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초등 교사의 수업 창의성이 학생의 토론절차 수행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the teachers' teaching creativity on their students' discussion activities in the elementary social studies classroom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974028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본 연구는 교실 수업을 진행하는 가운데 교사가 가진 수업 창의성이 학습자 중심의 토론수업에서 학습자의 토론절차 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교사를 대상하여 수업 창의성 설문 문항과, 여러 토론수업 모형에 기초하여 추출한 학습자의 토론절차 수행에 관한 문항에 기초하여 교사의 수업 창의성 정도에 따라 학생들의 토론 절차 수행 정도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하여 초등학교 교사 12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에 따른 독립변인은 교사의 수업 창의성이며, 종속변인은 학생의 토론절차 수행 정도이다.
      연구 결과는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이 가장 잘 수행하는 토론절차는 '토론문제 파악하기', '토론문제에서 자신의 입장 정하기', '자신과 의견이 달라도 합의 내용 따르기', '자신의 의견을 다른 사람에게 정확하게 표현하기', '토론에 필요한 자료 찾기' 등으로 나타나 복잡하고 인지적인 사고 과정보다는 정의적인 면에서 더 잘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의 수업 창의성에 따라 '상', '중', '하'의 세 집단으로 구분한 후 토론수업에서 학습자의 토론절차 수행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수업 창의성이 높은 교사들이 그렇지 않은 교사에 비해 자기 반 학생들의 토론수행 절차가 더 높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인식 차이는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하다. 셋째, 학생의 토론 절차 수행 각각에 대하여 교사의 수업 창의성에 따른 집단간 차이를 살펴본 결과 '토론에 필요한 자료 찾기', '토론 문제에서 자신의 입장 정하기', '다른 사람의 의견 존중하기', '다른 사람의 발표 잘 듣기', '자신의 의견을 정확하게 전달하기'. '자신의 의견을 다른 사람에게 설득하기', '해결을 위한 대안 생각하기', '자신의 의견과 달라도 합의 내용 따르기'의 8개 항목에서 집단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다.
      이렇게 볼 때 교사의 수업 창의성은 초등학교의 사회수업에서 교사가 토론 수업을 실시하는 과정에서 학습자들의 토론절차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한 변인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학교에서의 수업 개선과 그것을 통한 학습자의 다양한 자기 주도적 학습활동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새로운 수업 모형의 제안만이 아니라 실제적으로 교사들이 스스로 수업에 대하여 준비하고 개선해 나가도록 하는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교실 수업을 진행하는 가운데 교사가 가진 수업 창의성이 학습자 중심의 토론수업에서 학습자의 토론절차 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교...

      본 연구는 교실 수업을 진행하는 가운데 교사가 가진 수업 창의성이 학습자 중심의 토론수업에서 학습자의 토론절차 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교사를 대상하여 수업 창의성 설문 문항과, 여러 토론수업 모형에 기초하여 추출한 학습자의 토론절차 수행에 관한 문항에 기초하여 교사의 수업 창의성 정도에 따라 학생들의 토론 절차 수행 정도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하여 초등학교 교사 12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에 따른 독립변인은 교사의 수업 창의성이며, 종속변인은 학생의 토론절차 수행 정도이다.
      연구 결과는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이 가장 잘 수행하는 토론절차는 '토론문제 파악하기', '토론문제에서 자신의 입장 정하기', '자신과 의견이 달라도 합의 내용 따르기', '자신의 의견을 다른 사람에게 정확하게 표현하기', '토론에 필요한 자료 찾기' 등으로 나타나 복잡하고 인지적인 사고 과정보다는 정의적인 면에서 더 잘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의 수업 창의성에 따라 '상', '중', '하'의 세 집단으로 구분한 후 토론수업에서 학습자의 토론절차 수행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수업 창의성이 높은 교사들이 그렇지 않은 교사에 비해 자기 반 학생들의 토론수행 절차가 더 높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인식 차이는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하다. 셋째, 학생의 토론 절차 수행 각각에 대하여 교사의 수업 창의성에 따른 집단간 차이를 살펴본 결과 '토론에 필요한 자료 찾기', '토론 문제에서 자신의 입장 정하기', '다른 사람의 의견 존중하기', '다른 사람의 발표 잘 듣기', '자신의 의견을 정확하게 전달하기'. '자신의 의견을 다른 사람에게 설득하기', '해결을 위한 대안 생각하기', '자신의 의견과 달라도 합의 내용 따르기'의 8개 항목에서 집단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다.
      이렇게 볼 때 교사의 수업 창의성은 초등학교의 사회수업에서 교사가 토론 수업을 실시하는 과정에서 학습자들의 토론절차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한 변인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학교에서의 수업 개선과 그것을 통한 학습자의 다양한 자기 주도적 학습활동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새로운 수업 모형의 제안만이 아니라 실제적으로 교사들이 스스로 수업에 대하여 준비하고 개선해 나가도록 하는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at the teachers' teaching creativity effects on their students' discussion activities in the elementary social studies classrooms. The teaching creativity meaned the teachers' creative teaching thinking and behavior through their observation themselves to apply Smith's creative principles in their elementary social studies class, The self-reported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data collection, and the samples consisted of 120 elementary teachers in Teacheon city.
      The results of data analysis are as follows:
      1) teachers' perceived that their students practiced better affective activities than cognitive activities in discussion,
      2) the teachers' teaching creativity had an effect on their students' discussion activities in the elementary social studies classrooms. The higher teachers' teaching creativity was, the better their students' discussion activities were.
      Therefore, it is necessary that teachers have ample opportunity to reflect and train the teaching creativity in their class for the reform of instruction and the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번역하기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at the teachers' teaching creativity effects on their students' discussion activities in the elementary social studies classrooms. The teaching creativity meaned the teachers' creative teaching thinking and b...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at the teachers' teaching creativity effects on their students' discussion activities in the elementary social studies classrooms. The teaching creativity meaned the teachers' creative teaching thinking and behavior through their observation themselves to apply Smith's creative principles in their elementary social studies class, The self-reported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data collection, and the samples consisted of 120 elementary teachers in Teacheon city.
      The results of data analysis are as follows:
      1) teachers' perceived that their students practiced better affective activities than cognitive activities in discussion,
      2) the teachers' teaching creativity had an effect on their students' discussion activities in the elementary social studies classrooms. The higher teachers' teaching creativity was, the better their students' discussion activities were.
      Therefore, it is necessary that teachers have ample opportunity to reflect and train the teaching creativity in their class for the reform of instruction and the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