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初等學校 實科의 授業模型 開發 및 適用에 關한 硏究  :  만들기 領域을 中心으로 Focus on Making Domain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n Instruction Model Its Application for Practical Arts in the Primary Scho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202183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실과에서 만들기 영역 중심 모형수업을 구안하고, 이를 바탕으로 수업 지도안을 개발하여 현장에 적용한 후, 이의 효과를 분석하여 실과 수업의 효율적인 개선을 위한 것이었다.
      실험대상은 92명으로 하였고, 학급과 성별에 의해 4가지 그룹으로 구분했다.
      이 실험의 결과를 검정하기 위하여 공변량 분석(ANCOVA : analysis of covariance)과 2×2 변량분석(two-way ANOVA)을 사용하였으며 유의수준은 p<0.05로 하였다.
      그 결과 얻어진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지적 영역에 대한 효과 검증결과, 주효과에 있어 통계적 유의수준(p<0.05)에서 두 집단간에 차이를 보이고 있었으나, 성별에 의한 상호작용 효과는 0.439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기본 기능 수행 능력에 대한 효과 검증결과, 주효과에 있어 통계적 유의수준(p<0.05)에서 두 집단간에 차이를 보이고 있었으나, 성별에 의한 상호작용 효과는 0.449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수업에 대한 흥미 및 태도에 대한 효과 검증결과, 주효과에 있어 통계적 유의수준(p<0.05)에서 두 집단간에 차이를 보이고 있었으나, 성별에 의한 상호작용 효과는 0.294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자가 구안한 만들기 영역 중심 수업모형에 의해 수업을 받은 아동들이 기존의 수업모형에 의해 수업 받은 아동들 보다 모든 영역(인지적, 기능적, 정의적)에서 효과적 이었고, 성별에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번역하기

      이 연구의 목적은 실과에서 만들기 영역 중심 모형수업을 구안하고, 이를 바탕으로 수업 지도안을 개발하여 현장에 적용한 후, 이의 효과를 분석하여 실과 수업의 효율적인 개선을 위한 것...

      이 연구의 목적은 실과에서 만들기 영역 중심 모형수업을 구안하고, 이를 바탕으로 수업 지도안을 개발하여 현장에 적용한 후, 이의 효과를 분석하여 실과 수업의 효율적인 개선을 위한 것이었다.
      실험대상은 92명으로 하였고, 학급과 성별에 의해 4가지 그룹으로 구분했다.
      이 실험의 결과를 검정하기 위하여 공변량 분석(ANCOVA : analysis of covariance)과 2×2 변량분석(two-way ANOVA)을 사용하였으며 유의수준은 p<0.05로 하였다.
      그 결과 얻어진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지적 영역에 대한 효과 검증결과, 주효과에 있어 통계적 유의수준(p<0.05)에서 두 집단간에 차이를 보이고 있었으나, 성별에 의한 상호작용 효과는 0.439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기본 기능 수행 능력에 대한 효과 검증결과, 주효과에 있어 통계적 유의수준(p<0.05)에서 두 집단간에 차이를 보이고 있었으나, 성별에 의한 상호작용 효과는 0.449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수업에 대한 흥미 및 태도에 대한 효과 검증결과, 주효과에 있어 통계적 유의수준(p<0.05)에서 두 집단간에 차이를 보이고 있었으나, 성별에 의한 상호작용 효과는 0.294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자가 구안한 만들기 영역 중심 수업모형에 의해 수업을 받은 아동들이 기존의 수업모형에 의해 수업 받은 아동들 보다 모든 영역(인지적, 기능적, 정의적)에서 효과적 이었고, 성별에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instruction model and teaching plan for practical arts, to adapt them in school, and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them.
      For this study, samples of 92 students were selected, and they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by class and sexuality.
      The statistical techniques used for analyzing test scores were ANCOVA (using pre-test scores as the covariance), and 2x2 ANOVA( for analyzingcorelation of class and sxuality). Alpha level of this study was 0.05, it mean 95% significance.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s:
      1. The results of ANCOVA in cognitive domain indicated tha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post-test scores of student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but there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boy's group and the girl's group.
      2. The results of ANCOVA in basic skill performance domain indicated tha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post-test scores of student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but there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boy's group and the girl's group.
      3. The results of ANCOVA in affective domain indicated tha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post-test scores of student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but there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boy's group and the girl's group.
      In conclution, the resercher's instruction model was effective than the model of being already in existence through all domain(cognitive, basic skill performance, affective), but there was not related with sexualilty.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instruction model and teaching plan for practical arts, to adapt them in school, and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them. For this study, samples of 92 students were selected, and they were divided into four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instruction model and teaching plan for practical arts, to adapt them in school, and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them.
      For this study, samples of 92 students were selected, and they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by class and sexuality.
      The statistical techniques used for analyzing test scores were ANCOVA (using pre-test scores as the covariance), and 2x2 ANOVA( for analyzingcorelation of class and sxuality). Alpha level of this study was 0.05, it mean 95% significance.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s:
      1. The results of ANCOVA in cognitive domain indicated tha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post-test scores of student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but there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boy's group and the girl's group.
      2. The results of ANCOVA in basic skill performance domain indicated tha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post-test scores of student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but there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boy's group and the girl's group.
      3. The results of ANCOVA in affective domain indicated tha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post-test scores of student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but there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boy's group and the girl's group.
      In conclution, the resercher's instruction model was effective than the model of being already in existence through all domain(cognitive, basic skill performance, affective), but there was not related with sexualilt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緖論
      • 1. 硏究의 必要性
      • 2. 硏究의 目的 및 內容
      • 3. 假說
      • Ⅱ. 硏究의 方法
      • Ⅰ. 緖論
      • 1. 硏究의 必要性
      • 2. 硏究의 目的 및 內容
      • 3. 假說
      • Ⅱ. 硏究의 方法
      • 1. 文獻硏究
      • 2. 實驗硏究
      • Ⅲ. 硏究 內容
      • 1. 實科 授業模型 構想
      • 2. 開發된 授業模型에 대한 段階別 說明
      • Ⅳ. 結論 및 題言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