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평생학습도시 네트워크의 특성과 구조변수의 영향 = An Analysis on the Network Characteristics and the Influences of Structural Variables on the Collaborative Network in A Learning C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58527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variables influencing the formation and maintenance of the network in A Korean learning city. For this purpose, network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166 institutes participating lifelong learning network in A city. Social network analysis was used for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network and structural variable, especially centrality, structural hole, and ERGM (Exponential Random Graph Model).
      Through these analyse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 showed that both centrality and structural hole were the characteristics of network in A learning city. Therefore, some of the institutes were leading nods and some of the institutes were connected indirectly. Second, the result showed that the coefficients reciprocity variabl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more influential positively than other variables. Also transitivity, structural hole, and spreading pattern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influential positively. Third, popularity and arc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influential negatively. On the bases of these findings, suggestions were discussed.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variables influencing the formation and maintenance of the network in A Korean learning city. For this purpose, network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166 institutes participating lifelong lea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variables influencing the formation and maintenance of the network in A Korean learning city. For this purpose, network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166 institutes participating lifelong learning network in A city. Social network analysis was used for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network and structural variable, especially centrality, structural hole, and ERGM (Exponential Random Graph Model).
      Through these analyse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 showed that both centrality and structural hole were the characteristics of network in A learning city. Therefore, some of the institutes were leading nods and some of the institutes were connected indirectly. Second, the result showed that the coefficients reciprocity variabl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more influential positively than other variables. Also transitivity, structural hole, and spreading pattern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influential positively. Third, popularity and arc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influential negatively. On the bases of these findings, suggestions were discuss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지역 평생교육 활성화의 일환으로 추진된 평생학습도시의 평생교육기관 및 유관기관 네트워크에서 선호되는 네트워크 구조변수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연구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A 평생학습도시의 기관 간 네트워크 참여기관 간의 연결망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166개 기관의 연결망 자료가 수집되었고, 연결망의 특성과 구조변수의 영향을 검증하기 위한 사회연결망 분석이 실시되었다. 분석결과 및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A 평생학습도시 네트워크는 네트워크 참여 기관 간의 연결망이 다양하게 구축되어 있고, 특정 기관의 경우 상대적이기는 하지만 연결중심성과 구조적 공백이 동시에 존재하는 특징을 보였다. 둘째, 구조변수 중 호혜성은 A 평생학습도시 네트워크가 형성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으며, 인기도나 확산경향을 통제변수로 투입하였어도 유의미한 영향이 발견되었다. 구조변수 중 간접관계효과, 이행성, 인기도도 A 평생학습도시 네트워크의 형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다. 반면에 단방향 의존성과 확산경향은 A 평생학습도시 네트워크의 형성에 부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분석결과에 대한 논의 및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지역 평생교육 활성화의 일환으로 추진된 평생학습도시의 평생교육기관 및 유관기관 네트워크에서 선호되는 네트워크 구조변수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연구목적으로 하였...

      본 연구는 지역 평생교육 활성화의 일환으로 추진된 평생학습도시의 평생교육기관 및 유관기관 네트워크에서 선호되는 네트워크 구조변수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연구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A 평생학습도시의 기관 간 네트워크 참여기관 간의 연결망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166개 기관의 연결망 자료가 수집되었고, 연결망의 특성과 구조변수의 영향을 검증하기 위한 사회연결망 분석이 실시되었다. 분석결과 및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A 평생학습도시 네트워크는 네트워크 참여 기관 간의 연결망이 다양하게 구축되어 있고, 특정 기관의 경우 상대적이기는 하지만 연결중심성과 구조적 공백이 동시에 존재하는 특징을 보였다. 둘째, 구조변수 중 호혜성은 A 평생학습도시 네트워크가 형성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으며, 인기도나 확산경향을 통제변수로 투입하였어도 유의미한 영향이 발견되었다. 구조변수 중 간접관계효과, 이행성, 인기도도 A 평생학습도시 네트워크의 형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다. 반면에 단방향 의존성과 확산경향은 A 평생학습도시 네트워크의 형성에 부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분석결과에 대한 논의 및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지혜, "학습으로서의 네트워킹: 부천지역 교육안전망 사례연구" 한국평생교육학회 13 (13): 215-243, 2007

      2 양병찬, "학습도시의 평생학습네트워크 실천 사례 분석" 한국평생교육학회 19 (19): 185-214, 2013

      3 양병찬, "학습도시에서의 주민 교육공동체 운동의 전개" 한국평생교육학회 13 (13): 173-201, 2007

      4 김경년, "학교의 복지수요 대응과 지역사회 활용 : Random Graph를 활용한 네트워크 동학(dynamics) 분석" 한국평생교육학회 22 (22): 1-26, 2016

      5 김수구, "평생학습도시의 지역공동체 네트워크 활성화 방안 : 카케가와시의 평생학습도시 구축사례를 중심으로" 28 (28): 63-78, 2007

      6 최항석, "평생학습도시, 배움공간의 아이콘" 2 (2): 27-38, 2010

      7 홍성우, "평생학습도시 조성 사업의 활성화 방안 연구:사업체계 및 사업내용 분석을 중심으로" 경인행정학회 13 (13): 375-401, 2013

      8 국가평생교육진흥원, "평생학습도시"

      9 현영섭, "지역학습역량으로서 지역평생교육기관의 사회연결망 특성과 자원교환의 관계" 한국인적자원개발전략연구소 13 (13): 1-29, 2018

      10 한국교육개발원, "지역평생학습정책 성과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11

      1 이지혜, "학습으로서의 네트워킹: 부천지역 교육안전망 사례연구" 한국평생교육학회 13 (13): 215-243, 2007

      2 양병찬, "학습도시의 평생학습네트워크 실천 사례 분석" 한국평생교육학회 19 (19): 185-214, 2013

      3 양병찬, "학습도시에서의 주민 교육공동체 운동의 전개" 한국평생교육학회 13 (13): 173-201, 2007

      4 김경년, "학교의 복지수요 대응과 지역사회 활용 : Random Graph를 활용한 네트워크 동학(dynamics) 분석" 한국평생교육학회 22 (22): 1-26, 2016

      5 김수구, "평생학습도시의 지역공동체 네트워크 활성화 방안 : 카케가와시의 평생학습도시 구축사례를 중심으로" 28 (28): 63-78, 2007

      6 최항석, "평생학습도시, 배움공간의 아이콘" 2 (2): 27-38, 2010

      7 홍성우, "평생학습도시 조성 사업의 활성화 방안 연구:사업체계 및 사업내용 분석을 중심으로" 경인행정학회 13 (13): 375-401, 2013

      8 국가평생교육진흥원, "평생학습도시"

      9 현영섭, "지역학습역량으로서 지역평생교육기관의 사회연결망 특성과 자원교환의 관계" 한국인적자원개발전략연구소 13 (13): 1-29, 2018

      10 한국교육개발원, "지역평생학습정책 성과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11

      11 문정수, "지역평생교육정보센터의 사회 네트워크 분석 -인천지역평생학습축제 사업을 중심으로" 한국인력개발학회 12 (12): 137-169, 2010

      12 윤창국, "지역사회 네트워크 형성과정의 장애요인과 학습의 의미" 한국평생교육학회 15 (15): 31-65, 2009

      13 지희숙, "지역네트워크 형성과정에 대한 사례 연구: -부산 해운대구 반송지역을 중심으로-" 한국평생교육학회 15 (15): 75-102, 2009

      14 이지혜, "지역교육 네트워크 리더십 분석" 원격교육연구소 8 (8): 137-163, 2012

      15 최돈민, "지속가능발전 관점에서 평생학습도시의 평가" 교육종합연구원 13 (13): 59-81, 2015

      16 박형준, "지방정부간 수자원서비스 협력연결망에 관한 연구: 서비스의 거래비용적 특성과 네트워크 구조변수를 중심으로" 한국행정학회 43 (43): 121-145, 2009

      17 문정수, "인천 지역평생교육정보센터의 네트워크 특성 사례 분석" 한국평생교육학회 14 (14): 155-183, 2008

      18 변종임, "외국의 학습도시 지원체제 사례 분석을 통한 평생학습도시 발전 방향에 대한 소고" 한국비교교육학회 17 (17): 153-181, 2007

      19 김종선, "시민참여 실천조직으로써 남양주시 평생학습매니저의 확장학습 연구" 한국평생교육학회 19 (19): 1-32, 2013

      20 이병환, "시민 주도 평생학습도시 활성화 조건 탐색" 한국교육행정학회 26 (26): 49-75, 2008

      21 곽기영, "소셜네트워크분석" 청람 2014

      22 Scott, J., "소셜 네트워크 분석" 커뮤니케이션북스 1998

      23 서인석, "새터민 ʻ정착지원 프로그램ʼ 유관기관간 협력연결망의 메커니즘 분석 : 네트워크의 구조변수에 대한 ERGM의 적용"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7 (27): 75-102, 2013

      24 김용학, "사회연결망 분석" 박영사 2016

      25 권인탁, "문화역사적 활동이론(Cultural-Historical Activity Theory)을 활용한 평생학습도시의 발전전략" 한국평생교육학회 14 (14): 1-29, 2008

      26 현영섭, "대학 성인학습자의 학습저해 요소와 학습저해 해소 방법에 대한 개념 연결망 분석" 한국인적자원개발전략연구소 6 (6): 23-48, 2011

      27 현영섭, "다문화 학습동아리의 구조적 공백에서 신뢰와 결혼이주 구성원 브로커의 역할" 한국평생교육학회 17 (17): 1-31, 2011

      28 정연순, "네트워크로서의 학교: 도시형 대안학교 운영원리의 평생교육적 해석" 한국평생교육학회 12 (12): 23-47, 2006

      29 이인원, "기술적(descriptive) 네트워크 분석에서통계적 네트워크 분석으로- 정책학 연구에 있어서 네트워크 방법론의 접목 가능성-" 한국정책학회 22 (22): 31-62, 2013

      30 최지원, "구조적 공백, 개인학습, 반성적 사고의 관계" 한국인력개발학회 16 (16): 135-157, 2014

      31 김경애, "교육지원체제로서 지역 네트워크 형성과정에 대한 사례연구: 노원지역의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평생교육학회 13 (13): 117-142, 2007

      32 Ranjay Gulati, "Where Do Interorganizational Networks Come From?"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04 (104): 1439-1493, 1999

      33 Brent A. Scott, "The popularity contest at work: Who wins, why, and what do they receiv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APA) 94 (94): 20-33, 2009

      34 DiMaggio, P. J., "The iron cage revisited : Institutional isomorphism and collective rationality in organizational fields" 48 : 147-160, 1983

      35 Janis McIntyre, "The development and recovery of social capital through community-based adult learning" Informa UK Limited 31 (31): 607-621, 2012

      36 Mark S. Granovetter, "The Strength of Weak Ties" University of Chicago Press 78 (78): 1360-1380, 1973

      37 Daniel J. Brass, "Taking Stock of Networks and Organizations: A Multilevel Perspective" Academy of Management 47 (47): 795-817, 2004

      38 Burt, R. S., "Structural holes : The social structure of competition" Harvard University Press 1992

      39 Wasserman, S., "Social networks analysis : Methods and application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9

      40 Longworth, N., "Regional networks of lifelong learning : The indicators project" Stirling University 2004

      41 Garry Robins, "Recent developments in exponential random graph (p*) models for social networks" Elsevier BV 29 (29): 192-215, 2007

      42 이희수, "Putnam의 지방정부 성취 측정 방법에 근거한 평생학습도시 정책의 추진과정 분석" 재단법인 경기연구원 12 (12): 33-56, 2010

      43 Wasserman, S., "Models and methods in social network analysi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48-161, 2005

      44 Go. F., "Lifelong Learning in the digital age: Sustainable for all in a changing world" Springer 143-156, 2004

      45 Bruce Wilson, "Learning city-regions revisited: A new way forward" Swinburne University of Technology 20 (20): 77-, 2014

      46 Michael Osborne, "Learning cities: Developing inclusive, prosperous and sustainable urban communities" Springer Science and Business Media LLC 59 (59): 409-423, 2013

      47 Sang Yup Lee, "Introduction to Statistical Inference in Social Network Analysis" The Institute for Basic Social Science 1 (1): 113-, 2016

      48 Lee, Y., "Interorganizational collaboration networks in economic development policy : An exponential random graph model analysis" 40 (40): 547-573, 2012

      49 Lusher, D., "Exponential random graph models for social network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3

      50 서인석, "ERGM을 활용한 재난안전 유관기관 간 협력연결망 분석"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10 (10): 105-126, 2014

      51 이영미, "ECONOMIC DEVELOPMENT NETWORKS AMONG LOCAL GOVERNMENTS: THE STRUCTURE OF COLLABORATION NETWORKS IN THE TAMPA BAY METROPOLITAN AREA" 한국행정학회 16 (16): 113-134, 2011

      52 Kalish, Y., "Bridging in social networks: Who are the people in structural holes and why are they there?" 11 : 53-66, 2008

      53 Garry Robins, "An introduction to exponential random graph (p*) models for social networks" Elsevier BV 29 (29): 173-191, 2007

      54 서울특별시 평생교육진흥원, "2018년 지역 평생교육 컨설팅 결과보고서" 서을특별시 평생교육진흥원 2018

      55 서울특별시 평생교육진흥원, "2017년 지역 평생교육 컨설팅 결과보고서" 서을특별시 평생교육진흥원 2017

      56 이병규, "17대 국회의원들간 공동발의 연결망 형성의 매커니즘 분석" 1337-1353, 200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56 1.56 1.6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64 1.54 1.977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