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쥐나 인간암 세포주에서 녹용 약침액이 세포군 형성능, 세포독성, 그리고 염색체 이상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1-10 ㎍/㎖ 농도 범위의 녹용약침은 생쥐의 섬유아세포인 NIH3T3세포, 인...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75066213
1999
Korean
476
학술저널
19-27(9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생쥐나 인간암 세포주에서 녹용 약침액이 세포군 형성능, 세포독성, 그리고 염색체 이상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1-10 ㎍/㎖ 농도 범위의 녹용약침은 생쥐의 섬유아세포인 NIH3T3세포, 인...
생쥐나 인간암 세포주에서 녹용 약침액이 세포군 형성능, 세포독성, 그리고 염색체 이상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1-10 ㎍/㎖ 농도 범위의 녹용약침은 생쥐의 섬유아세포인 NIH3T3세포, 인간의 자궁암세포인 HeLa 및 직장암 세포인 SW480세포에서 세포군 형성에 평균 4.75% 감소효과를 보였으나 세포독성은 유발하지 않았다. 이들 세포에 10 ㎍/㎖의 녹용약침과 0.5 ㎍/㎖의 mitomycin-C(MMC)를 함께 처리한 경우, 대조군에 비해 평균 25.66%의 약침의 세포군이 형성되었다. 5 ㎍/㎖과 10 ㎍/㎖의 녹용약침은 염색체 이상을 전혀 야기 시키지 않았으나 0.5 ㎍/㎖의 MMC는 세포당 4.1개의 염색체 이상을 유발하였다. 10 ㎍/㎖의 녹용약침은 0.5 ㎍/㎖의 MMC에 의해 유발된 염색체 이상을 약간 감소시켰다. 이와 같은 결과는 녹용약침이 DNA 상해요인에 의한 세포사를 지연시키고 세포 생존율을 증가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Nog-yong aqua-acupuncture solution (N) prepared from deer antler was tested in mouse (NIH3T3) and human (HeLa and SW480) cell lines to examine the effects on colony forming ability, cytotoxicity, and chromosome aberration. The colony forming abili...
The Nog-yong aqua-acupuncture solution (N) prepared from deer antler was tested in mouse (NIH3T3) and human (HeLa and SW480) cell lines to examine the effects on colony forming ability, cytotoxicity, and chromosome aberration. The colony forming ability of the cell lines was not affected by 1 to 10 ㎍/㎖ range of N solution. However, it seemed that the 10 ㎍/㎖ of N solution increased the colony forming ability to an average 25.66% in the cells treated with 0.5 ㎍/㎖ of MMC. In addition, the N exerted slightly the protective effect against the chromosome aberration induced by a DNA damaging agent, mitomycin-C. These results suggest that N solution can retard the cell death and enhance the cell survival from DNA damage.
일차 간세포배양을 이용한 녹용약침의 간세포독성에 대한 연구
MOLECULAR CLONING AND CHARACTERIZATION OF METHANOL DEHYDROGENASE GENE FROM METHYLOBACILLUS SP. SK1
폴리염화비닐 제품에서의 스케일 방지 및 세균의 생육 억제 효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