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화엄사상을 통한 심층생태주의의 특성 연구 - 김선우 시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에서는 김선우 시를 대상으로 화엄사상을 통한 심층생태주의의 특성을 논의했다. 먼저, 김선우 시에서 시공적 초월과 진공묘유의 풍요성을 도출했다. 진공묘유의 풍요성에서는 혼...

      이 논문에서는 김선우 시를 대상으로 화엄사상을 통한 심층생태주의의 특성을 논의했다.
      먼저, 김선우 시에서 시공적 초월과 진공묘유의 풍요성을 도출했다. 진공묘유의 풍요성에서는 혼돈으로부터 출현하는 생명발현과 비가시적 생명발현을 포함하는 생성의 특성이 추출되었다. 시공적 초월과 진공묘유의 풍요성이 화엄사상을 통한 심층생태주의 특성으로 형상화된 것이다.
      또한, 김선우 시에서 공시적 초월과 사사무애의 생성이 추출되었다. 화엄사상은 자연의 도(道)를 바탕으로 일차자연인 자연과 이차자연인 인간이 사사무애의 과정을 노정함으로써 전체 생태계의 유기론적 생성이 가능하다는 네스의 사유와 닿는다. 이러한 사유가 김선우 시에서 공시적 초월의 특성으로 형상화된 것이다.
      마지막으로 김선우 시에서 통시적 초월과 윤회에 대한 영원회귀 의식이 화엄사상을 통한 심층생태주의의 특성으로 도출되었다. 그의 시에서 인간과 인간, 인간사회와 자연은 모두 윤회의 영원회귀를 노정한다. 김선우 시에서 통시적 초월과 윤회의 영원회귀의식이 형상화된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paper, the characteristic of deep ecology through the Hwaeom ideology was discussed for Seon-woo Kim’s poems. First of all, from Seon-woo Kim’s poems was derived the eternal consciousness of spatiotemporal transcendence and odd existenc...

      In this paper, the characteristic of deep ecology through the Hwaeom ideology was discussed for Seon-woo Kim’s poems.
      First of all, from Seon-woo Kim’s poems was derived the eternal consciousness of spatiotemporal transcendence and odd existence in void. From the generation of odd existence in void were extracted the characteristics of generation including the revelation of invisible life and the revelation of life emerging from chaos. The characteristic of the spatiotemporal transcendence and odd existence in void is embodied as the characteristic of deep ecology through the Hwaeom ideology.
      Also, from Seon-woo Kim’s poems were extracted the synchronic transcendence and generation of freedom from all obstacles. The Hwaeom ideology is connected to Næss"s thinking that the organic creation of the entire ecosystem is possible as the primary nature, nature, and the secondary nature, humans expose the process of freedom from all obstacles, based on the truth of nature. This thought is embodied as the characteristic of synchronic transcendence in Seon-woo Kim’s poems.
      Finally, from Seon-woo Kim’s poems, the consciousness of eternal return for diachronic transcendence and reincarnation was derived as a characteristic of deep ecology through Hwaeom ideology. In his poems, humans and humans, human society and nature all expose the eternal return to reincarnation. In Kim Sun-woo"s poem, the consciousness of the eternal return of the diachronic transcendence and reincarnation is embodi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머리말
      • 2. 시공적 초월과 진공묘유의 풍요성
      • 3. 공시적 초월과 사사무애의 생성
      • 4. 통시적 초월과 윤회의 영원회귀
      • 국문초록
      • 1. 머리말
      • 2. 시공적 초월과 진공묘유의 풍요성
      • 3. 공시적 초월과 사사무애의 생성
      • 4. 통시적 초월과 윤회의 영원회귀
      • 5.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유흔우, "화엄의 사사무애와 성리학의 천인합일 비교 연구" 불교문화연구원 (49) : 143-168, 2008

      2 Stuart A. Kaufmann, "혼돈의 가장자리" 사이언스북스 2002

      3 David Bohm, "현대물리학의 철학적 테두리" 민음사 1991

      4 F. Capra, "현대물리학과 동양사상" 범양사 2006

      5 Warwick Fox, "트랜스퍼스널 생태학" 대운출판 2002

      6 W. O. Doring, "칸트철학 이해의 길" 새밭 1979

      7 F. W. Nietzsche, "짜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책세상 2002

      8 노권용, "진공묘유와 공․원․정의 종교적 의의" 한국원불교학회 7 : 80-82, 2001

      9 원위범, "인도철학사상" 집문당 1985

      10 김동명, "이성선과 고진하 시에 나타난 생태주의의 복잡성 비교연구 ― 화엄사상과 과정신학의 관점을 중심으로" 현대문학이론학회 (58) : 95-127, 2014

      1 유흔우, "화엄의 사사무애와 성리학의 천인합일 비교 연구" 불교문화연구원 (49) : 143-168, 2008

      2 Stuart A. Kaufmann, "혼돈의 가장자리" 사이언스북스 2002

      3 David Bohm, "현대물리학의 철학적 테두리" 민음사 1991

      4 F. Capra, "현대물리학과 동양사상" 범양사 2006

      5 Warwick Fox, "트랜스퍼스널 생태학" 대운출판 2002

      6 W. O. Doring, "칸트철학 이해의 길" 새밭 1979

      7 F. W. Nietzsche, "짜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책세상 2002

      8 노권용, "진공묘유와 공․원․정의 종교적 의의" 한국원불교학회 7 : 80-82, 2001

      9 원위범, "인도철학사상" 집문당 1985

      10 김동명, "이성선과 고진하 시에 나타난 생태주의의 복잡성 비교연구 ― 화엄사상과 과정신학의 관점을 중심으로" 현대문학이론학회 (58) : 95-127, 2014

      11 한종만, "원불교의 회통사상" 원광대학교출판국 1981

      12 김홍철, "원불교사상논고" 원광대학교출판부 1980

      13 박종덕, "여성시의 어머니-몸 구현 양상 연구 -나희덕, 김선우의 시를 중심으로" 한국비평문학회 (38) : 220-239, 2010

      14 이재복, "여성시와 생명-김선우의 『내 혀가 입속에 갇혀 있길 거부한다면』을 중심으로" 숙명여대 한국어문화연구소 9 : 94-108, 2010

      15 윤혜옥, "에코페미니즘과 시적 상상력" 조선대학교 대학원 2010

      16 김선우, "아무 것도 안 하는 날" 단비 2018

      17 문순홍, "생태학의 담론" 솔 1999

      18 Erwin Schrodinger, "생명이란 무엇인가" 궁리 2007

      19 한정선, "생명에서 종교로" 철학과현실사 2003

      20 Murray Bookchin, "사회생태론" 솔출판사 1997

      21 N. Frye, "비평의 해부" 한길사 2000

      22 Joanna Macy, "붓다의 연기법과 인공지능 : 일반시스템이론은 생명·생태·윤리 문제를 어떻게 해결하는가" 불광출판사 2020

      23 김종욱, "불교생태철학" 동국대학교출판부 2004

      24 김선우, "부상당한―천사에게" 한겨레출판 2016

      25 G. Batesen, "마음의 생태학" 책세상 2000

      26 김수이, "도화 아래 잠들다" 창작과 비평사 2003

      27 김선우, "도화 아래 잠들다" 창작과 비평사 2003

      28 Gaston Bachelard, "대지 그리고 휴식의 몽상" 문학동네 2002

      29 Irene Diamond, "다시 꾸며 보는 세상" 1996

      30 김선우, "녹턴" 문학과지성사 2007

      31 김선우, "내 혀가 입속에 갇혀 있길 거부한다면" 창작과비평사 2000

      32 김춘식, "내 혀가 입 속에 갇혀 있길 거부한다면" 창작과 비평사 2000

      33 박수연, "내 몸속에 잠든 이 누구신가" 문학과 지성사 2007

      34 김선우, "내 몸속에 잠든 이 누구신가" 창작과비평사 2007

      35 김선우, "내 따스한 유령들" 창비 2021

      36 김동명, "김선우 시의 생태여성주의적 양상 연구 - 모성성을 중심으로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34) : 89-120, 2011

      37 노병춘, "김선우 시에 표현된 생태사상 연구 -에코페미니즘을 중심으로" 한국비평문학회 (53) : 59-92, 2014

      38 양선주, "김선우 시에 나타난 모성성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4

      39 Jean C. Cooper, "그림으로 보는 세계문화상징사전" 까치 2007

      40 Alfred N. Whitehead, "과정과 실재" 민음사 1991

      41 F. Capra, "The Web of Life" Anchor Books, a division of Random House 1996

      42 james E. Lovelock, "Gaia" 범양사 1990

      43 Arne Naess, "Ecology, Community and Lifesty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6 0.56 0.5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4 0.53 0.99 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