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건축물 미술작품의 사후관리를 위한 법령 개정 방향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54255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일정한 종류 또는 규모 이상을 건축하려면 건축비의 일정 비율에 해당하는 금액을 이른바 ‘건축물 미술작품’의 설치에 쓰거나 문화예술진흥기금에 출연하여야 한다(문화예술진흥법 제9조, 동법 시행령 제12조, 제13조, 제13조의2, 제14조, 제15조, 제15조의2 참조). 이 제도는 1972년부터 권장사항으로 실시되었던 내용을 1995년 의무사항으로 법정화한 것으로서 건축주의 입장에서 보면 중요한 재산권 행사의 제한에 해당한다. 2014년 10월 31일 현재 전국에 설치된 건축물 미술작품은 총 14,435점, 금액으로 환산하면 1조 원에 넘는다. 그런데 이들 미술작품에 대한 수명(life span), 사후관리규정이 제대로 갖추어지지않아 그 중 많은 작품들이 도시의 흉물로 전락되고 있다. 이 글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법개정의 방향을 어떻게 정립할 것인지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먼저 사후관리의 개념과 범위, 관리관계의 당사자(건축물 양도를 포함하여) 및 존속기간, 관리권의 행사요건, 관리의무의 내용을 차례로 검토한 후(Ⅱ), 입법자가 선택할 수 있는 부담금과 민관협력계약 두 가지 방식 중 원칙적으로 민관협력계약 방식을 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입장에서 이를 보충하기 위한 기금 및 표준계약서의도입가능성을 살펴보고(Ⅲ), 현재 국회에 제출된 개정안의 내용을 비판한 후(Ⅳ) 마지막으로 현행 문화예술진흥법과 그 시행령의 해당조항들에 대한 개정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Ⅴ).


      번역하기

      일정한 종류 또는 규모 이상을 건축하려면 건축비의 일정 비율에 해당하는 금액을 이른바 ‘건축물 미술작품’의 설치에 쓰거나 문화예술진흥기금에 출연하여야 한다(문화예술진흥법 제9...

      일정한 종류 또는 규모 이상을 건축하려면 건축비의 일정 비율에 해당하는 금액을 이른바 ‘건축물 미술작품’의 설치에 쓰거나 문화예술진흥기금에 출연하여야 한다(문화예술진흥법 제9조, 동법 시행령 제12조, 제13조, 제13조의2, 제14조, 제15조, 제15조의2 참조). 이 제도는 1972년부터 권장사항으로 실시되었던 내용을 1995년 의무사항으로 법정화한 것으로서 건축주의 입장에서 보면 중요한 재산권 행사의 제한에 해당한다. 2014년 10월 31일 현재 전국에 설치된 건축물 미술작품은 총 14,435점, 금액으로 환산하면 1조 원에 넘는다. 그런데 이들 미술작품에 대한 수명(life span), 사후관리규정이 제대로 갖추어지지않아 그 중 많은 작품들이 도시의 흉물로 전락되고 있다. 이 글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법개정의 방향을 어떻게 정립할 것인지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먼저 사후관리의 개념과 범위, 관리관계의 당사자(건축물 양도를 포함하여) 및 존속기간, 관리권의 행사요건, 관리의무의 내용을 차례로 검토한 후(Ⅱ), 입법자가 선택할 수 있는 부담금과 민관협력계약 두 가지 방식 중 원칙적으로 민관협력계약 방식을 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입장에서 이를 보충하기 위한 기금 및 표준계약서의도입가능성을 살펴보고(Ⅲ), 현재 국회에 제출된 개정안의 내용을 비판한 후(Ⅳ) 마지막으로 현행 문화예술진흥법과 그 시행령의 해당조항들에 대한 개정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Ⅴ).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ccording to the Korean current Culture and Arts Promotion Act, any person who intends to construct any building falling under the category or same as or larger than the size prescribed by the concerning Presidential Enforcement Decree shall spend an amount equivalent to a specified ratio of the construction cost of the building on art decorations(so-call ‘arts-in-architecture’); or he shall contribute, in lieu of spending, 70% of the amount to the Culture and Arts Promotion Fund(art. 9 of the Culture and Arts Promotion Act, arts. 12, 13, 132, 14, 15, 15-2 of the Enforcement Decree). The arts-in-architecture, for the time being having stayed a recommendation since 1972 until there came out a law mandating it in 1995, is now functioning as a serious limitation to private property. As of October 31, 2014 there are nationalwide totally 14,435 artworks with the amount of one billion dollars. Although a corporeal artwork, especially set up in the open air, is bound to need more post management with the passage of time, there is actually no statutory clause regulating its life span or necessary management measures. As the result, a considerable number of artworks have degenerated as the city's horrid things. This article aims to cope with such a problem through law reform. After the topic is circumscribed in Part Ⅰ, some essential issues about ex post management is scrutinized in Part Ⅱ: concept, scope, parties(including the case of transfer), life span, conditions and effects. Part Ⅲ is mainly dedicate to the review of feasibilities of charge and public-private-partnership(PPP) as reform model, on which the latter is preferred on principle, possibly supplemented by nationally/ locally managed fund and a standard contract form between an owner and a contractor. The bill actually introduced in the Congress is criticized in Part Ⅳ; an alternative amendment idea is proposed in Part Ⅴ.


      번역하기

      According to the Korean current Culture and Arts Promotion Act, any person who intends to construct any building falling under the category or same as or larger than the size prescribed by the concerning Presidential Enforcement Decree shall spend an ...

      According to the Korean current Culture and Arts Promotion Act, any person who intends to construct any building falling under the category or same as or larger than the size prescribed by the concerning Presidential Enforcement Decree shall spend an amount equivalent to a specified ratio of the construction cost of the building on art decorations(so-call ‘arts-in-architecture’); or he shall contribute, in lieu of spending, 70% of the amount to the Culture and Arts Promotion Fund(art. 9 of the Culture and Arts Promotion Act, arts. 12, 13, 132, 14, 15, 15-2 of the Enforcement Decree). The arts-in-architecture, for the time being having stayed a recommendation since 1972 until there came out a law mandating it in 1995, is now functioning as a serious limitation to private property. As of October 31, 2014 there are nationalwide totally 14,435 artworks with the amount of one billion dollars. Although a corporeal artwork, especially set up in the open air, is bound to need more post management with the passage of time, there is actually no statutory clause regulating its life span or necessary management measures. As the result, a considerable number of artworks have degenerated as the city's horrid things. This article aims to cope with such a problem through law reform. After the topic is circumscribed in Part Ⅰ, some essential issues about ex post management is scrutinized in Part Ⅱ: concept, scope, parties(including the case of transfer), life span, conditions and effects. Part Ⅲ is mainly dedicate to the review of feasibilities of charge and public-private-partnership(PPP) as reform model, on which the latter is preferred on principle, possibly supplemented by nationally/ locally managed fund and a standard contract form between an owner and a contractor. The bill actually introduced in the Congress is criticized in Part Ⅳ; an alternative amendment idea is proposed in Part Ⅴ.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I. 序言: 문제의 소재
      • II. 각 쟁점의 검토
      • III. 가능한 입법의 선택지
      • IV. 현재 제출된 개정안의 검토
      • 【국문초록】
      • I. 序言: 문제의 소재
      • II. 각 쟁점의 검토
      • III. 가능한 입법의 선택지
      • IV. 현재 제출된 개정안의 검토
      • V. 結語: 법령 개정의 방향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권영성, "헌법학원론" 법문사 2005

      2 성낙인, "헌법학" 법문사 2005

      3 김대인, "행정기능의 민영화와 관련된 행정계약: 민관협력계약과 민간위탁계약을 중심으로" 행정법이론실무학회(行政法理論實務學會) 14 : 347-376, 2005

      4 이상정, "소유권과 저작권의 충돌과 조화에 관한 일고" 한국지식재산학회 (33) : 231-265, 2010

      5 지원림, "민법강의" 홍문사 2014

      6 이준형, "미술저작물에 있어서 저작권과 소유권의 충돌"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 10 (10): 127-154, 2007

      7 구본진, "미술가의 저작인격권" 경인문화사 2011

      8 최병규, "문화콘텐츠 관련 기금의 현황과 법적과제" 한국법제연구원 2004

      9 김성수, "국민건강부담금과 건강기금의 헌법적 문제점" 한국공법학회 32 (32): 707-736, 2004

      10 윤재윤, "건설분쟁관계법" 박영사 2014

      1 권영성, "헌법학원론" 법문사 2005

      2 성낙인, "헌법학" 법문사 2005

      3 김대인, "행정기능의 민영화와 관련된 행정계약: 민관협력계약과 민간위탁계약을 중심으로" 행정법이론실무학회(行政法理論實務學會) 14 : 347-376, 2005

      4 이상정, "소유권과 저작권의 충돌과 조화에 관한 일고" 한국지식재산학회 (33) : 231-265, 2010

      5 지원림, "민법강의" 홍문사 2014

      6 이준형, "미술저작물에 있어서 저작권과 소유권의 충돌"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 10 (10): 127-154, 2007

      7 구본진, "미술가의 저작인격권" 경인문화사 2011

      8 최병규, "문화콘텐츠 관련 기금의 현황과 법적과제" 한국법제연구원 2004

      9 김성수, "국민건강부담금과 건강기금의 헌법적 문제점" 한국공법학회 32 (32): 707-736, 2004

      10 윤재윤, "건설분쟁관계법" 박영사 2014

      11 柴田葵, "文化の 1%システムの日本における展開" 6 (6): 2009

      12 Donald W. Thalacker, "The place of art in the world of architecture" Chelsea House Publishers 1980

      13 GSAart in architecture : selected artworks, 1997-2008, "GSAart in architecture: selected artworks, 1997-2008" General Services Administration, Public Buildings Service 200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1 0.71 0.6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3 0.6 0.679 0.4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