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경사지붕 최상층세대의 공간활용에 관한 연구  :  (Utilization of Attic Space in Top Floor Apartments with Pitched Roof)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G362600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 part of KNHC's House of New Concept Development Program, mainly aims at developing "space utilization housing" in design side to fully utilize space which has been ignored from the planning phase. "Attic space in pitched roof" and "spaces adjacent. to the first floor apartments", "both side walls of an apartment building" as other space are selected to be the theme in that the literal meaning of utilizing space has multi-usages and multi-objectives. Especially, some design rules and prototypes elaboratively developed through the study present planning elements required for each types in the concrete, from which designer will be able to use them positively when designing a "space utilized house". In addition, application methods for each type based on 85 square meters adopted by KNHC are presented to help the designers to understand through design prototypes. Steering strategies on KNHC's development of new house and business side are also presented for the developed design rules about space utilized house to be useful as well as revision examples for the regulations that constrain utilizing space. Developing space utilized house including various methods of utilizing space can be applicable to the KNHC house development, for increasing competitiveness as a guideline. Because the design niles for space utilized house in this study have applicable scope of utilizing space and wide range of elements to consider in planning phase as well as design prototype, they have limitation to be applied widely until the current laws and regulations are revised. Consequently, Arrangement of national standards system, development of technology related to architecture and encouragement of all participants' moral have to be exerted and researched continuously to vitalize space utilized house. At the same time, the current design method which concentrates on just one building must be discarded and exertion on application in overall view based on various types of utilizing space presented must be continued.
      번역하기

      This study, a part of KNHC's House of New Concept Development Program, mainly aims at developing "space utilization housing" in design side to fully utilize space which has been ignored from the planning phase. "Attic space in pitched roof" and "space...

      This study, a part of KNHC's House of New Concept Development Program, mainly aims at developing "space utilization housing" in design side to fully utilize space which has been ignored from the planning phase. "Attic space in pitched roof" and "spaces adjacent. to the first floor apartments", "both side walls of an apartment building" as other space are selected to be the theme in that the literal meaning of utilizing space has multi-usages and multi-objectives. Especially, some design rules and prototypes elaboratively developed through the study present planning elements required for each types in the concrete, from which designer will be able to use them positively when designing a "space utilized house". In addition, application methods for each type based on 85 square meters adopted by KNHC are presented to help the designers to understand through design prototypes. Steering strategies on KNHC's development of new house and business side are also presented for the developed design rules about space utilized house to be useful as well as revision examples for the regulations that constrain utilizing space. Developing space utilized house including various methods of utilizing space can be applicable to the KNHC house development, for increasing competitiveness as a guideline. Because the design niles for space utilized house in this study have applicable scope of utilizing space and wide range of elements to consider in planning phase as well as design prototype, they have limitation to be applied widely until the current laws and regulations are revised. Consequently, Arrangement of national standards system, development of technology related to architecture and encouragement of all participants' moral have to be exerted and researched continuously to vitalize space utilized house. At the same time, the current design method which concentrates on just one building must be discarded and exertion on application in overall view based on various types of utilizing space presented must be continu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공사 신주택 개발" 의 일환으로 수행한 본 연구는 현재 공간 활용이 미비한 공간이나 계획 초기단계부터 공간 활용이 불가능하게 계획된 공간을 주된 대상으로 향후 이들 공간이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설계적 측면에서의 "공간 활용형 주택 개발" 을 주된 목표로 하고 있다. 또한, 공간활용이라는 어휘 자체가 지니고 있는 다목적-다용도적인 특성을 고려하여 공동주택 최상층세대의 경사지분 공간 및 기타공간으로서 최하층주호 인접공간, 측세대 측벽부위 공간 등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 제시한 설계준칙과 설계시안은 설계자가 공간 활용형 주택 설계시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각 유형별로 요구되는 계획요소를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이와 병행하여 설계자의 이해도를 증진시키고자 공사에서 적용하고 있는 전용면적 85m²의 단위세대 평면도를 기본으로 각 유형별 가용방법을 설계시안으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제시한 공간 활용형 주택 설계준칙의 실무적 활용성 제고를 위하여 공사 신주택 개발 및 사업적 차원에서의 구체적인 추진 전략을 제시함과 동시에 현행 건축법 중에서 공간 활용을 제약하고 있는 규정에 대한 개정시안도 제시하였다. 이상과 같이 본 연구는 구체적인 공간활용형 주택개발이라는 차원 뿐만 아니라, 다변화하는 수요자의 요구에 대응할 수 있는 다양한 공간활용 방법을 개발-제시한 것으로서, 향후 경쟁력 제고를 위한 공사주택 개발시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기준으로서도 커다란 의미를 지니고 있음을 주지하고자 한다. 또한 본 연구에서 제시한 공간활용형 주택 설계준칙은 공간활용의 가용범위와 설계자가 계획시 고려할 제반 요소 등을 설계시안과 병행하여 제시한 것이므로 현행 법-제도가 개진되지 않는 한 범용적으로 활용하는 데에는 분명한 한계를 지니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는 공간활용형 주택의 실용화를 위해서는 전제적 요소로 작용하고 있는 국가 기준체계 정립과 건축 관련 기술개발, 구성원 전체의 의식구조 함양 등에 관한 지속적인 연구-노력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또한 공간 활용이라는 것을 단위주호만의 문제로 한정하여 추진하고 있는 현행 설계방식에서 보다 과감하게 탈피하고, 본 연구에서 제시한 각종 공간활용 유형을 대상으로 하여 보다 종합적인 차원에서 적극적인 활용이 가능하도록 지속적인 실용화 노력도 병행하여 수행되어야 한다.
      번역하기

      "공사 신주택 개발" 의 일환으로 수행한 본 연구는 현재 공간 활용이 미비한 공간이나 계획 초기단계부터 공간 활용이 불가능하게 계획된 공간을 주된 대상으로 향후 이들 공간이 적극적으...

      "공사 신주택 개발" 의 일환으로 수행한 본 연구는 현재 공간 활용이 미비한 공간이나 계획 초기단계부터 공간 활용이 불가능하게 계획된 공간을 주된 대상으로 향후 이들 공간이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설계적 측면에서의 "공간 활용형 주택 개발" 을 주된 목표로 하고 있다. 또한, 공간활용이라는 어휘 자체가 지니고 있는 다목적-다용도적인 특성을 고려하여 공동주택 최상층세대의 경사지분 공간 및 기타공간으로서 최하층주호 인접공간, 측세대 측벽부위 공간 등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 제시한 설계준칙과 설계시안은 설계자가 공간 활용형 주택 설계시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각 유형별로 요구되는 계획요소를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이와 병행하여 설계자의 이해도를 증진시키고자 공사에서 적용하고 있는 전용면적 85m²의 단위세대 평면도를 기본으로 각 유형별 가용방법을 설계시안으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제시한 공간 활용형 주택 설계준칙의 실무적 활용성 제고를 위하여 공사 신주택 개발 및 사업적 차원에서의 구체적인 추진 전략을 제시함과 동시에 현행 건축법 중에서 공간 활용을 제약하고 있는 규정에 대한 개정시안도 제시하였다. 이상과 같이 본 연구는 구체적인 공간활용형 주택개발이라는 차원 뿐만 아니라, 다변화하는 수요자의 요구에 대응할 수 있는 다양한 공간활용 방법을 개발-제시한 것으로서, 향후 경쟁력 제고를 위한 공사주택 개발시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기준으로서도 커다란 의미를 지니고 있음을 주지하고자 한다. 또한 본 연구에서 제시한 공간활용형 주택 설계준칙은 공간활용의 가용범위와 설계자가 계획시 고려할 제반 요소 등을 설계시안과 병행하여 제시한 것이므로 현행 법-제도가 개진되지 않는 한 범용적으로 활용하는 데에는 분명한 한계를 지니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는 공간활용형 주택의 실용화를 위해서는 전제적 요소로 작용하고 있는 국가 기준체계 정립과 건축 관련 기술개발, 구성원 전체의 의식구조 함양 등에 관한 지속적인 연구-노력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또한 공간 활용이라는 것을 단위주호만의 문제로 한정하여 추진하고 있는 현행 설계방식에서 보다 과감하게 탈피하고, 본 연구에서 제시한 각종 공간활용 유형을 대상으로 하여 보다 종합적인 차원에서 적극적인 활용이 가능하도록 지속적인 실용화 노력도 병행하여 수행되어야 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장 서론
      • 1.1 연구배경 및 목적
      • 1.1.1 연구배경
      • 1.1.2 연구목적
      • 1.2 연구범위 및 방법
      • 1장 서론
      • 1.1 연구배경 및 목적
      • 1.1.1 연구배경
      • 1.1.2 연구목적
      • 1.2 연구범위 및 방법
      • 1.2.1 연구범위
      • 1.2.2 연구방법
      • 2장 공간활용 적용현황
      • 2.1 국내 적용현황
      • 2.1.1 현황조사 개요
      • 2.1.2 경사지붕 공간활용
      • 2.1.3 기타공간 활용
      • 2.2 일본 적용현황
      • 2.2.1 현황조사 개요
      • 2.2.2 경사지붕 공간활용
      • 2.2.3 기타공간 활용
      • 2.3 국내외 관련법규 현황
      • 2.3.1 국내 관련법규 현황
      • 2.3.2 일본 관련법규 현황
      • 3장 공간활용 실태분석 및 적용성 검토
      • 3.1 실태조사 방법 및 대상
      • 3.1.1 국내 실태조사
      • 3.1.2 일본 실태조사
      • 3.2 면접조사를 통한 실태분석
      • 3.1.1 국내 실태분석
      • 3.2.2 일본 실태 분석
      • 3.3 설문조사를 통한 실태분석
      • 3.3.1 국내 실태분석
      • 3.3.2 일본 실태분석
      • 3.3.3 국내외 설문분석 종합
      • 3.4 분석요소 종합 및 적용성 검토
      • 3.4.1 분석요소 종합
      • 3.4.2 적용성 검토
      • 4장 공간 활용형 주택 설계 준칙 및 시안 개발
      • 4.1 적용 원칙 및 범위
      • 4.1.1 적용원칙
      • 4.1.2 적용범위
      • 4.2 단계별 구성체계 및 전제조건
      • 4.2.1 구성체계 - 단계별 순환체계
      • 4.2.2 단계별 특성
      • 4.2.3 전제조건 - 설계자 의식 제고
      • 4.3 유형별로 고려할 제반 요소
      • 4.3.1 유형 선정
      • 4.3.2 유형별 제반 계획요소
      • 4.4 유형별 설계 기준
      • 4.4.1 정의 및 대상 선정
      • 4.4.2 경사지붕 공간 활용형
      • 4.4.3 기타 공간 활용헝
      • 4.5 유형별 특징 및 설계시안
      • 4.5.1 경사지붕 공간 활용형
      • 4.5.2 기타공간 활용형
      • 4.5.3 기타 설계시안 - 사다리
      • 5장 활용성 제고를 위한 전략 구상
      • 5.1 신제품 개발 차원에서의 접근
      • 5.1.1 최근 수요자 요구패턴
      • 5.1.2 시장조사
      • 5.1.3 사업지구 선정
      • 5.1.4 설계ㆍ기술 개발 방향
      • 5.1.5 비용과 기능의 검토
      • 5.2 분양 및 홍보
      • 5.2.1 분양홍보
      • 5.2.2 분양방법
      • 5.3 사후 유지관리
      • 5.4 건축법규 개정방향
      • 5.4.1 문제점 및 개선방향
      • 5.5 공간활용 개발(안) 단계별 활용 전략
      • 6장 결론 및 향후 연구방향 설정
      • 6.1 결론
      • 6.2 항후 연구 방향 설정
      • 참고문헌
      • 부록
      • 부록1. 국내 공간활용형 주택 사례
      • 부록2. 일본 공간활용형 주택 사례
      • 부록3. 국내 다락방활용 실태조사 설문지
      • 부록4. 일본 지붕내부 공간활용 관련 설문조사 결과(원본)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