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한국아동ㆍ청소년패널조사 2018(KCYPS 2018)유저 가이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20
2 장석민, "한국 진로교육의 태동과 형성" 1-29, 2013
3 김영애, "청소년의 체험활동이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활동학회 4 (4): 21-41, 2018
4 조아미, "청소년의 직업결정유형과 직업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 5 (5): 11-20, 2007
5 이동혁, "진로의사결정에서의 진로장벽의 역할:예측변인 또는 조절변인" 한국상담학회 12 (12): 59-80, 2011
6 김진숙, "진로상담 아동기부터 성인기까지 진로발달이론의 적용" 박학사 2016
7 주영주, "진로교사의 지원, 진로교육 만족도,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과 중학생의 진로성숙도 간의 구조적 관계 규명" 한국진로교육학회 26 (26): 25-47, 2013
8 김지영, "지역사회 기반 직업체험이 중학생의 진로정보 탐색과 합리적 의사결정에 미치는 효과" 한국진로교육학회 29 (29): 89-110, 2016
9 김지영, "중학생이 지각한 아버지-자녀 관계가 자녀의 진로 정보탐색 및 합리적 의사 결정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진로교육학회 28 (28): 21-39, 2015
10 은선경, "중학생의 청소년활동 참여와 진로결정의 관계에서의 학업성취수준의 매개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 21 (21): 611-617, 2020
1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한국아동ㆍ청소년패널조사 2018(KCYPS 2018)유저 가이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20
2 장석민, "한국 진로교육의 태동과 형성" 1-29, 2013
3 김영애, "청소년의 체험활동이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활동학회 4 (4): 21-41, 2018
4 조아미, "청소년의 직업결정유형과 직업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 5 (5): 11-20, 2007
5 이동혁, "진로의사결정에서의 진로장벽의 역할:예측변인 또는 조절변인" 한국상담학회 12 (12): 59-80, 2011
6 김진숙, "진로상담 아동기부터 성인기까지 진로발달이론의 적용" 박학사 2016
7 주영주, "진로교사의 지원, 진로교육 만족도,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과 중학생의 진로성숙도 간의 구조적 관계 규명" 한국진로교육학회 26 (26): 25-47, 2013
8 김지영, "지역사회 기반 직업체험이 중학생의 진로정보 탐색과 합리적 의사결정에 미치는 효과" 한국진로교육학회 29 (29): 89-110, 2016
9 김지영, "중학생이 지각한 아버지-자녀 관계가 자녀의 진로 정보탐색 및 합리적 의사 결정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진로교육학회 28 (28): 21-39, 2015
10 은선경, "중학생의 청소년활동 참여와 진로결정의 관계에서의 학업성취수준의 매개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 21 (21): 611-617, 2020
11 심재희, "중학생의 진로교육 및 진로체험활동과 진로성숙도 향상 효과" 2 (2): 67-92, 2017
12 김혜래, "중학생의 진로결정 실태와 진로성숙도의 생태체계적 변인에 관한 연구"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13 : 51-74, 2007
13 최수정, "전문계 고등학교 학생의 진로결정 몰입과 가족변인에 관한 구조방정식 모형" 한국농·산업교육학회 39 (39): 161-183, 2007
14 김강호, "전문계 고등학교 진로지도 활동이 학생의 진로성숙에 미치는 영향" 한국직업교육학회 28 (28): 183-200, 2009
15 황여정, "일반계 고등학생의 진로결정 및 진로정보인지수준 영향요인" 한국교육사회학회 17 (17): 131-158, 2007
16 김정숙, "일반계 고등학생의 직업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0 (10): 1-23, 2007
17 정철영, "우리나라 진로교육 현황 및 발전 방향 연구" 한국진로교육학회 28 (28): 155-171, 2015
18 신희경, "우리나라 고등학생의 진로결정수준과 결정 동기에 관한 연구: 개인, 가정, 학교의 역할" 한국직업능력개발원 8 (8): 47-84, 2005
19 오정아, "사회적 지지와 학교적응이 중학생의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 도ㆍ농간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학회 22 (22): 49-77, 2015
20 구본용, "부모의 긍정적 관여와 자기효능감이 대학생의 진로결정과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상담학회 11 (11): 171-187, 2010
21 정봉희, "부모에 대한 심리적 독립과 애착 및 자아정체감이 고등학생의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포럼(아시아태평양교육학회) 7 (7): 57-74, 2008
22 Dewey, J., "민주주의와 교육" 교육과학사 2007
23 김봉환,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의 발달 및 이차원적 유형화" 9 (9): 311-333, 1997
24 이현민, "대학생의 진로결정과 미래시간관, 진로결정관계성, 진로탐색행동의 구조적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 서울대학교 2020
25 곽수란, "교과적성이 고등학생의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3 (23): 105-133, 2020
26 오정아, "관계적 및 학교적응 요인이 중학생의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 한국농촌지도학회 21 (21): 185-209, 2014
27 오헌석, "고등학생의 진로결정 수준 비교 연구" 한국직업교육학회 29 (29): 245-265, 2010
28 조영아, "고등학생의 진로개발역량과 진로준비행동 및 사회적 지지의 관계" 한국농·산업교육학회 45 (45): 53-77, 2013
29 이응택, "고등학생의 부모와의 관계 및 부모와의 진로관련대화와 직업결정의 관계에서 진로정체감의 매개효과" 한국진로교육학회 30 (30): 47-66, 2017
30 金鳳煥, "大學生의 進路決定水準과 進路準備行動의 發達 및 二次元的 類型化"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7
31 Skorikov, V., "Vocational identity development : Its relationship to other identity domains and to overall identity development" 6 : 13-15, 1998
32 Young, R. A., "Transition to adulthood as a parent-youth project : Governance transfer, career promotion, and relational processes" 55 (55): 297-307, 2008
33 Bronfenbrenner, U., "The ecology of human development : Experiments by nature and design" Harvard University Press 1979
34 Piaget, J., "The development of thought : Equilibration of cognitive structure" Viking Press 1977
35 Krumboltz, J. D., "The Happenstance Learning Theory" 17 (17): 135-154, 2009
36 Leierer, S. J., "The Career State Inventory (CSI) as a Measure of Readiness for Career Decision Making: A Manual for Assessment" Center for the Study of Technology in Counseling and Career Development. Florida State University 2017
37 Young, R. A., "Relationships, communication, and career in the parent-adolescent projects of families with and without challenges" 68 (68): 1-23, 2006
38 Bronfenbrenner, U., "Recent advances in theory and design" 1987
39 Vygotsky, L. S., "Mind in society: The development of higher mental processes" Harvard University Press 1978
40 Marcia, J. E., "Identity and intervention" 12 : 401-410, 1989
41 Havighurst, R. J., "Developmental tasks and education" David McKay 1972
42 Erikson, E. H., "Childhood and society" Norton 1963
43 Savickas, M. L., "Career maturity : The construct and its appraisal" 32 (32): 222-231, 1984
44 Vondracek, F. W., "Career development in childhood and adolescence" Sense Publishers 143-168, 2007
45 Mitchell, L. K., "Career choice and development" Jossey-Bass 233-280, 1996
46 Herr, E. L., "Career Guidance and Counseling through the Life Span: Systematic Approaches" Pearson/Allyn and Bacon 2004
47 Niles, S. G., "Career Development Interventions in the 21st Century" Pearson 2013
48 Vondracek, F. W., "Blackwell handbook of adolescence" Blackwell 100-108, 2003
49 Taylor, K. M., "Applications of self-efficacy theory to the understanding and treatment of career indecision" 22 (22): 63-81, 1983
50 Porfeli, E. J., "A multi-dimensional measure of vocational identity status" 34 (34): 853-871, 2011
51 신현숙, "21세기를 위한 학교심리학" 시그마프레스 2008
52 교육부, "2020 학교진로교육 지원계획" 교육부 2020
53 교육부, "2019 초·중등 진로교육 현황조사 결과 발표" 교육부 2019
54 교육부, "2015 학교 진로교육 목표와 성취기준" 교육부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