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아웃플레이스먼트의 성공사례로 대표되는 대기업 사례 분석을 통해 향후 아웃플레이스먼트 활성화를 위한 실천적 과제를 탐색하는 것이다.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6585275
2020
Korean
outplacement ; success factors ; challenges ; 아웃플레이스먼트 ; 전직교육 ; 성공요인 ; 도전과제
KCI등재
학술저널
31-60(30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아웃플레이스먼트의 성공사례로 대표되는 대기업 사례 분석을 통해 향후 아웃플레이스먼트 활성화를 위한 실천적 과제를 탐색하는 것이다.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아웃플레이스먼트의 성공사례로 대표되는 대기업 사례 분석을 통해 향후 아웃플레이스먼트 활성화를 위한 실천적 과제를 탐색하는 것이다.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례 기관들의 아웃플레이스먼트 변천사와 운영성과는 무엇인가? 둘째, 그들의 아웃플레이스먼트의 성공요인 및 도전과제는 무엇인가? 이를 위해 연구목적에 부합되는 대기업 3개사를 선정하여 아웃플레이스먼트 프로그램 기획․운영․평가 등을 전담하고 있는 중간관리자급 이상 담당자와의 인터뷰를 실시했다. 연구결과, 첫째, 본 사례의 아웃플레이스먼트는 도입기와 도약기를 거쳐 정착기에 이르렀으며, 대표적 운영성과는 근로자 측면에서 주로 가교일자리로의 원활한 전환, 심리적 안정감과 애사심 고취, 그리고 기업 측면에서는 기업의 이미지 개선과 근로자 복지개념의 조직문화로 정착 등으로 나타났다. 3개 사례의 아웃플레이스먼트 성공 요인은 회사의 안정적 재정 지원과 조직운영, 실무자들의 전문성과 사명감, 수요조사와 평가를 통한 지속적 개선, 인식 전환과 학습자의 적극적 참여 등을 들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사례의 아웃플레이스먼트 발전을 위해서 실무진들은 교육시스템에 대한 고도화, 경력개발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조기 실시, 조직문화로서의 정착, 리더의 역할 등이 중요하다고 인식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국내 기업 경영자들의 아웃플레이스먼트 필요성에 대한 인식 변화, 중소기업 지원 방안 등 실천적 함의점을 제시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successful cases of outplacement to provide practical policies of outplacement. The research questions are: 1) what are the history of the outplacement programs and the outcomes in the cases? 2) what are th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successful cases of outplacement to provide practical policies of outplacement. The research questions are: 1) what are the history of the outplacement programs and the outcomes in the cases? 2) what are the success factors and challenges of the cases? The ke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ll the cases were the type run by the companies themselves. Second, the cases have gradually changed into employee-focused programs reflecting their virtual needs. Third from the employer-focused ones. Last, of the several success factors, the internal consultants’ competencies and professionalism were presented as an important factor. As all the cases have almost settled their own unique outplacement programs over the past years, they did not have big challenges in the current stages, only addressing the complementation of educational system and the contents of the program, and external factors such as social and economic factors.
참고문헌 (Reference)
1 윤지연, "평생능력 개발 : 에코세대의 전직지원서비스 운영을 위한 요구분석" 7 (7): 47-55, 2015
2 삼성경제연구소, "퇴직관리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1-48, 2001
3 이광희, "지식지도 작성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학술진흥재단 2007
4 정기범, "중등교원의 퇴직생활 및 퇴직준비교육 요구에 관한 연구" 한국진로교육학회 25 (25): 141-161, 2012
5 노경란, "중고령자의 고용가능성과 고용촉진정책" 17 : 5-42, 2009
6 박정우, "중간관리자의 팀 성과 향상 기여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부하들의 주관적 인식 유형: 조직적 특성과 리더십 행동을 중심으로" 한국기업교육학회 20 (20): 53-91, 2018
7 구영휘, "제대군인의 전직지원교육 실태에 관한 연구" 한국융합보안학회 13 (13): 37-43, 2013
8 구관모, "전직지원활동이 잔류구성원의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사관리학회 31 (31): 125-146, 2007
9 이희수, "전직지원활동에 참여한 퇴직자의 특성과 전환학습 수준이 고용가능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적자원개발전략연구소 6 (6): 61-88, 2011
10 노동부, "전직지원프로그램 제도화 방안" 2001
1 윤지연, "평생능력 개발 : 에코세대의 전직지원서비스 운영을 위한 요구분석" 7 (7): 47-55, 2015
2 삼성경제연구소, "퇴직관리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1-48, 2001
3 이광희, "지식지도 작성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학술진흥재단 2007
4 정기범, "중등교원의 퇴직생활 및 퇴직준비교육 요구에 관한 연구" 한국진로교육학회 25 (25): 141-161, 2012
5 노경란, "중고령자의 고용가능성과 고용촉진정책" 17 : 5-42, 2009
6 박정우, "중간관리자의 팀 성과 향상 기여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부하들의 주관적 인식 유형: 조직적 특성과 리더십 행동을 중심으로" 한국기업교육학회 20 (20): 53-91, 2018
7 구영휘, "제대군인의 전직지원교육 실태에 관한 연구" 한국융합보안학회 13 (13): 37-43, 2013
8 구관모, "전직지원활동이 잔류구성원의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사관리학회 31 (31): 125-146, 2007
9 이희수, "전직지원활동에 참여한 퇴직자의 특성과 전환학습 수준이 고용가능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적자원개발전략연구소 6 (6): 61-88, 2011
10 노동부, "전직지원프로그램 제도화 방안" 2001
11 이상현, "전직지원서비스 활성화 방안: 민간부분을 중심으로" 89-100, 2011
12 중앙자살예방센터, "자살통계"
13 조성재, "자동차산업의 노동유연성과 고용관계"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19 (19): 57-89, 2009
14 임운택, "이직/실직 근로자를 위한 국내 전직지원 서비스(Outplacement Services)현황과 활성화 방안" 25 (25): 167-194, 2006
15 동아일보, "이젠 新중년시대]한국전력, 예비퇴직자 재취업․창업 도와드려요"
16 장욱희, "아웃플레이스먼트는 효과적인가? : 한국의 중소기업 퇴직자 사례" 한국중소기업학회 36 (36): 37-60, 2014
17 김영순, "아웃플레이스먼트가 사회안전망의 하나로 자리매김해야"
18 권대봉, "아웃플레이스먼트(Outplacement) 연구의 경향 분석 -2000년대 이후 국내 학술지를 중심으로-" 한국인력개발학회 14 (14): 1-23, 2012
19 정동섭, "아웃플레이스먼트 프로그램의 구성과 효과에 대한 연구-K은행의 사례를 중심으로" 445-465, 2003
20 이상훈, "숙련퇴직자의 아웃플레이스먼트 도입방안에 관한 연구: 국내 철강업계의 사례를 중심으로" 대한경영학회 27 (27): 2265-2285, 2014
21 삼성생명 인생금융연구소, "생애설계가이드 은퇴준비지수"
22 안상아, "대기업의 최근 3 년간 창업 지원 우수 사례" 한국기업지배구조원 2015
23 장석인, "노동시장의 유연화를 위한 선진국의 아웃플레이스먼트 (outplacement) 사례연구: 미국·독일·일본을 중심으로" 한독사회과학회 24 (24): 159-200, 2014
24 강창훈, "기업의 전직지원 서비스 적용기준과 정부지원 방안" 2012
25 김석란, "기업 퇴직 예정 근로자의 고용가능성 제고를 위한 S사 재취업 교육프로그램 사례분석" 한국산업교육학회 (26) : 51-68, 2013
26 고경일, "글로벌기업가정신 함양을 통한 수출주력산업 퇴직인력의 수출창업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국제경영관리학회 21 (21): 23-44, 2017
27 이효섭, "국내 민간—공공 부문의 아웃플레이스먼트 연구동향 비교" 한국성인교육학회 21 (21): 1-25, 2018
28 소상공인진흥원, "국내 기업, 공공기관 퇴직 지원 프로그램 실태조사" 소상공인진흥원 2010
29 함홍안, "공기업의 바람직한 전직지원제도 구축방안: A사 사례연구" 대한경영학회 23 (23): 2035-2054, 2010
30 김창호, "공기업 전직지원제도가 조직신뢰 및 몰입과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사행정학회 9 (9): 99-127, 2010
31 김정한, "고용조정과 전직지원: 한국, 일본, 미국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노동연구원 2002
32 고용노동부, "고용정책기본법 등 3개 법률안 국회 본회의 통과"
33 허헌, "[CAREER] 이직은 경력관리의 최후 선택" 2015 (2015): 126-127, 2015
34 Pickman, A. J., "The complete guide to outplacement counseling" Lawrence Erlbaum Associates, Inc. Publishing Company 1994
35 이권도, "ROI 접근방법을 이용한 아웃플레이스먼트 효과 분석" 2009
36 Merriam, S. B., "Qualitative research and case study applications in education : Revised and expanded from case study research in education" Jossey-Bass Publishers 1998
37 Harry J. Martin, "Individual differences in outplacement success" Emerald 13 (13): 425-439, 2008
38 Lynn Gribble, "Employees in Outplacement Services: Do They Really Get the Help That is Needed?" SAGE Publications 18 (18): 18-28, 2009
39 Yin, R. K., "Case study research : Design and method" Sage Publications, Inc 2013
40 Haka Kim, "Analysis of Outplacement Counselor's Competency" Korean Institute for Practical Engineering Education 7 (7): 155-161, 2015
41 미래에셋은퇴연구소, "2019 미래에셋 은퇴라이프 트렌드 조사 보고서" 2019
42 이수영, "100세 시대 도래의 영향과 해외사례" 1-31, 2011
경력단절여성의 사회적 지지, 하향 취업 의향과 적극적 구직 행동의 관계에 대한 경력 계획의 조절된 매개 효과
창업역량 영향요인에 대한 통합적 문헌고찰: 창업가 개인역량을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1-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56 | 1.56 | 1.6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64 | 1.54 | 1.977 | 0.08 |
Rural Challenges
Teachers TV Teachers TVCity Challenges
Teachers TV Teachers TVGlobal Challenges and Leadership (Prof. Kyung-wha Kang )
이화여자대학교 강경화글로벌 인재포럼 2007: 창의적인 인재 관리의 핵심 성공요인
글로벌 인재포럼 Franz Cremer, Kent Lockhart, Richard A. Kleinert, Scott G. Drach지역사회를 기반으로 하는 평생학습의 동향과 과제 새로운 동향과 패러다임
국가평생교육진흥원 고바야시 분진, 알레스테어 클라크, 그렉 퍼트, 박인종, 사사이 히로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