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중국어 문법 연구 중 통사론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반면, 형태론에 관한 연구는 여러 가지 방면에서 아직 미흡한 상태이다. 가장 근본적인 원인은 인도유럽어의 영향으...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4879021
2005
-
KCI등재
학술저널
75-89(15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현대 중국어 문법 연구 중 통사론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반면, 형태론에 관한 연구는 여러 가지 방면에서 아직 미흡한 상태이다. 가장 근본적인 원인은 인도유럽어의 영향으...
현대 중국어 문법 연구 중 통사론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반면, 형태론에 관한 연구는 여러 가지 방면에서 아직 미흡한 상태이다. 가장 근본적인 원인은 인도유럽어의 영향으로 영어를 비롯한 인도유럽어는 굴절어로서 굴절 형태가 아주 발달된 언어이며 굴절 형태 연구는 인도유럽어 형태론 연구에 있어 매우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과는 달리, 현대 중국어는 고립어로서 굴절 형태가 상대적으로 적은 언어로 취급되어 중국어 굴절의 형태론적 과정에 대한 언급이 그리 많지 않았기 때문이다. 중국어 굴절 형태가 인도유럽어만큼 발달되지 않은 것은 사실이지만, 중국어 특유의 굴절 형태가 있고 그 특성 또한 연구할 만한 가치가 충분히 있다고 판단된다.
다음은 본고에서 주장하는 중국어 형태에 관한 분석이다.
1. 본고에서 말하는 '形態'는 '굴절 형태'를 지칭하며, 이것은 한 단어 내에서의 형태 변화를 의미하고, 단어의 범위를 벗어난 소위 말하는 '광의의 형태'는 인정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단어와 단어 사이의 관계는 이미 형태론의 연구 범위를 넘어선 통사론의 연구 대상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형태 변화를 통해 문법적인 의미는 더해지지만 어휘적인 의미는 변화하지 않는다.
2. 중국어 '形態'가 '굴절 형태'를 지칭하므로 중국어에서는 '構詞形態'란 술어가 적절하지 않고, '構詞詞綴' 혹은 '派生詞綴'로 대신한다. '構形后綴' 이라는 술어 또한 '后綴'가 어근에 붙어 새로운 단어를 만들어 내는 파생의 의미를 나타내므로 굴절의 의미를 나타내는 것은 '構形詞尾'의 용어를 사용한다.
3. 본고에서 주장하는 중국어의 굴절 형태는 다음 몇 가지에 국한된다.
-단어의 중첩은 중국어의 전형적인 굴절형태 과정이다.
-종래에 '兒'과 '子'를 모두 '派生詞綴'로 분류하였던 것에 비해 본고는 이들을 그 성질과 특성에 따라 중국어 굴절 형태를 나타내는 '構形詞尾'와 그렇지 않은 '派生詞綴'로 구분하였다. -構形詞尾 '了','着','過'는 相의 문법범주를 표시한다.
-構形詞尾 '們' 은 복수의 문법범주를 표시한다.
4. 중국어 문법 연구의 전반적인 발전을 위해서는 형태론에 관한 연구가 반드시 필요하며, 특히 굴절 형태에 관한 연구는 더욱 절실한 상태이다. 굴절 형태에 대한 관심과 연구는 아직 시작 단계에 불과함으로 이후의 깊이 있는 연구를 통해 중국어 특유의 더 많은 굴절 형태를 제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믿는다.
참고문헌 (Reference)
1 "論趨向動詞問題" 徐州師範大學學報 2001
2 "現代語言學詞典" 2000
3 "現代漢語詞綴的性質,範圍和分類" 安徽敎育出版社 42-91, 2002
4 "現代漢語詞匯學" 山東人民出版社 2001
5 "現代漢語理論敎程" 高等敎育出版社 2002
6 "現代漢語八百詞" 1996
7 "王力語言學論文集" 2000
8 "漢語的詞庫與詞法" 北京大學出版社 2004
9 "憂樂齋文存-馬慶株自選集" 2004
10 "形態和漢語語法硏究" 2005
1 "論趨向動詞問題" 徐州師範大學學報 2001
2 "現代語言學詞典" 2000
3 "現代漢語詞綴的性質,範圍和分類" 安徽敎育出版社 42-91, 2002
4 "現代漢語詞匯學" 山東人民出版社 2001
5 "現代漢語理論敎程" 高等敎育出版社 2002
6 "現代漢語八百詞" 1996
7 "王力語言學論文集" 2000
8 "漢語的詞庫與詞法" 北京大學出版社 2004
9 "憂樂齋文存-馬慶株自選集" 2004
10 "形態和漢語語法硏究" 2005
11 "天津:南開大學出版社" 南開大學出版社 158-171,
12 "二十世紀的漢語詞匯學" 書海出版社 2000
13 "《構詞法和構形法》" 湖北人民出版社 1881
朱子 易學의 象數學적 特性 硏究 -'河圖'·'洛書'·'太極'의 관계를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24 | 0.24 | 0.2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19 | 0.19 | 0.477 | 0.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