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베이지언 DSGE 접근법에 의한 국내 잠재GDP 추정 및 전망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Estimating and Forecasting the Korea's Potential GDP using a Bayesian DSGE Approach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14922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tries to estimate and forecast the Korea's potential GDP and GDP gap before and after global financial crisis that are consistent with a fully specified DSGE model based on the stylized new Keynesian features using Bayesian methods. The major findings is as follows. First, the estimated potential GDP and GDP gap can be judged as a useful welfare measure for policy makers since that these outcomes are derived from a maximizing behavior of the households and firms. Second, the estimated potential GDP and GDP gap using Bayesian methods is a feasible indicator in explaining the macroeconomic dynamics. Third, the robustness analysis shows that the hybrid type Phillips curve with a backward-looking component and the habit formation in consumption may play an important role in characterizing the macroeconomic dynamics of Korea.
      번역하기

      This paper tries to estimate and forecast the Korea's potential GDP and GDP gap before and after global financial crisis that are consistent with a fully specified DSGE model based on the stylized new Keynesian features using Bayesian methods. The maj...

      This paper tries to estimate and forecast the Korea's potential GDP and GDP gap before and after global financial crisis that are consistent with a fully specified DSGE model based on the stylized new Keynesian features using Bayesian methods. The major findings is as follows. First, the estimated potential GDP and GDP gap can be judged as a useful welfare measure for policy makers since that these outcomes are derived from a maximizing behavior of the households and firms. Second, the estimated potential GDP and GDP gap using Bayesian methods is a feasible indicator in explaining the macroeconomic dynamics. Third, the robustness analysis shows that the hybrid type Phillips curve with a backward-looking component and the habit formation in consumption may play an important role in characterizing the macroeconomic dynamics of Korea.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베이지언 추정방법을 통해 글로벌 금융위기 전후 전형적인 뉴 케인지언의 동태적․확률적․일반균형(DSGE, dynamic stochastic general equilibrium)에 부합되는 국내 잠재GDP 및 GDP갭의 추정 및 전망을 시도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보면 첫째, DSGE 모형에 의해 추정된 잠재GDP 및 GDP갭은 가계 및 기업의 최적화 행위로 부터 도출되었기 때문에 정책 당국자에게는 복지 측면에서 유용한 척도로 판단된다. 둘째, 베이지언 추정방법에 기초한 잠재GDP 및 GDP갭 추정결과는 거시경제 동학을 설명하는데 수용성이 있는 지표로 나타났다. 셋째, 민감도 분석 결과 수정 필립스 곡선에서의 과거 지향적 요인 및 소비습관형성 등이 국내 거시경제의 동태적 양상을 설명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번역하기

      본고는 베이지언 추정방법을 통해 글로벌 금융위기 전후 전형적인 뉴 케인지언의 동태적․확률적․일반균형(DSGE, dynamic stochastic general equilibrium)에 부합되는 국내 잠재GDP 및 GDP갭의 추정 및 ...

      본고는 베이지언 추정방법을 통해 글로벌 금융위기 전후 전형적인 뉴 케인지언의 동태적․확률적․일반균형(DSGE, dynamic stochastic general equilibrium)에 부합되는 국내 잠재GDP 및 GDP갭의 추정 및 전망을 시도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보면 첫째, DSGE 모형에 의해 추정된 잠재GDP 및 GDP갭은 가계 및 기업의 최적화 행위로 부터 도출되었기 때문에 정책 당국자에게는 복지 측면에서 유용한 척도로 판단된다. 둘째, 베이지언 추정방법에 기초한 잠재GDP 및 GDP갭 추정결과는 거시경제 동학을 설명하는데 수용성이 있는 지표로 나타났다. 셋째, 민감도 분석 결과 수정 필립스 곡선에서의 과거 지향적 요인 및 소비습관형성 등이 국내 거시경제의 동태적 양상을 설명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형수, "한국의 장기재정모형" 한국조세연구원 1-201, 2006

      2 강희돈, "한국은행의 경제전망용 DSGE모형(BOKDPM)의 개발현황" 한국은행 27-86, 2009

      3 한진희, "한국경제의 잠재성장률 전망" 1-98, 2002

      4 김현의, "통화정책과 은행의 역할: 은행부문이 포함된 DSGE 모형에서 통화정책 대응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은행 17 (17): 45-102, 2011

      5 장동구, "잠재GDP 추정과 생산갭의 인플레이션 지표로서의 유용성 검토" 한국은행 금융경제연구소 3 (3): 123-150, 1997

      6 김치호, "잠재GDP 및 인플레이션 압력 측정 결과" 한국은행 특별연구실 6 (6): 1-32, 2000

      7 박원암, "우리나라 잠재성장률 추정 및 전망" 한국경제연구원 1-107, 2004

      8 김병화, "우리나라 잠재GDP의 추정" 한국은행 20-50, 1992

      9 박양수, "우리경제의 성장잠재력 약화 원인과 향후 전망" 한국은행 23-58, 2005

      10 현대경제연구원, "세계경제 패러다임변화와 한국경제-잠재성장률 2%p 제고를 위한 정책과제" 10 (10): 2010

      1 박형수, "한국의 장기재정모형" 한국조세연구원 1-201, 2006

      2 강희돈, "한국은행의 경제전망용 DSGE모형(BOKDPM)의 개발현황" 한국은행 27-86, 2009

      3 한진희, "한국경제의 잠재성장률 전망" 1-98, 2002

      4 김현의, "통화정책과 은행의 역할: 은행부문이 포함된 DSGE 모형에서 통화정책 대응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은행 17 (17): 45-102, 2011

      5 장동구, "잠재GDP 추정과 생산갭의 인플레이션 지표로서의 유용성 검토" 한국은행 금융경제연구소 3 (3): 123-150, 1997

      6 김치호, "잠재GDP 및 인플레이션 압력 측정 결과" 한국은행 특별연구실 6 (6): 1-32, 2000

      7 박원암, "우리나라 잠재성장률 추정 및 전망" 한국경제연구원 1-107, 2004

      8 김병화, "우리나라 잠재GDP의 추정" 한국은행 20-50, 1992

      9 박양수, "우리경제의 성장잠재력 약화 원인과 향후 전망" 한국은행 23-58, 2005

      10 현대경제연구원, "세계경제 패러다임변화와 한국경제-잠재성장률 2%p 제고를 위한 정책과제" 10 (10): 2010

      11 곽노선, "성장회계를 이용한 외환위기 전후의 성장요인분석과 잠재성장률 전망" 한국경제학회 55 (55): 549-588, 2007

      12 박무환, "동태적 최적화 모형 개발(I)”" 국민연금연구원 1-126, 2009

      13 박무환, "동태적 예측모형(II)-2국가 모형" 국민연금연구원 1-142, 2010

      14 황종률, "글로벌 금융위기와 한국의 잠재성장률" 국회예산정책처 1-82, 2009

      15 Blanchard, Olivier Jean, "he Dynamic Effects of Aggregate Demand and Supply Disturbances" 79 (79): 655-673, 1989

      16 Watson, M. W., "Univariate Detrending Methods with Stochastic Trends" 18 : 49-75, 1986

      17 Blanchard, O. J., "The Solution of Linear Difference Models under Rational Expectations" 48 (48): 1305-1311, 1980

      18 Goodfriend, Marvin, "The New Neoclassical Synthesis and the Role of Monetary Policy, In NBER Macroeconomics Annual" 1997

      19 George McCandless, "The ABCs of RBCs" Havard University Press 2008

      20 Lubik, T. A., "Testing for Indeterminacy : An Application to U.S. Monetary Policy" 94 (94): 190-217, 2004

      21 King, Robert James Stock, "Temporal Instability of the Unemployment-Inflation Relationship" 19 : 2-12, 1995

      22 Yasuo Hirose, "Structural Estimation of the Output Gap : A Bayesian DSGE Approach for the U.S. Economy" 1-27, 2007

      23 Calvo, G. A., "Staggered Prices in a Utility Maximizing Framework" 48 : 1305-1311, 1983

      24 Sims, C. A., "Solving Linear Rational Expectations Models" 20 (20): 1-20, 2002

      25 Smets, F., "Shocks and Frictions in US business cycles: A Bayesian DSGE Approach" 97 (97): 586-606, 2007

      26 Roldos, Jorge, "Potential Output Growth in Emerging Market Countries: The Case of Chile" International Monetary Fund 1997

      27 Okun, A. M., "Potential GNP: Its Measurement and Significance" 145-158, 1962

      28 Clark, P. K., "Potential GNP in the United States, 1948~80" 25 : 141-166, 1989

      29 Hodrick, R. J., "Post War U.S. Business Cycle : An Empirical Investigation" 29 (29): 1-16, 1997

      30 Kiley, Michael T., "Output Gaps"

      31 Edge, R. M., "Natural Rate Measurement in an Estimated DSGE Model of the U.S. Economy" 32 : 2512-2535, 2007

      32 Walsh, C. E, "Monetary Theory and Policy, Cambridge" The MIT Press 2003

      33 Taylor, J. B., "Monetary Policy Rules"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9

      34 Hostland, D., "Measuring Potential Output and the NAIRU as Unobserved Variables in a System Framework"

      35 Scacciavillani, Fabio, "Measures of Potential Output: An Application to Israel" International Monetary Fund Working Paper 1999

      36 Schorfheide, "Loss Function-Based Evaluation of DSGE Models" 15 (15): 645-670, 2000

      37 이재준, "KDI 경제전망 2011 상반기 : 현안분석" 37-48, 2011

      38 Woodford, M., "Interest and Prices"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3

      39 Gali, J, "Inflation Dynamics : A Structural Econometric Approach" 42 (42): 195-222, 1999

      40 Fuhrer, J. C., "Habit Formation in Consumption and Its Implications for Monetary Policy Models" 90 (90): 367-390, 2000

      41 황영진, "Estimation the Natural Output Korea: A Bayesian DSGE Approach" 한국개발연구원 31 (31): 1-25, 2009

      42 Kuttner, K. N., "Estimating Potential Output as a Latent Variable" 12 (12): 361-368, 1994

      43 Pavel Herber, "Estimating Output Gap in the Czech Republic : DSGE Approach" Masaryk Univ. Manuscript 1-13, 2009

      44 Orphanides, A. R., "Errors in the Measurement of the Output Gap and the Design of Monetary Policy" 52 (52): 117-141, 2000

      45 OECD, "Economic Outlook"

      46 Lucas, R E., "Economeric Policy Evaluation : A Critique" 1 : 19-46, 1976

      47 Tommaso Mancini Griffoli, "Dynare User Guide : An Introduction to the Solution & Estimation of DSGE Models"

      48 Taylor, J. B., "Discretion Versus Policy Rules in Practice" 39 : 195-214, 1993

      49 Congressional Budget Office, "CBO's Method for Estimating Potential Output" 1995

      50 Smets, F., "An Estimated Dynamic Stochastic General Equilibrium Model of the Euro Area" 1 (1): 1123-1175, 2003

      51 Adams, Charles, "A System Approach to Estimating the Natural Rate of Unemployment and Potential Output" International Monetary Fund 1989

      52 Carabenciov, I., "A Small Quarterly Projection Model of the US Economy" 1-54, 2008

      53 Laxton, D., "A Simple Multivariate Filter for the Measurement of Potential Output" 1992

      54 국회예산정책처, "2011~2015년 경제전망 및 재정분석 I: 2011~2015 경제전망" 134-136,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 Revuew of Applied Economics -> Korea Review of Applied Economics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2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 Revuew of Applied Economics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9 0.49 0.4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 0.62 0.81 0.1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