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강대현, "한국시민교육에 대한 사적 고찰 -학교시민교육의 변천과정을 중심으로-" 한국사회과교육학회 33 : 1-22, 2001
2 이한규, "한국과 독일에 있어서 수요자 중심의 민주시민교육- ‘비판적 사고’(Critical Thinking) 모델" 한독사회과학회 21 (21): 3-26, 2011
3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학교시민교육과 민주주의"
4 정문성, "학교 민주시민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개선 방안 연구" 교육부 2018
5 경향신문, "인헌고 사태, ‘반진보 10대 정체성’의 탄생?"
6 강호원, "영국의 학급 편성 및 운영체계"
7 한규선, "영국의 정치교육: 시티즌십 교육의 국가교육과정 필수교과 제정을 중심으로" 12 : 45-76, 2013
8 정재원, "영국의 시민교육 제도화에 관한 연구" 인문사회과학연구소 (38) : 5-37, 2013
9 정재원, "영국의 시민교육 거버넌스 분석과 시사점" 한국시민윤리학회 26 (26): 1-23, 2013
10 송현정, "영국 시민교육의 현황 분석 연구: 영국 시민교육의 특징과 시사점" 2020
1 강대현, "한국시민교육에 대한 사적 고찰 -학교시민교육의 변천과정을 중심으로-" 한국사회과교육학회 33 : 1-22, 2001
2 이한규, "한국과 독일에 있어서 수요자 중심의 민주시민교육- ‘비판적 사고’(Critical Thinking) 모델" 한독사회과학회 21 (21): 3-26, 2011
3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학교시민교육과 민주주의"
4 정문성, "학교 민주시민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개선 방안 연구" 교육부 2018
5 경향신문, "인헌고 사태, ‘반진보 10대 정체성’의 탄생?"
6 강호원, "영국의 학급 편성 및 운영체계"
7 한규선, "영국의 정치교육: 시티즌십 교육의 국가교육과정 필수교과 제정을 중심으로" 12 : 45-76, 2013
8 정재원, "영국의 시민교육 제도화에 관한 연구" 인문사회과학연구소 (38) : 5-37, 2013
9 정재원, "영국의 시민교육 거버넌스 분석과 시사점" 한국시민윤리학회 26 (26): 1-23, 2013
10 송현정, "영국 시민교육의 현황 분석 연구: 영국 시민교육의 특징과 시사점" 2020
11 Citizenship Foundation, "영국 시민교육 지침서"
12 강대현, "영국 시민교육 사례 분석 연구: 영국 시민교육의 특징과 시사점" 여수시 국제교육원 113-118, 2019
13 박장호, "영국 도덕 교육의 교육과정" 한국윤리교육학회 (3) : 226-247, 2003
14 권순정, "영국 국가 정치 상황에 따른 시민교육 핵심개념 분석: 학교 교육과정정책 내용을 중심으로" 한국비교교육학회 29 (29): 1-28, 2019
15 권진욱, "시민사회의 시민교육 체계 구축과정 연구: 독일, 프랑스, 스웨덴, 미국, 영국을 중심으로"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한국민주주의연구소 163-209, 2016
16 Heater, D, "시민교육의 역사" 한울아카데미 2007
17 김미란, "시민·사회단체의 시민교육현황 분석" 梨花女子大學校 社會福祉大學院 1998
18 교육부, "민주시민교육 활성화를 위한 종합계획"
19 강영혜, "민주시민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11
20 홍은영, "문화적 실천으로서 독일의 정치교육 혹은 민주시민교육 - 제도적 이상과 현실" 인문학연구원 (17) : 289-320, 2016
21 이상오, "독일의 학교민주주의와 시민교육에 대한 연구" 한독교육학회 19 (19): 23-52, 2014
22 신용민, "독일과 한국의 성인 시민교육 비교연구 - 라이프치히 시민대학과 진주의 평생교육원 교육프로그램을 중심으로" 한국독일어문학회 25 (25): 87-108, 2017
23 허영식, "독일 학교 민주시민교육" 51-72, 2017
24 Ruminski, E., "독일 통일 후 정치재단의 민주시민교육의 역할" 13 (13): 109-120, 2012
25 양흥권, "독일 정치교육 사례에 기반한 한국의 민주시민교육 모형 탐색 연구" 원격교육연구소 10 (10): 77-104, 2014
26 서강식, "교과서 분석을 중심으로 한 영국의 도덕교육 고찰"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57) : 131-157, 2017
27 선거연수원, "각국의 민주시민교육 프로그램" 해외연구관 16-32, 2014
28 옥일남, "‘학교 민주시민교육의 유형과 전략’ 토론 원고" 일산, KINTEX 제2전시장 107-117, 2019
29 Kisby, B., "‘Politics is ethics done in public’: Exploring linkages and disjunctions between citizenship education and character education in England" 16 (16): 8-21, 2017
30 "Young Citizens"
31 Fiehn, J, "This is Citizenship: teacher’s resource book" John Murray 2002
32 Fiehn, J, "This is Citizenship 3" Hodder Education 2013
33 Fiehn, J, "This is Citizenship 2" Hodder Education 2013
34 Fiehn, J, "This is Citizenship 1" Hodder Education 2014
35 Whitmarsh, G., "The Politics of Pollitical Education: An Episode" 6 (6): 133-142, 1974
36 Osler, A., "The Crick report: Difference, equality and racial justice" 11 (11): 25-37, 2000
37 Paton, G., "Teachers being turned into social workers, warns Michael Gove"
38 Whitty, G, "Real Decision Making? School Councils in Action" Institute of Education, University of London
39 Kerr, D., "Pupil assessment in citizenship education: purposes, practices, and possibilities" NFER 2009
40 Crick, B, "Political Education and Political Literacy" Longman 1978
41 Brighouse, H., "On Education" Routledge 2006
42 "NCS"
43 Phillips, T., "Multiculturalism’s legacy is “Have a nice day” racism"
44 Weinburg, J, "Learning for democracy: The politics and practice of citizenship education" 44 (44): 573-592, 2018
45 Moorse, L., "GCSE citizenship studies – taking citizenship action" 46 : 44-51, 2017
46 AQA, "GCSE Citizenship Studies(8100) Specification"
47 AQA, "GCSE Citizenship Studies Paper 1: specimen question paper"
48 AQA, "GCSE Citizenship Studies Paper 1: question paper"
49 Whiteley, P., "Does Citizenship Education Work? Evidence from a Decade of Citizenship Education in Secondary Schools in England" 67 : 513-535, 2014
50 Starkey, H., "Diversity and citizenship in the curriculum" 6 (6): 5-10, 2008
51 Lang, S., "Democracy is not boring" 96 : 6-12, 1999
52 Davies, I, "Current challenges for citizenship education in England" 5 (5): 20-36, 2016
53 Qualifications and Curriculum Authority, "Citizenship: Programme of study for key stage 3"
54 Kisby, B, "Citizenship, Democracy and Education in the UK: Towards a Common Framework for Citizenship Lessons in the Four Home Nations" 65 (65): 68-89, 2012
55 Arthur, J., "Citizenship through Secondary History" Routeledge Falmer 2001
56 Department for Education, "Citizenship programmes of study: key stages 3and 4: National Curriculum in England"
57 Keating, A., "Citizenship education in England 2001-2010: young people’s practices and prospects for the future: the eighth and final report from the Citizenship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CELS)" Department for Education 2010
58 Oster, A, "Citizenship education and national identities in France and England: Inclusive or exclusive?" 27 (27): 287-305, 2001
59 Department for Education, "Citizenship Studies: GCSE subject content"
60 Parliament UK, "Chapter 3: Education–the key building block"
61 Clarke, H. D., "Campaigning for Change: The Dynamics of Electoral Choice in Britain"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3
62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0 교육과정․교육평가 국제동향 연구 사업: 영국"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