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창의적 문제 해결력 지향 일반화학실험 교수 전략 개발 및 적용 효과(제I보) = The Development of Teaching Strategy for the Enhancement of the Creative Problem Solving Thinking Skills through General Chemistry Laboratory and the Effects of It's Applications(I)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02899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발산적 사고력과 수렴적 사고력 신장 모형을 만들고 난 후에 현행 과학 탐구 교수 전략에 함께 사용한 새로운 수업 전략을 개발하였다. 이 연구에서 창의적 사고력은 협의의 측면으로 발산...

      발산적 사고력과 수렴적 사고력 신장 모형을 만들고 난 후에 현행 과학 탐구 교수 전략에 함께 사용한 새로운 수업 전략을 개발하였다. 이 연구에서 창의적 사고력은 협의의 측면으로 발산적 사고력이다. 그리고 과학과에서의 문제 해결력은 탐구 능력이며 수렴적 사고인 비판적 사고력이다. 이러한 창의적 문제해결력 지향 탐구 수업 모형에 의한 수업 전략을 사범 대학 학생들에게 1학기 동안 적용하여 그 적용 효과를 알아보았다. 첫 번째, 이 학생들의 창의적 사고력인 발산적 사고력이 유의미하게 신장되었다. 하위 요소로는 문제를 인식하는 기능, 가설을 설정하는 기능, 자료를 변환하고 해석하는 기능에 있어서 발산적 사고력이 유의미하게 신장되었다. 두 번째, 이 학생들의 문제 해결력인 탐구 능력에서의 비판적 사고력이 유의미하게 신장되었다. 하위 요소로는 가설을 설정하는 기능, 자료를 변환하고 해석하는 기능, 결론을 도출하는 기능에 있어서 유의미하게 비판적 사고력이 신장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세 번째, 이 학생들의 창의적 문제 해결력도 유의미하게 신장되었다. 구체적으로 변인 통제 능력을 제외한 나머지 탐구 능력에서 모두 창의적 문제 해결력이 유의미하게 신장 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troduce the practical model on the enhancement of the divergent and convergent thinking skills through inquiry instruction in science class. In this study, the creative thinking skill has been defined by divergent th...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troduce the practical model on the enhancement of the divergent and convergent thinking skills through inquiry instruction in science class. In this study, the creative thinking skill has been defined by divergent thinking skill as the narrow sense. In the science field, the problem solving thinking skill is just same as the inquiry thinking skill. Also, the problem solving thinking skill has been defined by convergent thinking skill as the critical thinking skill. This new instruction had been used for the college student in the class of general chemistry laboratory for the one semester. The first results had been founded that the students' divergent thinking skill had been increased significantly. Especially, the skills of recognition of problems, the skills of making hypothesis, and the skills of transformation and interpretation of data had been increased significantly. The second results had been founded that the students' convergent thinking skill had been increased significantly. Especially, the skills of making hypothesis, the skills of transformation and interpretation of data, and the skills of making conclusion and generalization had been increased significantly. The third results had been founded that the students' the creative and problem solving thinking skill had been increased significantly. Especially, the rest of all skills exception the skill of control variables had been increased significantl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Kim, H. N., 18 (18): 357-, 1998

      2 Kim, H. J., 10 (10): 106-, 2006

      3 Seo, H. A., 26 : 113-, 2003

      4 김명희, "학교 교육에서의 창의성 평가 방안 연구 ― 영역-특수성에 기초한 다차원적 평가를 중심으로 ―" 한국교육과정학회 23 (23): 101-136, 2005

      5 강순희, "가설 제안 활동을 통한 창의적 사고력과 비판적 사고력 신장에 기여하는 모델 개발 및 과학 교수에서 그 활용" 한국과학교육학회 28 (28): 482-494, 2008

      6 Sternberg, R. J., "The nature of insight" A Bradford Book The MIT Press Cambridge 1995

      7 Guilford, J. P., "The nature of human intelligence" McGraw-Hill 1967

      8 Watts, M., "The Science of Problem-Solving" Cassell Educational Limited 1991

      9 Lawson, A. E., "Science teaching and the development of thinking" Wadsworth Publishing Company 1995

      10 Hunt, E., "Problem Solving" Academic Press 1994

      1 Kim, H. N., 18 (18): 357-, 1998

      2 Kim, H. J., 10 (10): 106-, 2006

      3 Seo, H. A., 26 : 113-, 2003

      4 김명희, "학교 교육에서의 창의성 평가 방안 연구 ― 영역-특수성에 기초한 다차원적 평가를 중심으로 ―" 한국교육과정학회 23 (23): 101-136, 2005

      5 강순희, "가설 제안 활동을 통한 창의적 사고력과 비판적 사고력 신장에 기여하는 모델 개발 및 과학 교수에서 그 활용" 한국과학교육학회 28 (28): 482-494, 2008

      6 Sternberg, R. J., "The nature of insight" A Bradford Book The MIT Press Cambridge 1995

      7 Guilford, J. P., "The nature of human intelligence" McGraw-Hill 1967

      8 Watts, M., "The Science of Problem-Solving" Cassell Educational Limited 1991

      9 Lawson, A. E., "Science teaching and the development of thinking" Wadsworth Publishing Company 1995

      10 Hunt, E., "Problem Solving" Academic Press 1994

      11 Mayer, R.E., "Problem Solving" Academic Press 1999

      12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Science Curriculum" Daehan Textbook Publishing 2009

      13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Basic plan of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 2010

      14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Basic plan of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 2010

      15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Science Curriculum" Daehan Textbook Publishing 2007

      16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Curriculum" Daehan Textbook Publishing 1998

      17 Ebel, R. L., "Measuring Educational Achievement" Prentice-Hall 1965

      18 Kang, S. H., "General Chemistry Inquiry Experiment" Book’s-Hill Publisher Co 2008

      19 Runco, M. A., "Divergent thinking" Academic Press 577-, 1999

      20 Lee, Y. H., "Development of a learning program enhancing the ability to control variables and its implementation effects" Ewha Womans University 2009

      21 Cangelosi, J. S., "Designing tests for evaluating student achievement" Longman 1990

      22 Paul, R., "Critical thinking: What, Why, and How" Educational Imperative, ERIC 1990

      23 Lubart, T. I., "Creativity" Academic Press 89-, 1994

      24 Kim, Y. C., "Creative Problem Solving: A Coach Guide for Teaching of Creativity" kyoyookkwahaksa 2004

      25 Kang, S. H., "Assessment Instruments and Criteria of Creative Problem Solving Thinking Skills in Science Education" Ewha Womans University 2010

      26 Lee, E. J., "A Study of Direct Teaching Strategy of Inquiry Skills Applying Meta-cognition" Ewha Womans University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1 0.21 0.1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18 0.14 0.364 0.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