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영국 학교 시민교육의 제도화와 현황에 대한 분석 = Analyzing the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Citizenship Education in the UK: What Lessons Can be Drawn for Citizenship Education Initiatives in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05994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search sets out to investigate the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citizenship education in the UK with the aim of offering implications for citizenship education in Korea. In England, prior to the late 1980s, there was no statutory National Curriculum for school subjects, including citizenship education. By the start of the 1990s, growing evidence of a decline in civic engagement such as low voter turnout among young people and detachment of the youth from politics in general, caused some alarm. In addition to this, other pressing issues which reflect the progression of globalization and a multicultural society such as the need to enhance community cohesion and build a sense of the value of cultural diversity, helped citizenship education stay on the political agenda. Amongst the citizenship education initiatives is the Crick Report (1998) which provided the framework for citizenship education through defining the directions and key concepts of citizenship education in schools. Since the introduction of citizenship education as a new statutory subject at the secondary level in 2002, the focus of citizenship education as a school subject can be summarized as linking the acquisition of civic knowledge with the development of active citizenship. Importantly, the implementation of citizenship education in the UK is interwoven with community involvement, which is characterized by the active use of resources outside of school in the local community. Considering the problematic nature of hierarchically imposed citizenship education initiatives in Korea, more attention needs to be drawn to the importance of fostering political literacy through the promotion of community involvement. which is viewed as one of the key objectives of citizenship education in the UK.
      번역하기

      This research sets out to investigate the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citizenship education in the UK with the aim of offering implications for citizenship education in Korea. In England, prior to the late 1980s, there was no statutory National Curr...

      This research sets out to investigate the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citizenship education in the UK with the aim of offering implications for citizenship education in Korea. In England, prior to the late 1980s, there was no statutory National Curriculum for school subjects, including citizenship education. By the start of the 1990s, growing evidence of a decline in civic engagement such as low voter turnout among young people and detachment of the youth from politics in general, caused some alarm. In addition to this, other pressing issues which reflect the progression of globalization and a multicultural society such as the need to enhance community cohesion and build a sense of the value of cultural diversity, helped citizenship education stay on the political agenda. Amongst the citizenship education initiatives is the Crick Report (1998) which provided the framework for citizenship education through defining the directions and key concepts of citizenship education in schools. Since the introduction of citizenship education as a new statutory subject at the secondary level in 2002, the focus of citizenship education as a school subject can be summarized as linking the acquisition of civic knowledge with the development of active citizenship. Importantly, the implementation of citizenship education in the UK is interwoven with community involvement, which is characterized by the active use of resources outside of school in the local community. Considering the problematic nature of hierarchically imposed citizenship education initiatives in Korea, more attention needs to be drawn to the importance of fostering political literacy through the promotion of community involvement. which is viewed as one of the key objectives of citizenship education in the UK.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영국 학교 시민교육의 제도화 과정과 현황을 분석하여 그 특징을 파악하고 우리나라 학교 시민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추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영국에서는 1980년대까지 민주적인 정치 과정과 문화에 대한 신뢰 속에 학교에서 시민교육을 제도화하지 않았다. 그런데 1990년대부터 청년층의 낮은 투표율 등으로 민주주의 위기가 감지되고 세계화와 다문화 사회의 진전으로 인해 자국 내의 인종 및 문화의 다양성이 증가하면서 학교 시민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이에 영국에서는 크릭 보고서 등을 통해서 학교 시민교육의 방향과 핵심 요소를 정하고, ‘시민교육’ 교과목을 구심점으로 교과 및 교과 외 활동 등을 통해서 학교 시민교육을 강화하였다. 그러나 영국의 학교 시민교육은 기존의 사회적 전통에 따라 학교뿐만 아니라 학교 밖 자원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이러한 영국의 학교 시민교육은 정치적 논쟁의 극복, 시민교육을 위한 국가정책 수립, 학교와 학교 밖 자원의 연계, 현장 체험 및 실천 중심 교육의 특징을 띠고 있다. 이러한 특징은 우리나라 학교 시민교육에 정치ㆍ사회적 합의, 체계적인 학교 시민교육 정책 수립, 학교와 학교 밖의 협력, 체험과 실천 중심 교육 강화 등 여러 시사점을 제공한다. 따라서 최근 들어 민주화의 진전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국가 및 정부 주도 하에 학교 및 교과 위주의 시민교육을 추진하고 있는 우리나라 현실에서 영국 시민교육의 접근 방식은 유용한 참고가 될 수 있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영국 학교 시민교육의 제도화 과정과 현황을 분석하여 그 특징을 파악하고 우리나라 학교 시민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추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영국에서는 1980년대까지 민주...

      이 연구는 영국 학교 시민교육의 제도화 과정과 현황을 분석하여 그 특징을 파악하고 우리나라 학교 시민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추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영국에서는 1980년대까지 민주적인 정치 과정과 문화에 대한 신뢰 속에 학교에서 시민교육을 제도화하지 않았다. 그런데 1990년대부터 청년층의 낮은 투표율 등으로 민주주의 위기가 감지되고 세계화와 다문화 사회의 진전으로 인해 자국 내의 인종 및 문화의 다양성이 증가하면서 학교 시민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이에 영국에서는 크릭 보고서 등을 통해서 학교 시민교육의 방향과 핵심 요소를 정하고, ‘시민교육’ 교과목을 구심점으로 교과 및 교과 외 활동 등을 통해서 학교 시민교육을 강화하였다. 그러나 영국의 학교 시민교육은 기존의 사회적 전통에 따라 학교뿐만 아니라 학교 밖 자원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이러한 영국의 학교 시민교육은 정치적 논쟁의 극복, 시민교육을 위한 국가정책 수립, 학교와 학교 밖 자원의 연계, 현장 체험 및 실천 중심 교육의 특징을 띠고 있다. 이러한 특징은 우리나라 학교 시민교육에 정치ㆍ사회적 합의, 체계적인 학교 시민교육 정책 수립, 학교와 학교 밖의 협력, 체험과 실천 중심 교육 강화 등 여러 시사점을 제공한다. 따라서 최근 들어 민주화의 진전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국가 및 정부 주도 하에 학교 및 교과 위주의 시민교육을 추진하고 있는 우리나라 현실에서 영국 시민교육의 접근 방식은 유용한 참고가 될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강대현, "한국시민교육에 대한 사적 고찰 -학교시민교육의 변천과정을 중심으로-" 한국사회과교육학회 33 : 1-22, 2001

      2 이한규, "한국과 독일에 있어서 수요자 중심의 민주시민교육- ‘비판적 사고’(Critical Thinking) 모델" 한독사회과학회 21 (21): 3-26, 2011

      3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학교시민교육과 민주주의"

      4 정문성, "학교 민주시민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개선 방안 연구" 교육부 2018

      5 경향신문, "인헌고 사태, ‘반진보 10대 정체성’의 탄생?"

      6 강호원, "영국의 학급 편성 및 운영체계"

      7 한규선, "영국의 정치교육: 시티즌십 교육의 국가교육과정 필수교과 제정을 중심으로" 12 : 45-76, 2013

      8 정재원, "영국의 시민교육 제도화에 관한 연구" 인문사회과학연구소 (38) : 5-37, 2013

      9 정재원, "영국의 시민교육 거버넌스 분석과 시사점" 한국시민윤리학회 26 (26): 1-23, 2013

      10 송현정, "영국 시민교육의 현황 분석 연구: 영국 시민교육의 특징과 시사점" 2020

      1 강대현, "한국시민교육에 대한 사적 고찰 -학교시민교육의 변천과정을 중심으로-" 한국사회과교육학회 33 : 1-22, 2001

      2 이한규, "한국과 독일에 있어서 수요자 중심의 민주시민교육- ‘비판적 사고’(Critical Thinking) 모델" 한독사회과학회 21 (21): 3-26, 2011

      3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학교시민교육과 민주주의"

      4 정문성, "학교 민주시민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개선 방안 연구" 교육부 2018

      5 경향신문, "인헌고 사태, ‘반진보 10대 정체성’의 탄생?"

      6 강호원, "영국의 학급 편성 및 운영체계"

      7 한규선, "영국의 정치교육: 시티즌십 교육의 국가교육과정 필수교과 제정을 중심으로" 12 : 45-76, 2013

      8 정재원, "영국의 시민교육 제도화에 관한 연구" 인문사회과학연구소 (38) : 5-37, 2013

      9 정재원, "영국의 시민교육 거버넌스 분석과 시사점" 한국시민윤리학회 26 (26): 1-23, 2013

      10 송현정, "영국 시민교육의 현황 분석 연구: 영국 시민교육의 특징과 시사점" 2020

      11 Citizenship Foundation, "영국 시민교육 지침서"

      12 강대현, "영국 시민교육 사례 분석 연구: 영국 시민교육의 특징과 시사점" 여수시 국제교육원 113-118, 2019

      13 박장호, "영국 도덕 교육의 교육과정" 한국윤리교육학회 (3) : 226-247, 2003

      14 권순정, "영국 국가 정치 상황에 따른 시민교육 핵심개념 분석: 학교 교육과정정책 내용을 중심으로" 한국비교교육학회 29 (29): 1-28, 2019

      15 권진욱, "시민사회의 시민교육 체계 구축과정 연구: 독일, 프랑스, 스웨덴, 미국, 영국을 중심으로"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한국민주주의연구소 163-209, 2016

      16 Heater, D, "시민교육의 역사" 한울아카데미 2007

      17 김미란, "시민·사회단체의 시민교육현황 분석" 梨花女子大學校 社會福祉大學院 1998

      18 교육부, "민주시민교육 활성화를 위한 종합계획"

      19 강영혜, "민주시민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11

      20 홍은영, "문화적 실천으로서 독일의 정치교육 혹은 민주시민교육 - 제도적 이상과 현실" 인문학연구원 (17) : 289-320, 2016

      21 이상오, "독일의 학교민주주의와 시민교육에 대한 연구" 한독교육학회 19 (19): 23-52, 2014

      22 신용민, "독일과 한국의 성인 시민교육 비교연구 - 라이프치히 시민대학과 진주의 평생교육원 교육프로그램을 중심으로" 한국독일어문학회 25 (25): 87-108, 2017

      23 허영식, "독일 학교 민주시민교육" 51-72, 2017

      24 Ruminski, E., "독일 통일 후 정치재단의 민주시민교육의 역할" 13 (13): 109-120, 2012

      25 양흥권, "독일 정치교육 사례에 기반한 한국의 민주시민교육 모형 탐색 연구" 원격교육연구소 10 (10): 77-104, 2014

      26 서강식, "교과서 분석을 중심으로 한 영국의 도덕교육 고찰"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57) : 131-157, 2017

      27 선거연수원, "각국의 민주시민교육 프로그램" 해외연구관 16-32, 2014

      28 옥일남, "‘학교 민주시민교육의 유형과 전략’ 토론 원고" 일산, KINTEX 제2전시장 107-117, 2019

      29 Kisby, B., "‘Politics is ethics done in public’: Exploring linkages and disjunctions between citizenship education and character education in England" 16 (16): 8-21, 2017

      30 "Young Citizens"

      31 Fiehn, J, "This is Citizenship: teacher’s resource book" John Murray 2002

      32 Fiehn, J, "This is Citizenship 3" Hodder Education 2013

      33 Fiehn, J, "This is Citizenship 2" Hodder Education 2013

      34 Fiehn, J, "This is Citizenship 1" Hodder Education 2014

      35 Whitmarsh, G., "The Politics of Pollitical Education: An Episode" 6 (6): 133-142, 1974

      36 Osler, A., "The Crick report: Difference, equality and racial justice" 11 (11): 25-37, 2000

      37 Paton, G., "Teachers being turned into social workers, warns Michael Gove"

      38 Whitty, G, "Real Decision Making? School Councils in Action" Institute of Education, University of London

      39 Kerr, D., "Pupil assessment in citizenship education: purposes, practices, and possibilities" NFER 2009

      40 Crick, B, "Political Education and Political Literacy" Longman 1978

      41 Brighouse, H., "On Education" Routledge 2006

      42 "NCS"

      43 Phillips, T., "Multiculturalism’s legacy is “Have a nice day” racism"

      44 Weinburg, J, "Learning for democracy: The politics and practice of citizenship education" 44 (44): 573-592, 2018

      45 Moorse, L., "GCSE citizenship studies – taking citizenship action" 46 : 44-51, 2017

      46 AQA, "GCSE Citizenship Studies(8100) Specification"

      47 AQA, "GCSE Citizenship Studies Paper 1: specimen question paper"

      48 AQA, "GCSE Citizenship Studies Paper 1: question paper"

      49 Whiteley, P., "Does Citizenship Education Work? Evidence from a Decade of Citizenship Education in Secondary Schools in England" 67 : 513-535, 2014

      50 Starkey, H., "Diversity and citizenship in the curriculum" 6 (6): 5-10, 2008

      51 Lang, S., "Democracy is not boring" 96 : 6-12, 1999

      52 Davies, I, "Current challenges for citizenship education in England" 5 (5): 20-36, 2016

      53 Qualifications and Curriculum Authority, "Citizenship: Programme of study for key stage 3"

      54 Kisby, B, "Citizenship, Democracy and Education in the UK: Towards a Common Framework for Citizenship Lessons in the Four Home Nations" 65 (65): 68-89, 2012

      55 Arthur, J., "Citizenship through Secondary History" Routeledge Falmer 2001

      56 Department for Education, "Citizenship programmes of study: key stages 3and 4: National Curriculum in England"

      57 Keating, A., "Citizenship education in England 2001-2010: young people’s practices and prospects for the future: the eighth and final report from the Citizenship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CELS)" Department for Education 2010

      58 Oster, A, "Citizenship education and national identities in France and England: Inclusive or exclusive?" 27 (27): 287-305, 2001

      59 Department for Education, "Citizenship Studies: GCSE subject content"

      60 Parliament UK, "Chapter 3: Education–the key building block"

      61 Clarke, H. D., "Campaigning for Change: The Dynamics of Electoral Choice in Britain"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3

      62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0 교육과정․교육평가 국제동향 연구 사업: 영국"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6-28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Korea Association of Social Education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5 1.5 1.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4 1.35 1.812 0.2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