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OWC-MIMO 시스템을 위한 효율적인 극좌표 변조기법 = Efficient Polar Modulation for Optical Wireless Communication MIMO System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97277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olar modulation(PM) scheme of the OWC-MIMO system is well known to be an effective modulation method to increase the data rate by converting QAM or PSK modulated symbols to positive real symbol compared to the QCM scheme. 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euclidean distance between PM symbols is uneven in constellation, thereby increasing the error probability of a specific symbol. In this paper, we propose a novel PM method which uses CR to uniform the euclidean distance between PM symbols. Simulation result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has better BER gain and power consumption compared with general PM technique. Also proposed method has better performance of BER gain and BPCU compared with QCM method.
      번역하기

      The polar modulation(PM) scheme of the OWC-MIMO system is well known to be an effective modulation method to increase the data rate by converting QAM or PSK modulated symbols to positive real symbol compared to the QCM scheme. However, there is a prob...

      The polar modulation(PM) scheme of the OWC-MIMO system is well known to be an effective modulation method to increase the data rate by converting QAM or PSK modulated symbols to positive real symbol compared to the QCM scheme. 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euclidean distance between PM symbols is uneven in constellation, thereby increasing the error probability of a specific symbol. In this paper, we propose a novel PM method which uses CR to uniform the euclidean distance between PM symbols. Simulation result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has better BER gain and power consumption compared with general PM technique. Also proposed method has better performance of BER gain and BPCU compared with QCM metho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OWC-MIMO 시스템의 변조를 위한 극좌표 변조 기법은 기 제안된 QCM기법[11]에 비해 QAM 또는 PSK로 변조된 심볼을 복소수에서 양의 실수로 변환하여 데이터 전송율을 향상시키는 효과적인 기법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극좌표 변조 과정에서 발생하는 비선형성으로 인해 변조 이후 심볼 간 유클리디언 거리가 균일하지 못해 특정 심볼의 오류 확률이 증가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극좌표 변조 이후 심볼간 균일한 유클리디언 거리를 유지하기 위해 Constellation Rearrangement (CR) 기법이 적용된 극좌표 변조 기법을 제안한다. 모의 실험 결과 제안된 극좌표변조 기법은 QCM 변조방식[11] 대비 BER 성능과 전송량이 우수함을 확인하였으며, 일반적인 극좌표 변조방식 대비 동일한 전송량에서 BER 성능과 소비전력 측면에서 우수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번역하기

      OWC-MIMO 시스템의 변조를 위한 극좌표 변조 기법은 기 제안된 QCM기법[11]에 비해 QAM 또는 PSK로 변조된 심볼을 복소수에서 양의 실수로 변환하여 데이터 전송율을 향상시키는 효과적인 기법으...

      OWC-MIMO 시스템의 변조를 위한 극좌표 변조 기법은 기 제안된 QCM기법[11]에 비해 QAM 또는 PSK로 변조된 심볼을 복소수에서 양의 실수로 변환하여 데이터 전송율을 향상시키는 효과적인 기법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극좌표 변조 과정에서 발생하는 비선형성으로 인해 변조 이후 심볼 간 유클리디언 거리가 균일하지 못해 특정 심볼의 오류 확률이 증가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극좌표 변조 이후 심볼간 균일한 유클리디언 거리를 유지하기 위해 Constellation Rearrangement (CR) 기법이 적용된 극좌표 변조 기법을 제안한다. 모의 실험 결과 제안된 극좌표변조 기법은 QCM 변조방식[11] 대비 BER 성능과 전송량이 우수함을 확인하였으며, 일반적인 극좌표 변조방식 대비 동일한 전송량에서 BER 성능과 소비전력 측면에서 우수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R. Tejaswi, "Quad-LED complex modulation(QCM)for visible light wireless communication" 2016

      2 J. Armstrong, "Power efficient optical OFDM" 12 (12): 370-372, 2006

      3 P. Butala, "Performance of optical spatial modulation and spatial multiplexing with imaging receiver" 2014

      4 T. Fath, "Perfor- mance comparison of MIMO techniques for optical wireless communication in indoor environment" 61 (61): 733-742, 2013

      5 O. Gonzlez, "OFDM over indoor wireless optical channel" 152 (152): 199-204, 2005

      6 J. Armstrong, "OFDM for optical communications" 27 (27): 89-204, 2009

      7 H. Elgala, "Indoor optical wireless communication : potential and state-of-the-art" 49 (49): 56-62, 2011

      8 R. Mesleh, "Indoor MIMO optical wireless communication using spatial modulation" 1-5, 2010

      9 S. P. Alaka, "Generalized spatial modulation in indoor wireless visible light communication" 2015

      10 W. O. Popoola, "Error performance of generalised space shift keying for indoor visible light communications" 61 (61): 1968-1976, 2013

      1 R. Tejaswi, "Quad-LED complex modulation(QCM)for visible light wireless communication" 2016

      2 J. Armstrong, "Power efficient optical OFDM" 12 (12): 370-372, 2006

      3 P. Butala, "Performance of optical spatial modulation and spatial multiplexing with imaging receiver" 2014

      4 T. Fath, "Perfor- mance comparison of MIMO techniques for optical wireless communication in indoor environment" 61 (61): 733-742, 2013

      5 O. Gonzlez, "OFDM over indoor wireless optical channel" 152 (152): 199-204, 2005

      6 J. Armstrong, "OFDM for optical communications" 27 (27): 89-204, 2009

      7 H. Elgala, "Indoor optical wireless communication : potential and state-of-the-art" 49 (49): 56-62, 2011

      8 R. Mesleh, "Indoor MIMO optical wireless communication using spatial modulation" 1-5, 2010

      9 S. P. Alaka, "Generalized spatial modulation in indoor wireless visible light communication" 2015

      10 W. O. Popoola, "Error performance of generalised space shift keying for indoor visible light communications" 61 (61): 1968-1976, 2013

      11 Y. Gong, "Analysis of space shift keying modulation applied to visible light communications" 503-507, 201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계속평가)
      202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20-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