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윤동주 시의 정전화와 민족주의 지평 넘기 = Yoon Dong-Joo Poems`s Canonization and Horizon of Nationalis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36899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Yoon Dong-Joo`s poems in a point of view canon theory. Because canon consisted advantageously in profit of part class, it can be used by a tool of control. And canon can cause simplificaton of analysis. Yoon Dong-Joo`s poems is same too. Yoon Dong-Joo`s poems is South Korea society`s representative canon in side that is resistance literature. By the way, various social forces influenced in process that Yoon Dong-Joo`s poems becomes cannon. It is anti-communism ideology, anti-Japan doctrine, school system. But, this viewpoint disturbs that have read Yoon Dong-Joo`s poems properly. That is, this viewpoint has not read Yoon Dong-Joo`s poems`s various point. When we pass over horizon of nationalism, We have read properly mind that Yoon Dong-Joo shows in poems of latter term. This mind is a solidarity with other people. Also, it is a desire of big community formation. This points are present value of Yoon Dong-Joo`s work. And this points should be shared widely in the world. We must exhume these point actively. It may become method to remember again meaning of this works to problem of here now. So, when we read Yoon Dong-Joo`s work, we need to pass over horizon of nationalism.
      번역하기

      This study analyzed Yoon Dong-Joo`s poems in a point of view canon theory. Because canon consisted advantageously in profit of part class, it can be used by a tool of control. And canon can cause simplificaton of analysis. Yoon Dong-Joo`s poems is sam...

      This study analyzed Yoon Dong-Joo`s poems in a point of view canon theory. Because canon consisted advantageously in profit of part class, it can be used by a tool of control. And canon can cause simplificaton of analysis. Yoon Dong-Joo`s poems is same too. Yoon Dong-Joo`s poems is South Korea society`s representative canon in side that is resistance literature. By the way, various social forces influenced in process that Yoon Dong-Joo`s poems becomes cannon. It is anti-communism ideology, anti-Japan doctrine, school system. But, this viewpoint disturbs that have read Yoon Dong-Joo`s poems properly. That is, this viewpoint has not read Yoon Dong-Joo`s poems`s various point. When we pass over horizon of nationalism, We have read properly mind that Yoon Dong-Joo shows in poems of latter term. This mind is a solidarity with other people. Also, it is a desire of big community formation. This points are present value of Yoon Dong-Joo`s work. And this points should be shared widely in the world. We must exhume these point actively. It may become method to remember again meaning of this works to problem of here now. So, when we read Yoon Dong-Joo`s work, we need to pass over horizon of nationalism.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재용, "협력과 저항" 소명출판 2004

      2 김재용, "해금작가들과 민족문학사" 중앙일보사 (152) : 248-260, 1988

      3 윤철호, "한총련, 주체사상보다 윤동주가 문제다" 사회평론 (39) : 39-, 1996

      4 김용직, "한국현대시사 2" 한국문연 1996

      5 권영민, "한국현대문학사 1" 민음사 2002

      6 유재일, "한국전쟁과 반공이데올로기의 정착" 역사비평사 (봄) : 139-150, 1992

      7 박용찬, "한국전쟁 전후 현대시의 국어교과서 정전화(正典化) 과정 연구" 한국어문학회 (91) : 413-435, 2006

      8 이선영, "한국문학의 사회학" 태학사 1993

      9 김윤식, "한국문학사" 민음사 1996

      10 이만열, "한국기독교사특강" 성경읽기사 1987

      1 김재용, "협력과 저항" 소명출판 2004

      2 김재용, "해금작가들과 민족문학사" 중앙일보사 (152) : 248-260, 1988

      3 윤철호, "한총련, 주체사상보다 윤동주가 문제다" 사회평론 (39) : 39-, 1996

      4 김용직, "한국현대시사 2" 한국문연 1996

      5 권영민, "한국현대문학사 1" 민음사 2002

      6 유재일, "한국전쟁과 반공이데올로기의 정착" 역사비평사 (봄) : 139-150, 1992

      7 박용찬, "한국전쟁 전후 현대시의 국어교과서 정전화(正典化) 과정 연구" 한국어문학회 (91) : 413-435, 2006

      8 이선영, "한국문학의 사회학" 태학사 1993

      9 김윤식, "한국문학사" 민음사 1996

      10 이만열, "한국기독교사특강" 성경읽기사 1987

      11 서중석, "한국교과서의 문제와 전망- 근현대사를 중심으로 -" 한국사연구회 (116) : 5-162, 2002

      12 연점숙, "한국과 필리핀의 식민 저항시 연구" 국제비교한국학회 9 : 19-42, 2001

      13 최지현, "한국 현대시교육의 담론분석" 서울대 1994

      14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한국 기독교의 역사 Ⅰ-Ⅱ" 기독교문사 1989

      15 이은정, "한국 근현대 베스트셀러 문학에 나타난 독서의 사회사:1960~70년대 베스트셀러 시에 나타난 독자의 실천적 독서 욕망" 한국시학회 (13) : 219-244, 2005

      16 윤경로, "한국 근대사의 기독교사적 이해" 역민사 1992

      17 정현종,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원본 대조 윤동주 전집" 연세대학교 출판부 2004

      18 최성은, "폴란드 콜롬부스 세대와 윤동주의 저항시 비교 연구" 한국동유럽발칸학회 4 (4): 395-442, 2002

      19 최길성, "친일과 반일" 다락원 2004

      20 하루오 시라네, "창조된 고전" 소명출판 2002

      21 조성일, "중국 조선족 문학통사" 이회문화사 1997

      22 전성호, "중국 조선족 문학 예술사 연구" 이회 1997

      23 황규수, "중국 조선족 初中 新編 『조선어문』收錄 詩 考察" 한국어문교육연구회 36 (36): 501-521, 2008

      24 최숙인, "제3세계 문학과 탈식민주의-필리핀의 호세 리잘과 한국의 윤동주" 한국비교문학학회 (27) : 55-77, 2001

      25 라영균, "정전과 문학 정전" 외국문학연구소 7 : 75-93, 2000

      26 존 길로리, "정전 in : 문학연구를 위한 비평용어" 한신문화사 303-325, 1994

      27 김한식, "전체주의의 경험과 박정희" 세종출판사 (57) : 35-51, 2005

      28 김유중, "저항시와 친일시 지도의 쟁점 in : 현대시교육론" 시와시학사 401-426, 1996

      29 김응교, "일본에서의 윤동주 인식- 이부키 고, 오오무라 마스오, 이바라키 노리코의 경우"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13 (13): 37-72, 2009

      30 김신정, "일본 사회와 윤동주의 기억"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13 (13): 73-102, 2009

      31 장춘식, "이민문학의 시각에서 본 윤동주의 시"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10 (10): 91-106, 2006

      32 페터 지마, "이데올로기와 이론" 문학과지성사 1996

      33 슬라보예 지젝, "이데올로기라는 숭고한 대상" 인간 2002

      34 김진희, "윤동주의 저항시 이해와 교육 방안 연구" 한국시학회 (18) : 173-202, 2007

      35 장덕순, "윤동주와 나" 외솔회 (84) : 36-43, 1992

      36 김열규, "윤동주론" 국어국문학회 27 : 97-112, 1964

      37 송우혜, "윤동주 평전" 세계사 1998

      38 왕신영, "윤동주 자필 시고전집" 민음사 1999

      39 정은경, "윤동주 시와 슬픔의 미학"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13 (13): 103-135, 2009

      40 오세영, "윤동주 시는 저항시인가 in : 윤동주 연구" 문학사상사 1995

      41 한만길, "유신체제 반공교육의 실상과 영향" (봄) : 333-347, 1997

      42 브루스 핑크, "에크리 읽기" 도서출판b 2007

      43 백철, "신문학사조사" 신구문화사 1992

      44 도널드 클락, "식민지 시대 한국의 캐나다 선교사와 일본인 in : 기독교와 한국 역사" 연세대출판부 105-126, 1997

      45 권영민, "식민지 시대 계급문학운동의 재평가" (301) : 280-293, 1997

      46 줄리아 크리스테바, "시적 언어의 혁명" 동문선 2000

      47 김석원, "쉐브첸코와 윤동주의 역사의식, 저항정신"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학종합연구센터 러시아연구소 (13) : 431-449, 1997

      48 임헌영, "순수한 고뇌의 절규 in : 윤동주 연구" 문학사상사 1995

      49 김희곤, "새로 쓰는 이육사 평전" 지영사 2000

      50 사에구사 도시카스, "사에구사 교수의 한국문학연구" 베틀북 2000

      51 박경일, "비교문학과 번역공동체 —윤동주의 시 「자화상」 영역(英譯)을 중심으로" 한국번역학회 9 (9): 93-141, 2008

      52 서중석, "배반당한 한국 민족주의" 성균관대학교출판부 2004

      53 강진호, "반공주의의 규율과 ‘국어’ 교과서 : 1946~1954년의‘국어’교과서를중심으로" 민족문학사학회 (28) : 352-383, 2005

      54 조미숙, "반공주의와 국어교과서- 1차 교과서를 중심으로 한 교과서의 선택과 배제 양상" 한국국어교육학회 (74) : 75-102, 2006

      55 신형기, "민족 이야기를 넘어서" 삼인 2003

      56 테리 이글턴, "문학이론입문" 창작사 1986

      57 정재찬, "문학교육의 사회학을 위하여" 역락 2003

      58 최지현, "문학교육에서 정전과 학습자의 정서체험이 갖는 위계적 구조에 관한 연구" 한국문학교육학회 5 : 53-99, 2000

      59 한수영, "문학교과서와 소설 교육의 이데올로기" 한국근대문학회 (14) : 37-62, 2006

      60 김창원, "문학 상ㆍ하/교사용지도서" 민중서림 2002

      61 김효중, "문학 번역과 문화적 문맥:윤동주 시 영역을 중심으로" 한국번역학회 8 (8): 83-106, 2007

      62 허정, "먼 곳의 불빛" 창작과비평사 2002

      63 박용수, "마르크스주의와 민족 문제 in : 민족이론" 문학과지성사 59-81, 1985

      64 루이 알튀세르, "레닌과 철학" 백의 1997

      65 민경배, "기독교와 독립운동 in : 한국현대사론" 을유문화사 53-65, 1987

      66 다카도 가나메, "그리스도를 본받아 in : 일본 지성인들이 사랑하는 윤동주" 민예당 45-53, 1998

      67 이신철, "국사 교과서 정치도구화의 역사 ―이승만ㆍ박정희 독재정권을 중심으로 ―" 역사교육연구회 (97) : 177-209, 2006

      68 니시카와 나가오, "국민이라는 괴물" 소명출판 2002

      69 김철, "구체성의 시학" 실천문학사 1993

      70 림연, "고향이 낳은 시인-윤동주" 문예운동사 (49) : 18-27, 1993

      71 서경식, "고통과 기억의 연대는 가능한가?" 철수와영희 2009

      72 신형기, "가상의 인격, 도덕의 광기 in : 문학 속의 파시즘" 삼인 340-370, 2001

      73 Altieri, Charles, "An Idea and Ideal of Literary Canon in : Canons"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7 0.57 0.5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3 0.5 0.949 0.1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