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IE SCOPUS

      열가소성 폴리우레탄과 미세결정 셀룰로오스 복합체의 제조 및 기계적 물성 분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13848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셀룰로오스는 식물 세포벽의 기본 구조 성분으로 자연에서 추출할 수 있는 가장 풍부한 천연고분자이다. 셀룰로오스는 열분해성 및 생분해성이 뛰어나며 가벼운 무게 대비 높은 기계적 물...

      셀룰로오스는 식물 세포벽의 기본 구조 성분으로 자연에서 추출할 수 있는 가장 풍부한 천연고분자이다. 셀룰로오스는 열분해성 및 생분해성이 뛰어나며 가벼운 무게 대비 높은 기계적 물성을 나타내는 특성으로 인해, 고분자-셀룰로오스 복합체를 통해 자동차 경량화 소재, 신발, 코팅 및 건축용 소재 등의 다양한 산업 분야에 적용하기 위한 연구가 널리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가볍고 신축성이 좋은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의 낮은 기계적 강도를 증가시키고 미세 플라스틱에 의한 환경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미세결정 셀룰로오스(MCC)를 보강재로 사용하여 친환경 복합체를 제조하고자 한다. 사용된 MCC의 사이즈는 입도 분석기(PSA)로 측정 시 88.4 μm로 측정되었으며 TPU의 우레탄기와 MCC의 수산기 사이의 수소결합을 통한 상호작용은 적외선 분광분석(FTIR)을 통해 확인했다. 열중량분석(TGA)을 통해 열안정성을 측정한 결과 MCC의 열안정성이 낮기 때문에 TPU-MCC 복합체의 MCC 함량이 증가할수록 열안정성은 감소함을 나타냈다. 주사전자현미경(SEM) 측정결과 0.5 wt% 함량에서는 MCC가 매트릭스 내부에 골고루 분산된 모습이 관찰되었으나 1wt% 이상의 함량에서는 응집이 발생하는 현상을 관찰했다. 만능재료시험기(UTM) 측정 결과 0.5 wt%와 같은 소량의 MCC 함량 첨가는 인장강도 12.7%, 연신율 36.7%, 그리고 인성 25.9%가 증가함을 확인했지만 1 wt% 이상의 MCC 함량에서는 기계적 물성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결론적으로 보강재를 소량 첨가함으로써 매트릭스 물질의 기계적 물성을 증가시킬 수 있음을 확인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ellulose is the most abundant polymer found in nature. Owing to the lightweight mechanical properties and biodegradability of cellulose, polymer-cellulose composites have widely been investigated for various applications. In this study, microcrystall...

      Cellulose is the most abundant polymer found in nature. Owing to the lightweight mechanical properties and biodegradability of cellulose, polymer-cellulose composites have widely been investigated for various applications. In this study, microcrystalline cellulose (MCC) is employed as a reinforcement agent for eco-friendly TPU-MCC composites to enhance the mechanical strength of thermoplastic polyurethane (TPU). The size of the MCC was measured to be 88.4 μm by particle size analyzer, and the hydrogen bonding between the urethane group of TPU and the hydroxyl group of MCC was characterized by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As evident from SEM analysis, MCC was evenly dispersed in TPU matrix at 0.5 wt% MCC loading, but we observed the aggregation at 1 wt% or higher MCC loading. From the universal testing machine analysis, we observed an increase in tensile strength by 12.7%, elongation by 36.7%, and toughness by 25.9% at a small amount of 0.5 wt% MCC conten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초록
      • Abstract
      • 서론
      • 실험
      • 결과 및 토론
      • 초록
      • Abstract
      • 서론
      • 실험
      • 결과 및 토론
      •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M. Jarvis, 426 : 611-, 2003

      2 B. M. Gil, 165 : 510-, 2019

      3 Z. Wenying, 48 : 1381-, 2008

      4 L. N. Dang, 81 : 129-, 2016

      5 B. J. Rashmi, 7 : 852-, 2013

      6 M. A. S. A. Samir, 6 : 612-, 2005

      7 A. Ishikawa, 38 : 463-, 1997

      8 S. T. Kim, 24 : 25-, 2008

      9 B. Finnigan, 97 : 300-, 2005

      10 D. Trache, 93 : 789-, 2016

      1 M. Jarvis, 426 : 611-, 2003

      2 B. M. Gil, 165 : 510-, 2019

      3 Z. Wenying, 48 : 1381-, 2008

      4 L. N. Dang, 81 : 129-, 2016

      5 B. J. Rashmi, 7 : 852-, 2013

      6 M. A. S. A. Samir, 6 : 612-, 2005

      7 A. Ishikawa, 38 : 463-, 1997

      8 S. T. Kim, 24 : 25-, 2008

      9 B. Finnigan, 97 : 300-, 2005

      10 D. Trache, 93 : 789-, 2016

      11 S. Chuayjuljit, 28 : 109-, 2010

      12 A. Pinkert, 109 : 6712-, 2009

      13 이종희, "표면 개질된 마이크로피브릴화 셀룰로오스를 이용한 폴리아마이드 섬유와의 복합페이퍼 제조 및 특성평가" 한국고분자학회 38 (38): 74-79, 2014

      14 윤혁준, "폴리프로필렌/셀룰로오스 나노 섬유 복합체의 열적 및 기계적 물성" 한국고분자학회 44 (44): 255-263, 2020

      15 최은엽, "폴리우레탄이 그래프트된 다중벽 탄소나노튜브가 포함된 폴리우레탄 복합소재의 특성" 한국고분자학회 41 (41): 490-494, 2017

      16 김기홍, "폴리에틸렌글리콜, 트리아세틴 및 글리세린이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가소화에 미치는 효과" 한국고분자학회 39 (39): 649-654, 2015

      17 이유나, "이차 아미노기가 도입된 Microcrystalline Cellulose(MCC)를 충전제로 사용한 친환경 PU 복합체 제조 및 물성에 대한 연구" 한국고분자학회 43 (43): 652-660, 2019

      18 김성근,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의 결정화에 미치는 폴리올 종류 및 경질부 함량의 영향" 한국고분자학회 29 (29): 140-145, 2005

      19 양여경, "아미노기를 도입한 Microcrystalline Cellulose(MCC)를 충전제로 사용한PU 복합체 제조 및 물성 연구" 한국고분자학회 42 (42): 147-156, 2018

      20 강신혜, "개질된 폐타이어 분말을 이용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의 물성 개선" 한국고분자학회 41 (41): 656-661, 2017

      21 이효재, "Pretreatment of Microfibrillated Cellulose on Polylactide Composites" 한국고분자학회 28 (28): 110-117, 2020

      22 Ja´nos Mo´czo, "Polymer micro and nanocomposites: Structure, interactions, properties" 한국공업화학회 14 (14): 535-563, 2008

      23 W. Xu, "Fundamental of TGA and SDT"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2-06-04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POLYMER(KOREA)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8 0.47 0.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5 0.43 0.401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