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국혼 등 왕실행사를 진행하면서 소요된 혹은 소요될 물품과 그 수량 등을 한글로 필사한 發記 719점이 장서각에 소장하고 있는데, 이 가운데 640점을 영인하여 古文書集成 권十二․...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745366
-
2015년
Korean
한글서예 ; Hangul Calligraphy ; Gungche ; Balgi ; Model for Gungche ; Byeong-in Balgi ; Im-oh Balgi ; 궁체 ; 한글발기 ; 궁체 흘림체 典型 ; 병인발기 ; 임오발기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조선시대 국혼 등 왕실행사를 진행하면서 소요된 혹은 소요될 물품과 그 수량 등을 한글로 필사한 發記 719점이 장서각에 소장하고 있는데, 이 가운데 640점을 영인하여 古文書集成 권十二․...
조선시대 국혼 등 왕실행사를 진행하면서 소요된 혹은 소요될 물품과 그 수량 등을 한글로 필사한 發記 719점이 장서각에 소장하고 있는데, 이 가운데 640점을 영인하여 古文書集成 권十二․十三을 통해 소개되었다.
이들의 정확한 제작․필사시기는 알 수 없으나 가장 많은 분량을 차지하는 壬午(1882년) 발기류 가운데 ‘임오-988’ 발기와 그보다 앞선 丙寅(1866년) 발기류 가운데 ‘병인-1732’ 발기의 서체를 비교 분석한 결과 點․畫, 자․모음의 結構에 따른 연결, 접필 등에서 오는 외형적 특징이 같았다.
궁체 흘림체로 필사된 두 발기의 특징은 子母字에서 橫모음의 기필은 모두 逆入하여 方劃을 구사하였으며, 縱모음은 露鋒으로 起筆하였다. 또한 橫모음 가로획은 長短의 변화가 심하였다. 초성 자음은 상하합자보다는 좌우합자에서 縱母音에 따라 형태변화를 주었으며, 轉折處는 轉이나 折을 자유로이 구사하였다.
音節字는 上下合字에서 子․母音의 結構를 연결하고 있으나 左右合字는 독립하여 결구하고 있다. 또한 한 문자 안에서 가볍게 연결하여 단정한 가운데 첫 기필부분이 크거나 한쪽으로 치우치기도 하지만 마지막 收筆 點畫이 그 문자의 上下 左右의 무게를 안배하여 굵기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균형감과 안정감을 주고 있다. 단지 ‘병인-1732’ 발기가 肥瘦의 차이가 적절하고 완만한 곡선 운행 등으로 공간을 확보하는 운필의 정교함과 종성과의 거리를 멀리하여 悠長함을 나타내어 궁체의 典型으로 제시하였다.
한글 발기의 한글서예사적 의의는 첫째, 궁체로 필사된 발기는 자모자의 용필 및 결구 등이 일정하다. 따라서 궁중에서는 하나의 모범서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행사에 참여한 궁중 여성 특히 나인들의 일상과 직위 이름 등을 확인할 수 있어 궁중 여인들의 생활상을 탐색할 수 있다.
셋째, ‘조선시대에 궁녀들이 쓰던 한글의 글씨체’라는 궁체의 사전적 의미는 여기에서 비롯되었다고 할 수 있다.
넷째, 한글 발기에 필사된 궁체는 균형감과 안정감을 주는 운필의 정교함은 물론이고 특히 흘림체는 悠長한 아름다움으로 경제성 및 가독성과 함께 감상성이 좋은 서체이다. 그러므로 한글 발기는 한글서예의 모범서가 되기에 충분하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Jangseogak library, there are 719 pieces of Balgi that is a record written in Hangeul presenting the supplied or needed to be supplied items and their quantity for royal event in Joseon dynasty such as a royal marriage. Of them, 640 pieces are intr...
In Jangseogak library, there are 719 pieces of Balgi that is a record written in Hangeul presenting the supplied or needed to be supplied items and their quantity for royal event in Joseon dynasty such as a royal marriage. Of them, 640 pieces are introduced through volume 12 and 13 of A Collection of Ancient Documents (古文書集成) by copying the original in photograph to print out.
Despite the hardship of figuring out the exact time of production, there has been found the exterior similarity in the way of putting dots and lines, the structure of consonant and vowel, and the attachment of dots and lines or consonant and vowel after analyzing the calligraphy of Im-oh 988 Balgi in the Balgi of year Imoh (Year 1882) which accounts for the largest quantity and Byeong-In 1732 Balgi in the Balgi of year Byeongin (Year 1866) which is the former than Im-oh Balgi.
As for the features of those two records written in cursive type of Gungche, firstly in phonemic writing, every horizontal letter was written in reverse to fit in the square frame of each character and the vertical was written by erecting the writing brush to lay the trace of the brush. In addition, there are considerable variations of length in the horizontal stokes. The initial phoneme of consonant was varied by final vowel comb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