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paper is researching the figurations of 4 female characters at the poems of the historical novel 『Three Kingdoms』. The story of 『Three Kingdoms』develops around the major male characters like Cao Cao(曹操), Zhou Yu(周瑜), Liu Bei(劉...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4076682
2015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49-88(40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is researching the figurations of 4 female characters at the poems of the historical novel 『Three Kingdoms』. The story of 『Three Kingdoms』develops around the major male characters like Cao Cao(曹操), Zhou Yu(周瑜), Liu Bei(劉...
This paper is researching the figurations of 4 female characters at the poems of the historical novel 『Three Kingdoms』. The story of 『Three Kingdoms』develops around the major male characters like Cao Cao(曹操), Zhou Yu(周瑜), Liu Bei(劉備), Guan Yu(關羽) and Kong ming(孔明). However, although the proportions are not comparable to those male charscters', more than 80 female characrters also come on the stage, and only 13 females are mentioned at the poems of the novel, This paper is researching the figurations of 4 female characters among them, lke Diao Chan(貂蟬), Xu’ mother(徐母), Madamme Mi(糜夫人), and Xiahou Ling's daughter(夏侯令女) The images expressed at the poems are very characteristic. Diao Chan(貂蟬) is figured to be sexy and righteous, Xu’ mother(徐母) to be strong and indignant, Madame Mi(糜夫人) to be resolute and sacificial, and Xiahou Ling's daughter(夏侯令女) to be faithful and high-principled. These four female's images seem different each other apparently, but in fact they are all depicted on the basis of confucianism commonly. So it could be said that the four female's images are all the same in some sense.
참고문헌 (Reference)
1 하라 요헤이, "한권으로 읽는 핵심 「삼국지」" 에버리치홀딩스 2006
2 조용관, "중국혁명과 가정윤리" 고려대학교 1998
3 李淑仁, "중국고대의 여성윤리사상 형성에 관한 연구 : 五經에 대한 비판적 분석을 중심으로" 成均館大學校 大學院 1997
4 송정화, "중국, 여성 그리고 역사" 박이정 2005
5 徐傳武, "우리가 정말 알아야 할 삼국지 상식 백가지" 현암사 2005
6 최용현, "삼국지 인물 108인전" 일송북 2013
7 鄭鐵生, "삼국지 시가 감상" 현암사 2007
8 미나미 리츠코, "삼국지 깊이읽기" 작가정신 2007
9 陳才俊, "모략과 지략의 미학 삼십육계" 시그마북스 2010
1 하라 요헤이, "한권으로 읽는 핵심 「삼국지」" 에버리치홀딩스 2006
2 조용관, "중국혁명과 가정윤리" 고려대학교 1998
3 李淑仁, "중국고대의 여성윤리사상 형성에 관한 연구 : 五經에 대한 비판적 분석을 중심으로" 成均館大學校 大學院 1997
4 송정화, "중국, 여성 그리고 역사" 박이정 2005
5 徐傳武, "우리가 정말 알아야 할 삼국지 상식 백가지" 현암사 2005
6 최용현, "삼국지 인물 108인전" 일송북 2013
7 鄭鐵生, "삼국지 시가 감상" 현암사 2007
8 미나미 리츠코, "삼국지 깊이읽기" 작가정신 2007
9 陳才俊, "모략과 지략의 미학 삼십육계" 시그마북스 2010
10 임보원, "고전소설의 여성 인물 성격 변화 양상에 대한 고찰" 공주대학교 대학원 2012
11 鄧承奇, "論 三國演義 中詩詞的審美作用" 5 : 2004
12 宋瑛娜, "談 三國演義 的女性觀念" 4 : 2014
13 李占輝, "淺談 三國演義 中的女性形象" 8 : 2013
14 梁明英, "淺析 三國演義 作者女性觀的矛盾" 3 : 2014
15 王凌, "毛本 三国志演义 诗词的互文性解读" 2 : 2014
16 劉寧, "戰場上被踐踏的花-淺析 三國演義 中的女性形象" 11 : 2007
17 郭健敏, "巾幗不讓須眉 -論 三國演義 中的女性描寫" 6 : 2013
18 황영희, "唐詩講解" 경상대학교 출판부 2010
19 金學主, "中國文學史(Ⅱ)" 韓國放送通信大學 1989
20 關德富, "中國四大名著 詩詞解析" 吉林人民出版社 1999
21 史鳳儀, "中國古代婚姻與家庭" 湖南人民出版社 1987
22 郭瑞林, "三國演義 的女性形象及其思想道德意蘊" 2004
23 羅貫中, "三國演義" 中華書局 2006
24 朱金丹, "三國志演義의 女性人物 硏究" 국민대학교 대학원 2015
25 李慶善, "三國志演義人物考" 1972
26 沈伯俊, "三國志事典" 현암사 2010
27 楊益, "三國志 여인천하" 비즈니스맵 2012
28 晋, "三國志" 中華書局 2008
29 姜明, "三国演义 中的女性形象分析" 7 : 2009
30 이유진, "『호색일대남』에 나타난 여성상 연구" 檀國大學校 敎育大學院 2007
31 이다민, "《삼국지연의》에 나타난 여성인물 연구" 공주대학교 대학원 2010
32 유풀잎, "≪紅樓夢≫에 나타난 女性像 硏究"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33 李萬鈞, "'詩' 在中國古典長篇小說中的功能" 3 : 1996
당빌의 「조선왕국전도」와 확대 재생산된 조선전도들의 의미
현대 중국어 ‘够’에 대한 의미적·화용적 고찰 -‘够+형’ 구조 중심으로
문학번역 텍스트의 전용: 하이재킹(hijacking) -토니 모리슨의 『가장 푸른 눈』을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1 | 0.41 | 0.4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1 | 0.43 | 0.781 | 0.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