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갑오개혁 이후 조선 왕실의 의료 관제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16510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royal medical officer system of the Joseon after the Gabo Reform can be roughly divided into the period of the Taeuiwon, the Jeonuisa, the Naeuiwon, and the Sijongwon period. This study shows:1. The status of the royal medical office was related to the status of the royal family.
      2. After Jeonuisa, traditional royal offices of the Joseon Dynasty were not used.
      3. ‘Jeonui’ became synonymous with bureaucrats in charge of royal medical care after the Taeuiwon period.
      4. The Minister of Jeonui was the highest in medical bureaucracy since the Joseon Dynasty.
      5. The imperial medical service included Western medicine doctors after the Sijongwon period.
      번역하기

      The royal medical officer system of the Joseon after the Gabo Reform can be roughly divided into the period of the Taeuiwon, the Jeonuisa, the Naeuiwon, and the Sijongwon period. This study shows:1. The status of the royal medical office was related t...

      The royal medical officer system of the Joseon after the Gabo Reform can be roughly divided into the period of the Taeuiwon, the Jeonuisa, the Naeuiwon, and the Sijongwon period. This study shows:1. The status of the royal medical office was related to the status of the royal family.
      2. After Jeonuisa, traditional royal offices of the Joseon Dynasty were not used.
      3. ‘Jeonui’ became synonymous with bureaucrats in charge of royal medical care after the Taeuiwon period.
      4. The Minister of Jeonui was the highest in medical bureaucracy since the Joseon Dynasty.
      5. The imperial medical service included Western medicine doctors after the Sijongwon perio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기욱, "한의학통사" 대성의학사 421-422, 2006

      2 신순식, "한국한의학사 재정립 하" 한국한의학연구소 109-110, 1995

      3 김두종, "한국의학사" 탐구당 495-512, 1981

      4 차웅석, "청강 김영훈과 수세현서" 한국의사학회 14 (14): 249-260, 2001

      5 박훈평, "조선후기 의약동참과 내침의 신분 연구 -『璿源續譜』를 중심으로" 한국학중앙연구원 (39) : 208-235, 2018

      6 박훈평, "조선시대 의관총목록" 한국한의학연구원 11-606, 2018

      7 박훈평, "역주 내의원식례" 퍼플 11-15, 2015

      8 박윤재, "대한제국과 통감부의 의학체계 구상과 전개" 국학연구원 (139) : 77-104, 2007

      9 성숙경, "갑오개혁 이후(1894~1899) 성균관의 근대적 재편" 한국근현대사학회 (39) : 123-163, 2006

      10 홍문기, "갑오개혁 이후 비서기관의 변천과 군주권" 52 : 251-294, 2006

      1 김기욱, "한의학통사" 대성의학사 421-422, 2006

      2 신순식, "한국한의학사 재정립 하" 한국한의학연구소 109-110, 1995

      3 김두종, "한국의학사" 탐구당 495-512, 1981

      4 차웅석, "청강 김영훈과 수세현서" 한국의사학회 14 (14): 249-260, 2001

      5 박훈평, "조선후기 의약동참과 내침의 신분 연구 -『璿源續譜』를 중심으로" 한국학중앙연구원 (39) : 208-235, 2018

      6 박훈평, "조선시대 의관총목록" 한국한의학연구원 11-606, 2018

      7 박훈평, "역주 내의원식례" 퍼플 11-15, 2015

      8 박윤재, "대한제국과 통감부의 의학체계 구상과 전개" 국학연구원 (139) : 77-104, 2007

      9 성숙경, "갑오개혁 이후(1894~1899) 성균관의 근대적 재편" 한국근현대사학회 (39) : 123-163, 2006

      10 홍문기, "갑오개혁 이후 비서기관의 변천과 군주권" 52 : 251-294, 2006

      11 실록청, "朝鮮王朝實錄" 국사편찬위원회

      12 차웅석, "晴崗診療簿 자료현황 보고 - 입수경위와 정리현황 및 연구적 가치-" 대한한의학회 25 (25): 119-126, 2004

      13 규장각, "日省錄" 규장각한국학연구원

      14 승정원, "承政院日記" 국사편찬위원회

      15 박훈평, "徐丙孝 연구에 대한 예비적 고찰" 대한한의학원전학회 33 (33): 49-61, 2020

      16 태의원, "太醫院日記" 규장각한국학연구원

      17 국사편찬위원회, "大韓帝國官員履歷書" 국사편찬위원회

      18 김정선, "1898년도 조선왕실의 의료 연구 - 『태의원일기』를 중심으로 -" 대한의사학회 13 (13): 3-3, 2004

      19 서영희, "1894-1904년의 정치체제 변동과 궁내부" 23 : 327-396, 199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12-1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韓國醫史學會誌 -> 한국의사학회지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KOREAN MEDICAL HISTORY -> THE JOURNAL OF KOREAN MEDICAL HISTORY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8 0.48 0.4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1 0.4 0.737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