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2019년 한일 무역분쟁에 따른 규제 대상 3품목의 대일 수입 동향 분석 = Analysis of Import Trends to Japan of Three Restricted Items Due to Korea-Japan Trade Dispute in 2019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11807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일본은 2019년 7월 한국과의 역사문제와 안보상 우려를 이유로 반도체나 디스플레이 산업에 필수적인 불화수소, 포토레지스트, 불화폴리이미드 등의 품목에 대한 수출관리를 강화하며 한국을 백색국가에서 제외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산업통상자원부가 운영하는 소부장넷의 통계자료를 활용하여 규제 이후 이 세 품목의 각 수입액 변화를 보면서 규제의 영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규제 이후 수입액이 감소하여 국산화 및 수입 다변화에 성공했다는 기존 연구와 달리, 전체적으로 그 수입액은 2019년에는 감소했다가 그 이후 다시 증가 추세를 보였으며, 그 수입 특화도 심화되고 있었다. 이와 같은 역설적인 추세를 보인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세 품목의 국산화 현황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국산화 성과도 정부 보고와 달리 현재 단계에서는 일본과 같은 질을 유지 가능한 대체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러한 배경 아래 한국은 규제로 인해 수입에 불리한 조건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일본으로부터의 수입을 여전히 지속하고 있었다.
      번역하기

      일본은 2019년 7월 한국과의 역사문제와 안보상 우려를 이유로 반도체나 디스플레이 산업에 필수적인 불화수소, 포토레지스트, 불화폴리이미드 등의 품목에 대한 수출관리를 강화하며 한국...

      일본은 2019년 7월 한국과의 역사문제와 안보상 우려를 이유로 반도체나 디스플레이 산업에 필수적인 불화수소, 포토레지스트, 불화폴리이미드 등의 품목에 대한 수출관리를 강화하며 한국을 백색국가에서 제외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산업통상자원부가 운영하는 소부장넷의 통계자료를 활용하여 규제 이후 이 세 품목의 각 수입액 변화를 보면서 규제의 영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규제 이후 수입액이 감소하여 국산화 및 수입 다변화에 성공했다는 기존 연구와 달리, 전체적으로 그 수입액은 2019년에는 감소했다가 그 이후 다시 증가 추세를 보였으며, 그 수입 특화도 심화되고 있었다. 이와 같은 역설적인 추세를 보인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세 품목의 국산화 현황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국산화 성과도 정부 보고와 달리 현재 단계에서는 일본과 같은 질을 유지 가능한 대체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러한 배경 아래 한국은 규제로 인해 수입에 불리한 조건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일본으로부터의 수입을 여전히 지속하고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iting historical issues and security concerns, Japan excluded South Korea from its white list of countries in July 2019, imposing stricter export controls on three items essential for semiconductor manufacturing: hydrogen fluoride, photoresists, and fluorinated polyimides. In response to Japan’s action, the ROK implemented a policy to fundamentally develop its materials components and equipment (Sobujang) industry, which also includes these three items, promoting domestic production and import diversification.
      This research made use of the statistical data from Sobujang-net from the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to analyze the impact on the import value of each of the three products and the import value of the Japanese garment industry.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in contrast to existing research that has shown a decrease in import value and success in domestic production and import diversification, the overall import value decreased for a time but presented a trend of increasing again, and the specialization of imports has deepened. In other words, it became clear that Korea continued to import from Japan despite the restrictions that made imports less favorable. This paradoxical trend factor was examined by focusing on the technology of South Korea. It was revealed that, contrary to the government’s report, domestic production had not been replaced by the same quality as in Japan at this stage.
      번역하기

      Citing historical issues and security concerns, Japan excluded South Korea from its white list of countries in July 2019, imposing stricter export controls on three items essential for semiconductor manufacturing: hydrogen fluoride, photoresists, and ...

      Citing historical issues and security concerns, Japan excluded South Korea from its white list of countries in July 2019, imposing stricter export controls on three items essential for semiconductor manufacturing: hydrogen fluoride, photoresists, and fluorinated polyimides. In response to Japan’s action, the ROK implemented a policy to fundamentally develop its materials components and equipment (Sobujang) industry, which also includes these three items, promoting domestic production and import diversification.
      This research made use of the statistical data from Sobujang-net from the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to analyze the impact on the import value of each of the three products and the import value of the Japanese garment industry.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in contrast to existing research that has shown a decrease in import value and success in domestic production and import diversification, the overall import value decreased for a time but presented a trend of increasing again, and the specialization of imports has deepened. In other words, it became clear that Korea continued to import from Japan despite the restrictions that made imports less favorable. This paradoxical trend factor was examined by focusing on the technology of South Korea. It was revealed that, contrary to the government’s report, domestic production had not been replaced by the same quality as in Japan at this stage.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