을 비롯한 우리나라 옛 문헌에 나오는 식물명 상기생(桑寄生)은 지금까 지 뽕나무겨우살이(Loranthus parasiticus), 꼬리겨우살이(Loranthus tanakae), 참나무겨우살이(Taxillus yadoriki), 뽕 나무겨우살이(Taxillus chinensis), 동백나무겨우살이(Korthalsella japonica), 그리고 겨우살이(Viscum album var. coloratum)로 알려져 왔다. 최근에는 상기생(桑寄生)이 국내에는 분포하지 않는다는 주장도 제기되었으 나, 옛 문헌에 기록된 상기생은 중국에서 부르는 상기생, 즉 Taxillus sutchuenensis과는 다른 겨우살이(V. album var. coloratum)임이 확인되었다. 상기생을 뽕나무겨우살이라고 불렀으나, 최근에는 겨우살이로 부르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수광, "희귀식물 꼬리겨우살이의 분포와 생태적 특성 및 보전지위 평가" 한국산림과학회 102 (102): 428-436, 2013

      2 장인수, "최근 독성 문제가 제기된 한약재에 대한 고찰" 대한한의학회 28 (28): 1-10, 2007

      3 신현철, "다시 진교(秦艽)를 찾아서" 한국식물분류학회 47 (47): 328-335, 2017

      4 이보덕, "겨우살이의 서식지생태환경과 기주식물" 한국자원식물학회 22 (22): 389-393, 2009

      5 김중권, "鄕藥集成方의 引用文獻 分析" 한국서지학회 (35) : 183-229, 2006

      6 김지권, "茵蔯, 鬱金, 桑寄生, 瓦松이 HepG2 cell의 혈관생성인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방내과학회 28 (28): 149-165, 2007

      7 Park, S. J., "Trees in the Palace" Nulwa 537-, 2014

      8 Sun, B. Y., "The Genera of Vascular Plants of Korea" Academy Publishing Co. 118-125, 2007

      9 Kim, Y. D., "The Genera of Vascular Plants of Korea" Academy Publishing Co. 653-655, 2007

      10 Kim, Y. D., "The Genera of Vascular Plants of Korea" Academy Publishing Co. 656-657, 2007

      1 이수광, "희귀식물 꼬리겨우살이의 분포와 생태적 특성 및 보전지위 평가" 한국산림과학회 102 (102): 428-436, 2013

      2 장인수, "최근 독성 문제가 제기된 한약재에 대한 고찰" 대한한의학회 28 (28): 1-10, 2007

      3 신현철, "다시 진교(秦艽)를 찾아서" 한국식물분류학회 47 (47): 328-335, 2017

      4 이보덕, "겨우살이의 서식지생태환경과 기주식물" 한국자원식물학회 22 (22): 389-393, 2009

      5 김중권, "鄕藥集成方의 引用文獻 分析" 한국서지학회 (35) : 183-229, 2006

      6 김지권, "茵蔯, 鬱金, 桑寄生, 瓦松이 HepG2 cell의 혈관생성인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방내과학회 28 (28): 149-165, 2007

      7 Park, S. J., "Trees in the Palace" Nulwa 537-, 2014

      8 Sun, B. Y., "The Genera of Vascular Plants of Korea" Academy Publishing Co. 118-125, 2007

      9 Kim, Y. D., "The Genera of Vascular Plants of Korea" Academy Publishing Co. 653-655, 2007

      10 Kim, Y. D., "The Genera of Vascular Plants of Korea" Academy Publishing Co. 656-657, 2007

      11 Park, J.-H., "Pharmacognostical studies on the Chinese crude drug “Sang Ki Saeng”" 24 : 54-60, 1990

      12 "New Translation of Dongui Bogam (Principles and Practice of Eastern Medicine) Tangaekpyeon (Remedies)" Buminmunhwasa 3987-, 2006

      13 김중선, "Monosodium iodoacetate로 유도된 골관절염 동물모델에서 상기생 물추출물의 효과" 대한본초학회 33 (33): 81-88, 2018

      14 Lee, S. I., "Literature review about Sanggisaing" 2 : 27-31, 1975

      15 Lee, W. T., "Lineamenta Florae Koreae" Academy Publishing Co. 1688-, 1996

      16 Shin, M. K., "Korean Translation Edition of Hyangyak jipseongbang " Youngrimsa 2086-, 1998

      17 Pan, B. J., "Illustrated Plants of Sijing" Sanghai Books Publisher 288-, 2003

      18 Ahn, D. K., "Hangeul Sinnongbonchogyung" Yisungdang 521-, 2012

      19 Ohba, H., "Flora of Japan, Vol. IIa" Kodansha 117-119, 2006

      20 Qiu, H., "Flora of China, Vol. 5. Ulmaceae through Basellaceae" Science Press, Beijing and Missouri Botanical Garden Press 220-239, 2003

      21 Im, R. J., "Flora Coreana, Vol. 5" The Science and Technology Publishing House 367-, 1998

      22 Chung, Y. W., "Dictionary of Chinese terms in Later Chosen Dynasty"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694-, 1997

      23 Lee, W. T., "Coloured Standard Illustrations of Korean Plants" Academy Publishing Co. 624-, 1996

      24 Shin, M. K., "Clinical Traditional Herbalogy" Youngrimsa 956-, 2015

      25 Chung, T. H., "Botanical Names of Joseon" Society of History of Joseon 222-, 1937

      26 Murata, S., "Botanical Dictionary of Korean and Manchuria" Mesirokaku Showing 778-, 1932

      27 Mori, T., "An Enumeration of Plants Hitherto Known from Corea" The Government of Chosen 624-, 1922

      28 김찬수, "A review of the taxonomic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mistletoe types (Viscum, Korthalsella, Loranthus and Taxillus)" 한국식물분류학회 43 (43): 81-89, 2013

      29 Roh, S.-S., "A philological study on poisoning of Taxillius Ramaulus" 35 : 39-42, 201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4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20-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후보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9-14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Plant Taxonomic Society Of Korea -> The Korean Society of Plant Taxonomists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3 0.23 0.2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7 0.43 0.521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