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자가용 승용차의 가구그룹별 통행특성 차이에 관한 연구 = Analysis on Passenger Car Travel Characteristics by Household Typ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79777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우리나라에서 자가용 승용차는 전체등록차량의 약 74%의 정도를 차지하고 있고, 여객수송부문에서 차지하는 수단 분담비율도 약 60%(도보, 자전거, 기타 제외) 정도를 차지하는 주요 교통수단이다. 하지만, 자가용 승용차관련 보유 및 이용 관련한 통계는 전무한 상태일 뿐만 아니라, 분담율 산정의 기준이 되는 인-km 수송실적 자료조차 여객기종점통행량을 기초로 추정한 값을 사용하고 있다. 이에 한국교통연구원 국가교통DB센터는 '자가용이용실태조사'를통해 자가용 승용차의 이용 및 보유관련 다양한 통계자료를 구축하고자 하였으며, 본 연구에서는 ‘자가용이용실태조사’를 통해 구축된 통행자료 기반으로 가구인별 통행특성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ANOVA(Analysis of Variance)를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가구 규모별로 모든 설명요인(주중 vs. 주말, 수도권 vs. 비수도권, 남성 vs. 여성, 출퇴근 시간 vs. 기타시간, 일상 vs. 비일상)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주말보다 주중이, 비수도권보다 수도권에서,여성보다 남성이, 출퇴근 시간이 기타시간보다, 비일상 통행보다 일상통행의 경우 통행당 거리가 길게 나타났다. 특히, 소인가구의 통행당 거리가 다인가구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게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번역하기

      우리나라에서 자가용 승용차는 전체등록차량의 약 74%의 정도를 차지하고 있고, 여객수송부문에서 차지하는 수단 분담비율도 약 60%(도보, 자전거, 기타 제외) 정도를 차지하는 주요 교통수단...

      우리나라에서 자가용 승용차는 전체등록차량의 약 74%의 정도를 차지하고 있고, 여객수송부문에서 차지하는 수단 분담비율도 약 60%(도보, 자전거, 기타 제외) 정도를 차지하는 주요 교통수단이다. 하지만, 자가용 승용차관련 보유 및 이용 관련한 통계는 전무한 상태일 뿐만 아니라, 분담율 산정의 기준이 되는 인-km 수송실적 자료조차 여객기종점통행량을 기초로 추정한 값을 사용하고 있다. 이에 한국교통연구원 국가교통DB센터는 '자가용이용실태조사'를통해 자가용 승용차의 이용 및 보유관련 다양한 통계자료를 구축하고자 하였으며, 본 연구에서는 ‘자가용이용실태조사’를 통해 구축된 통행자료 기반으로 가구인별 통행특성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ANOVA(Analysis of Variance)를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가구 규모별로 모든 설명요인(주중 vs. 주말, 수도권 vs. 비수도권, 남성 vs. 여성, 출퇴근 시간 vs. 기타시간, 일상 vs. 비일상)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주말보다 주중이, 비수도권보다 수도권에서,여성보다 남성이, 출퇴근 시간이 기타시간보다, 비일상 통행보다 일상통행의 경우 통행당 거리가 길게 나타났다. 특히, 소인가구의 통행당 거리가 다인가구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게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assenger cars occupy about 74% among registered vehicles in Korea and the ratio of transportation modesharing is approximately 60% in the passenger transport part. However, there is no statistics related to travelcharacteristics of passenger cars, and official statistics are estimated from O/D travel data. Thus, NationalTransportation DataBase Center in KOTI has attempted to construct various statistical data through Korea VehicleUse Survey. Based on these data, Analysis of Variance (ANOVA)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travel characteristics of each analysis group. As a result, all of the explanatory variables(weekday vs. weekend,metropolitan area vs. non-metropolitan area, male vs. female, commute time vs. other time, routine purpose vs.
      non-routine purpose) were found to be different across households. In addition, travel distances per trip ofweekday, metropolitan area, male, commute time, and non-routine purpose are longer than the opposite variables.
      Also, the trip distances of small size(1 to 2 persons) households are shorter compared to large size(more than 5persons) households.
      번역하기

      Passenger cars occupy about 74% among registered vehicles in Korea and the ratio of transportation modesharing is approximately 60% in the passenger transport part. However, there is no statistics related to travelcharacteristics of passenger cars, an...

      Passenger cars occupy about 74% among registered vehicles in Korea and the ratio of transportation modesharing is approximately 60% in the passenger transport part. However, there is no statistics related to travelcharacteristics of passenger cars, and official statistics are estimated from O/D travel data. Thus, NationalTransportation DataBase Center in KOTI has attempted to construct various statistical data through Korea VehicleUse Survey. Based on these data, Analysis of Variance (ANOVA)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travel characteristics of each analysis group. As a result, all of the explanatory variables(weekday vs. weekend,metropolitan area vs. non-metropolitan area, male vs. female, commute time vs. other time, routine purpose vs.
      non-routine purpose) were found to be different across households. In addition, travel distances per trip ofweekday, metropolitan area, male, commute time, and non-routine purpose are longer than the opposite variables.
      Also, the trip distances of small size(1 to 2 persons) households are shorter compared to large size(more than 5persons) household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안효원, "수도권 1인가구의 통행발생 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토목학회 33 (33): 2503-2508, 2013

      2 이종호, "서울시 가구통행발생 특성 분석" 대한토목학회 31 (31): 657-662, 2011

      3 송윤선, "서울시 가구유형별 통근통행시간의 영향요인분석"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3 (43): 7-20, 2008

      4 Long J. S., "Using Heteroscedasticity Consistent Standard Errors in the Linear Regression Model" 54 (54): 217-224, 2000

      5 Gyeonggi Research Institute, "Travel Characteristics in Gyeonggi Province, Research Paper" 1999

      6 Statistics Korea, "Projected Household Data"

      7 Samsung Economic Research Intitute, "One-Person Household Characteristics and Implication through Population Household Statistics" 2013

      8 Chun M. J., "Gender Differnce in Commuting Patterns and Job and Residential Location of Two-,Worker Households: The Case of Seoul" 31 (31): 1996

      9 Gyeonggi Research Institute, "Classified Travel Pattern Comparision Metropolitan residents" 84-, 2013

      10 Min Y. J., "Analysis of Trip Generation Behavior Based on the Multiday Travel Data"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1998

      1 안효원, "수도권 1인가구의 통행발생 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토목학회 33 (33): 2503-2508, 2013

      2 이종호, "서울시 가구통행발생 특성 분석" 대한토목학회 31 (31): 657-662, 2011

      3 송윤선, "서울시 가구유형별 통근통행시간의 영향요인분석"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3 (43): 7-20, 2008

      4 Long J. S., "Using Heteroscedasticity Consistent Standard Errors in the Linear Regression Model" 54 (54): 217-224, 2000

      5 Gyeonggi Research Institute, "Travel Characteristics in Gyeonggi Province, Research Paper" 1999

      6 Statistics Korea, "Projected Household Data"

      7 Samsung Economic Research Intitute, "One-Person Household Characteristics and Implication through Population Household Statistics" 2013

      8 Chun M. J., "Gender Differnce in Commuting Patterns and Job and Residential Location of Two-,Worker Households: The Case of Seoul" 31 (31): 1996

      9 Gyeonggi Research Institute, "Classified Travel Pattern Comparision Metropolitan residents" 84-, 2013

      10 Min Y. J., "Analysis of Trip Generation Behavior Based on the Multiday Travel Data"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1998

      11 Choo S. H., "Analysing Weekend Travel Charateristics in Seoul" 11 (11): 92-101, 2012

      12 Jang Y. J., "An Empirical Study on the Leisure Travel Patterns by Household Type: Focused on Family Life Cycle" University of Seoul Graduate School 2013

      13 Lee C. J., "A study on shopping trip generation based on family life cycle" Yeonsei University Graduate School 2002

      14 Kim G. H., "A Study on the Trip Generation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People In Seoul Metro Area" Kyounggi University Graduate School 2012

      15 Gyeonggi Research Institute, "A Study on the Travel Behaviors and Housing Location Choice of Two Worker Households, Trend/Research Report" 2004

      16 Suh D. H., "A Study on a Correlation Between Work Trip and Weekend Leisure Trip : Case study of the Seoul Metropolitan Area" University of Seoul Graduate School 201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7-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3 0.43 0.4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6 0.43 0.762 0.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