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신라 적석목곽분 출현과 기마민족 이동의 상관관계에 대한 재검토 - 위신재 유물을 중심으로- = A Critical Reexamin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ppearance of Stone-compiled Wooden Chamber Tomb and the Migration of Scythian Horse-riders in the Silla Kingdom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critically re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igration of Scythian horse-riders and the appearance of stone-compiled wooden chamber tombs in Gyeongju, the capital of the Silla Kingdom. Based on the prestigious artifacts such as crown, rings, necklaces made with gold and/or silver, various kinds of bronze vessels, Roman/Persian glasses that have been recovered from the burials located in Gyeongju, this paper argues that there is no direct relationship between Scythian horse-riders' invasion/migration and the appearance of their unique tombs anywhere in the Silla territory.
      First of all, it is pointed out that there is a huge gap between the Scythian polities and Silla Kingdom in terms of the time and space. Second of all, although some exotic artifacts have been discovered from the burials located in Gyeongju, they are not the material manifestation of the ‘horse-riders' migration,' but the by-products of ‘long-distance exchange' or ‘culture contact' in one way or another. In addition, although some similarities between the two regions in terms of artifact motifs and burial structures have been identified, they may be the results of either parallel development that took separately place in each region at different time or superficial observations and/or arbitrary interpretations made by the horse-rider theorists. It is also important to note that while horse-rider theorists have been too much emphasizing the similarities between the burial structures discovered in each region. As a consequence, they consciously or unconsciously ignored or overlooked the differences between them.
      This paper emphasizes that some of Korean researchers have to pay close attention to the role of local indigenous people's independent development in the course of Korean history. In particular, it is argued that now is the time for Korean researchers to make a shift from ‘diffusion and/or migration' to ‘processual point of view' to interpret the culture change in the Silla Kingdom in specific and throughout Korean histories in general.
      번역하기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critically re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igration of Scythian horse-riders and the appearance of stone-compiled wooden chamber tombs in Gyeongju, the capital of the Silla Kingdom. Based on the prestigious ar...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critically re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igration of Scythian horse-riders and the appearance of stone-compiled wooden chamber tombs in Gyeongju, the capital of the Silla Kingdom. Based on the prestigious artifacts such as crown, rings, necklaces made with gold and/or silver, various kinds of bronze vessels, Roman/Persian glasses that have been recovered from the burials located in Gyeongju, this paper argues that there is no direct relationship between Scythian horse-riders' invasion/migration and the appearance of their unique tombs anywhere in the Silla territory.
      First of all, it is pointed out that there is a huge gap between the Scythian polities and Silla Kingdom in terms of the time and space. Second of all, although some exotic artifacts have been discovered from the burials located in Gyeongju, they are not the material manifestation of the ‘horse-riders' migration,' but the by-products of ‘long-distance exchange' or ‘culture contact' in one way or another. In addition, although some similarities between the two regions in terms of artifact motifs and burial structures have been identified, they may be the results of either parallel development that took separately place in each region at different time or superficial observations and/or arbitrary interpretations made by the horse-rider theorists. It is also important to note that while horse-rider theorists have been too much emphasizing the similarities between the burial structures discovered in each region. As a consequence, they consciously or unconsciously ignored or overlooked the differences between them.
      This paper emphasizes that some of Korean researchers have to pay close attention to the role of local indigenous people's independent development in the course of Korean history. In particular, it is argued that now is the time for Korean researchers to make a shift from ‘diffusion and/or migration' to ‘processual point of view' to interpret the culture change in the Silla Kingdom in specific and throughout Korean histories in general.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성주, "황남대총의 구조와 신라 적석목곽분의 변천․기원에 대한 토론, In 황남대총의 재조명"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2000

      2 함순섭, "황남대총을 둘러싼 논쟁, 또 하나의 가능성, In 황금의 나라 신라의 왕릉:황남대총" 중앙문화인쇄 2010

      3 이희준, "황남대총 남분 내물왕릉설의 제기 배경과 개요 그리고 의의 황금의 나라 신라의 왕릉: 황남대총" 중앙문화인쇄 2010

      4 최병현, "한국 고분문화의 양상과 전개, In 동아시아의 고분문화" 서경문화사 2011

      5 이종선, "주곽출토유물, In 황남대총" 고려서적주식회사 1994

      6 이한상, "적석목곽분 출토 황금장식과 유리제품의 원류" 신라문화연구소 (23) : 147-174, 2004

      7 김용성, "적석목곽묘 구조의 인식, In 동아시아의 고분문화" 서경문화사 2011

      8 예술의 전당, "유라시아 초원에서 한반도까지: 스키타이 황금문명" 동아인쇄 2011

      9 강봉원, "신라사 연구에 있어서 ‘기마민족 이론’의 재고: 등자 및 재갈을 중심으로" 중앙아시아학회 15 : 111-135, 2010

      10 최병현, "신라고분연구" 일지사 1992

      1 이성주, "황남대총의 구조와 신라 적석목곽분의 변천․기원에 대한 토론, In 황남대총의 재조명"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2000

      2 함순섭, "황남대총을 둘러싼 논쟁, 또 하나의 가능성, In 황금의 나라 신라의 왕릉:황남대총" 중앙문화인쇄 2010

      3 이희준, "황남대총 남분 내물왕릉설의 제기 배경과 개요 그리고 의의 황금의 나라 신라의 왕릉: 황남대총" 중앙문화인쇄 2010

      4 최병현, "한국 고분문화의 양상과 전개, In 동아시아의 고분문화" 서경문화사 2011

      5 이종선, "주곽출토유물, In 황남대총" 고려서적주식회사 1994

      6 이한상, "적석목곽분 출토 황금장식과 유리제품의 원류" 신라문화연구소 (23) : 147-174, 2004

      7 김용성, "적석목곽묘 구조의 인식, In 동아시아의 고분문화" 서경문화사 2011

      8 예술의 전당, "유라시아 초원에서 한반도까지: 스키타이 황금문명" 동아인쇄 2011

      9 강봉원, "신라사 연구에 있어서 ‘기마민족 이론’의 재고: 등자 및 재갈을 중심으로" 중앙아시아학회 15 : 111-135, 2010

      10 최병현, "신라고분연구" 일지사 1992

      11 최병현, "신라 적석목곽분의 기원 재론" 12 : 1998

      12 강봉원, "신라 적석목곽분 출현과 ‘기마민족이동’ 관련성의 비판적 재검토" 한국상고사학회 46 (46): 139-178, 2004

      13 박광열, "신라 적석목곽묘 출토 황금유물과 초전불교"

      14 박광열, "신라 적석목곽묘 출토 외래계 문물"

      15 김용성, "신라 마립간시기의 왕릉 황남대총 남분, In 황금의 나라 신라의 왕릉: 황남대총" 중앙문화인쇄 2010

      16 이송란, "신라 금속공예연구" 일지사 2004

      17 김용성, "신라 한국 고고학강의, In 한국 고고학강의" 사회평론 2010

      18 강인욱, "스키토 시베리아 문화권과 한반도의 문화교류 유라시아 초원에서 한반도까지: 스키타이 황금문명" 동아인쇄 2011

      19 국립중앙박물관, "스키타이 황금" 세광인쇄 1991

      20 최종규, "삼한고고학연구" 서경문화사 1995

      21 주경미, "삼국시대 이식의 연구: 경주지역출토 수하부이식을 중심으로" 211 : 1996

      22 주경미, "몽골 출토 흉노시대 금속공예품 연구" 신라문화연구소 (37) : 179-217, 2011

      23 요시미즈 츠네오, "로마문화 왕국, 신라" 씨앗을 뿌리는 사람들 2002

      24 국립중앙박물관, "낙랑" 솔 2001

      25 이인숙, "고신라 장신구에 대한 일고찰" 62 : 1972

      26 김용성, "고신라 경주 중심고분군의 조묘구역 변천과정, In 유산 강인구 교수 정년기념 동북아고문화논총" 민창문화사 2002

      27 국립경주박물관, "경주시 월성로 고분군" 매일원색 1990

      28 김두철, "積石木槨墓의 구조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대학박물관협회 (73) : 57-86, 2009

      29 박광열, "新羅 積石木槨墓 出土 黃金遺物과 初傳佛敎 - 黃金의 起源과 移入에 대하여 -" 한국문화사학회 27 (27): 203-228, 2007

      30 신경철, "大阪市加美, In 慶州月城路出土土器의 評價석헌 정징원교수 정년퇴임기년논총" 2006

      31 "三國志"

      32 "三國史記"

      33 Schiltz, Veronique, "Tillya Tepe, the Hill of Gold: A Nomad Necropolis, In Afghanistan: Hidden Treasures from the National Museum" National Geographic Society 219-293, 2008

      34 Herodotus, "The Histories" Oxford University Press 2008

      35 Herodotus, "The Histories" Penguin Books 1954

      36 이희준, "4~5세기 신라 고분 피장자의 복식품 착장 정형" 47 : 200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20-04-20 통합 KCI등재
      2020-04-01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Center of Research for Silla Culture Dongguk University -> The Research Institute for Silla Culture of Dongguk University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3 0.73 0.6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2 0.69 1.45 0.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