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주식시장에서 대량주식보유 구조가 기업가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혹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741087
-
2014년
Korean
대량주식보유자 분산 ; Block Ownership ; Firm Value ; Herfindahl Index ; Spread ; 대량주식보유자 크기 ; 대량주식보유자 존재 ; 기업가치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주식시장에서 대량주식보유 구조가 기업가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혹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주식시장에서 대량주식보유 구조가 기업가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혹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우리나라 기업을 대상으로 대량주식보유자의 분산, 크기, 및 존재와 토빈의 Q 사이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대량주식보유자 분산의 대용변수로서 Herfindahl 지수, 대량주식보유자의 수, 및 Gini 계수를 사용하였다. 대량주식보유자 크기의 대용변수로서 대량주식보유자 지분율 전체합계, 내부와 외부 대량주식보유자 지분율 합계로 세분화하여 분석하였다. 대량주식보유자 존재여부는 기업내 적어도 하나의 내부와 외부 대량주식보유자가 있는 경우 각각 더미변수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실증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Herfindahl 지수 및 Gini 계수와 토빈의 Q 사이에 음(-)의 관계, 대량주식보유자의 수와 토빈의 Q 사이에 양(+)의 관계가 성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대량주식보유자의 분산 정도가 높을수록 기업가치가 높아지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대량주식보유자의 분산정도가 기업가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Edmans와 Manso(2011)의 주장과 일치한다. 둘째, 대량주식보유자의 크기(예: 전체 지분율 합계, 내부 및 외부 대량주식보유자 지분율 합계)와 기업가치 사이에는 일관된 부호와 통계적인 유의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외부 대량주식보유자 존재와 토빈의 Q 사이에서는 유의한 음(-)의 관계가 성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적어도 기업 내에 외부 대량주식보유자가 존재하면 기업가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해석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empirically whether block ownership structure are negatively or positively related to firm value in KOSPI 200 firms. For this, this study test the correlation between blockholder dispersion, size, and presence ...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empirically whether block ownership structure are negatively or positively related to firm value in KOSPI 200 firms. For this, this study test the correlation between blockholder dispersion, size, and presence and Tobin’s Q. This study proxied for blockholder dispersion by Herfindahl index, blockholder number, and Gini coefficient, proxied for blockholder size by total block fraction, inside blockholder, and outside blockholder, and proxied for blockholder presence by a dummy for the presence of at least one inside blockholder and outside blockholder.
This empirical findings are as fellows. First, this study showed that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Herfindahl index and Gini coefficient and Tobin’s Q, and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blockholder number and Tobin’s Q. This implies that more blockholder dispersion implies a higher value of the firm. The positive relation between the blockholder dispersion and Q appears in line with the theory that blockholder dispersion can be good for firm value(Edmans and Manso, 2011). Second, there is no significant correlation and consistent signs between the total block fraction, inside blockholder, and outside blockholder and firm value. Third, this study showed that there is the negative rel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