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순조 21년 신사연행과 연행록의 두 시각 = Two different perspectives of Sinsayeonhaeng and Yeonhaengrok at the 21st reign of King Sunjo - Focusing on 『Haengdaemanrok』 and 『Gansanbukyurok』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07116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순조 21년(1821) 10월 11일에 중국의 『황조문헌통고』?에 기록된 조선의 임인옥사 내용을 바로잡기 위해 다녀온 내용을 기록한 두 연행록을 비교한 것이다. 이에 대한 기록은 손병주의 『간산북유록』이 있는데, 근래에 필자가 당시 서장관이었던 이원묵의 『행대만록』을 발굴하면서 이들을 서로 비교할 수 있게 되었다.
      먼저 이들은 서술 시각에서 차이가 드러내고 있다. 서술 체재가 둘 다 편년체를 취하고 있었지만, 전자가 산문체라면 후자는 산문과 운문의 결합 형태였다. 서술 방식에서도 차이가 있었다. 『행대만록』에서는 전체적으로 견문에 대한 감상보다는 사실에 근거하여 서술하였고, 『간산북유록』에서는 사실적으로 서술하다가 비유적으로 묘사한다든지 시로써 형상화하고 있었다. 전자가 사실성이 중시된 공적 기록의 성격이 두드러졌다면, 후자는 견문과 소감 위주로 작자의 주관적 관점을 자주 드러내는 사적 기행문의 성격이 강했다고 말할 수 있다. 서술 태도를 살펴보면, 『행대만록』에서는 객관적이고 고증적인 관점을 견지하였다. 반면에 『간산북유록』에서는 작자의 주관적 감상을 자주 드러내거나 유교의 규범적 관점을 내세우기도 하였다.
      표현 방식에서도 차이를 보이고 있다. 전자에서는 역사적 사실을 적시하면서 개인적인 감회를 최소화하고 있었다. 후자에서는 비유적 묘사와 시적 형상화를 통해 생동감있게 표현하고 있었다. 전자에서는 사실적인 표현이, 후자에서는 묘사적 표현이 앞섰다.
      자료 및 문예적 가치에 대해서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그동안 순조 21년(1821) 10월 11일에 출발했던 신사연행에 대한 연행록인 『간산북유록』이 있었지만 크게 주목받지 못했다. 그런데 근래에 다행히 함께 갔던 이원묵의 『행대만록』이 발굴되어 좋은 비교자료가 되었다. 이들은 여러 측면에서 서로 차이가 있어서 연행의 실상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된다. 게다가 같은 연행을 다녀오면서 지어진 이들 두 작품은 연행록이라는 동일한 문예 양식의 의거하고 있지만 각각 독자적인 문예적 성과를 획득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해주고 있다.
      번역하기

      이 논문은 순조 21년(1821) 10월 11일에 중국의 『황조문헌통고』?에 기록된 조선의 임인옥사 내용을 바로잡기 위해 다녀온 내용을 기록한 두 연행록을 비교한 것이다. 이에 대한 기록은 손병주...

      이 논문은 순조 21년(1821) 10월 11일에 중국의 『황조문헌통고』?에 기록된 조선의 임인옥사 내용을 바로잡기 위해 다녀온 내용을 기록한 두 연행록을 비교한 것이다. 이에 대한 기록은 손병주의 『간산북유록』이 있는데, 근래에 필자가 당시 서장관이었던 이원묵의 『행대만록』을 발굴하면서 이들을 서로 비교할 수 있게 되었다.
      먼저 이들은 서술 시각에서 차이가 드러내고 있다. 서술 체재가 둘 다 편년체를 취하고 있었지만, 전자가 산문체라면 후자는 산문과 운문의 결합 형태였다. 서술 방식에서도 차이가 있었다. 『행대만록』에서는 전체적으로 견문에 대한 감상보다는 사실에 근거하여 서술하였고, 『간산북유록』에서는 사실적으로 서술하다가 비유적으로 묘사한다든지 시로써 형상화하고 있었다. 전자가 사실성이 중시된 공적 기록의 성격이 두드러졌다면, 후자는 견문과 소감 위주로 작자의 주관적 관점을 자주 드러내는 사적 기행문의 성격이 강했다고 말할 수 있다. 서술 태도를 살펴보면, 『행대만록』에서는 객관적이고 고증적인 관점을 견지하였다. 반면에 『간산북유록』에서는 작자의 주관적 감상을 자주 드러내거나 유교의 규범적 관점을 내세우기도 하였다.
      표현 방식에서도 차이를 보이고 있다. 전자에서는 역사적 사실을 적시하면서 개인적인 감회를 최소화하고 있었다. 후자에서는 비유적 묘사와 시적 형상화를 통해 생동감있게 표현하고 있었다. 전자에서는 사실적인 표현이, 후자에서는 묘사적 표현이 앞섰다.
      자료 및 문예적 가치에 대해서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그동안 순조 21년(1821) 10월 11일에 출발했던 신사연행에 대한 연행록인 『간산북유록』이 있었지만 크게 주목받지 못했다. 그런데 근래에 다행히 함께 갔던 이원묵의 『행대만록』이 발굴되어 좋은 비교자료가 되었다. 이들은 여러 측면에서 서로 차이가 있어서 연행의 실상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된다. 게다가 같은 연행을 다녀오면서 지어진 이들 두 작품은 연행록이라는 동일한 문예 양식의 의거하고 있지만 각각 독자적인 문예적 성과를 획득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해주고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Yi Won Muk’s 『Haengdaemanrok』 and Sohn Byeong Ju’s 『Gansanbukyurok』 that recorded 117 days of the diplomatic travel from October 11, 1821 to February 8, 1822. This travel was a temporary travel to correct the details of Iminoksa recorded in 『Hwangjomunheontonggo』 in China.
      While both adopted a chronological form, description and expression were different. While the former was a prose style recording itinerary and work details without omission, the latter had mixed type of prose and poetry recording review of itinerary and experience in a prose style and also in poetry.
      The description styles were different too. 『Haengdaemanrok』 focused on facts rather than overall appreciation of the experience, 『Gansanbukyurok』 described factual events and embodied in poetry with figurative expressions. Whereas the former stressed official record based on facts, the latter tended to be personal travel essay that often expressed the writer’s subject views focusing on experiences and review.
      In terms of description attitude, 『Haengdaemanrok』 kept objective and historical investigation perspective. On the other hand, 『Gansanbukyurok』 often demonstrated the writer’s subjective appreciation or argued normative perspective of Confucianism.
      번역하기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Yi Won Muk’s 『Haengdaemanrok』 and Sohn Byeong Ju’s 『Gansanbukyurok』 that recorded 117 days of the diplomatic travel from October 11, 1821 to February 8, 1822. This travel was a temporary travel to correct t...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Yi Won Muk’s 『Haengdaemanrok』 and Sohn Byeong Ju’s 『Gansanbukyurok』 that recorded 117 days of the diplomatic travel from October 11, 1821 to February 8, 1822. This travel was a temporary travel to correct the details of Iminoksa recorded in 『Hwangjomunheontonggo』 in China.
      While both adopted a chronological form, description and expression were different. While the former was a prose style recording itinerary and work details without omission, the latter had mixed type of prose and poetry recording review of itinerary and experience in a prose style and also in poetry.
      The description styles were different too. 『Haengdaemanrok』 focused on facts rather than overall appreciation of the experience, 『Gansanbukyurok』 described factual events and embodied in poetry with figurative expressions. Whereas the former stressed official record based on facts, the latter tended to be personal travel essay that often expressed the writer’s subject views focusing on experiences and review.
      In terms of description attitude, 『Haengdaemanrok』 kept objective and historical investigation perspective. On the other hand, 『Gansanbukyurok』 often demonstrated the writer’s subjective appreciation or argued normative perspective of Confucianism.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머리말
      • Ⅱ. 순조 21년 신사연행과 두 연행록
      • Ⅲ.『행대만록』과 『간산북유록』의 비교 분석
      • Ⅳ. 자료 및 문예적 가치
      • 【국문초록】
      • Ⅰ. 머리말
      • Ⅱ. 순조 21년 신사연행과 두 연행록
      • Ⅲ.『행대만록』과 『간산북유록』의 비교 분석
      • Ⅳ. 자료 및 문예적 가치
      • Ⅴ. 맺음말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임기중, "연행록전집(1~100권)" 동국대출판부 2001

      2 조규익, "연행록 연구총서(1~10권)" 학고방 2006

      3 임기중, "연행록 속집(1~50권)" 상서원 2008

      4 황원구, "여행과 체험의 문학(중국 편)" 민족문화문고간행회 1985

      5 구사회, "새 자료 이원묵(李元默)의 『행대만록(行臺漫錄)』과 순조21년(1821) 신사연행(辛巳燕行)" 열상고전연구회 (37) : 113-136, 2013

      6 김인철, "국학고전연행록해제(1)" 동국대 한국문학연구소 연행록 해제팀 2003

      7 李元默, "行臺漫錄"

      8 孫秉周, "看山北遊錄"

      9 金景善, "燕轅直指"

      10 中村榮孝, "滿鮮關係の新資料" 靑丘學會 (1) : 1930

      1 임기중, "연행록전집(1~100권)" 동국대출판부 2001

      2 조규익, "연행록 연구총서(1~10권)" 학고방 2006

      3 임기중, "연행록 속집(1~50권)" 상서원 2008

      4 황원구, "여행과 체험의 문학(중국 편)" 민족문화문고간행회 1985

      5 구사회, "새 자료 이원묵(李元默)의 『행대만록(行臺漫錄)』과 순조21년(1821) 신사연행(辛巳燕行)" 열상고전연구회 (37) : 113-136, 2013

      6 김인철, "국학고전연행록해제(1)" 동국대 한국문학연구소 연행록 해제팀 2003

      7 李元默, "行臺漫錄"

      8 孫秉周, "看山北遊錄"

      9 金景善, "燕轅直指"

      10 中村榮孝, "滿鮮關係の新資料" 靑丘學會 (1) : 193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7-0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Studies of Korean Literature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3-21 학술지등록 한글명 : 우리문학연구
      외국어명 : 미등록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2 0.62 0.6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7 0.61 1.35 0.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