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재만 시인 심연수 문학의 실증주의적 고찰 = Positivist consideration for the literature of Shim, Yeon- Su`s, Korean poet in the Manchuri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92202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재만 시인 심연수 문학의 실증주의적 고찰을 목적으로 한다. 이천 년대 이후 중국과 한국 학계에서는 일제강점기에 활동했던 재만 시인 심연수(1918.5.20-1945.8.8) 문학에 대한 논의를...

      이 논문은 재만 시인 심연수 문학의 실증주의적 고찰을 목적으로 한다. 이천 년대 이후 중국과 한국 학계에서는 일제강점기에 활동했던 재만 시인 심연수(1918.5.20-1945.8.8) 문학에 대한 논의를 꾸준히 거듭해 왔다. 그런데 본 연구자가 판단하기에, 그동안 전개된 심연수 문학 연구는 논리적 모순과 의도적 왜곡에 이르기까지 심각한 한계를 노출한다. 뿐만 아니라 최근의 논의들마저도 앞선 연구결과를 무분별하게 수용하며 반복적으로 재생산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이제까지의 선행연구가 노출한 논리적 모순과 한계, 실증적 자료 확보의 미숙성 등에 대해 순차적으로 검토하고자 했다. 텍스트 해석과정에 나타난 선행연구의 오류, 시인의 전기적 사실과 관계된 역사적 모순, <일본대학> 졸업일자의 실증적 고찰 등은 그 세부 내용에 해당한다. 이 과정에서 본 논문은 연구자가 어떤 텍스트를 선택하느냐에 따라 시적 주제의식이 다르게 파악될 수 있다는 것, 이런 측면에서 선행연구는 다소 객관적이지 못했다는 사실을 이본(異本) 연구를 통해 제시했다. 또한 시인의 전기적 생애와 관련된 기존 논의의 한계성은 1차 자료에 대한 체계적 이해의 부족에서 기인한다는 점을 지적한 후, 중학시절의 심연수가 소설가 강경애에게 문학수업을 받았다는 선행연구와 1943년 7월에 학병을 피해 만주로 돌아왔다는 그간의 논의에 대해 재고를 요청했다. 한편 본 연구자는 심연수 시인이 다녔던 <일본대학>의 1943년 졸업식 일정을 공지한 『일본대학 신문』 및 졸업생 명부록(名簿錄), <전문부예술과창작>과 명단과 같은 실증적 자료를 새롭게 발굴하고, 논문에 첨부함으로써 후속 논의의 진전을 도모했다. 이러한 본고의 작업은 심연수 문학의 온전한 이해에 도달하고자 하는 선행연구자들의 목표와 최종적으로 일치한다는 점을 거듭 밝혀둔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ositively consider the literature of Shim, Yeon- Su`s, Korean poet in the Manchuria. Since the beginning of the 21st century, there has been a continuous research from China and Korea, on Shim, Yeon-Su(1918.5.20-194...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ositively consider the literature of Shim, Yeon- Su`s, Korean poet in the Manchuria. Since the beginning of the 21st century, there has been a continuous research from China and Korea, on Shim, Yeon-Su(1918.5.20-1945.8.8), who wrote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However, I came up with the conclusion that there had been serious limitations on the existing researches for the literature of Shim, Yeon-Su, including all the logical contradiction and willful distortion. The latest researches, nevertheless, indiscriminately embrace on the previous research results and continuously reproduce what had been already done. This research gradually reviews the logical contradiction and limitation, and immaturity over procuring positive reference which had been exposed by the previous researches. The details would include the error of the previous researches during the process of interpreting the text, historical contradiction in relation to the biological facts of the poet and positivist consideration of the graduation date of the < Japanese University >. This research proposes, with the help of the research on rare books, that the poetic subject consciousness may be differently interpreted depending on what type of text were chosen and that the previous researches did not hold somewhat an objective view in them. Through this research, I have also made an request for the reconsideration of the fact that Shim was taught the literature class from Kang, Kyung-Ae, the novelist during his academic days in middle school and the fact that Shim had returned to Manchu trying to avoid the student soldier in July 1943. While conducting researches on Shim, I have discovered new positive references including < Japanese University Newspaper > and alumni directory which had details of the graduation ceremony of < Japanese University > in 1943 where Shim had attended and the list of < Professional Arts and Creation >, and have attached them in the research so that the follow-up discussion may be proceeded. It should be certainly noted tha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identical to the ones of the previous researches which sought for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truth of the literature of Shim, Yeon-Su.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명재, "한국현대 민족문학사론" 한국문화사 2003

      2 이명재, "한국학연구 (중국연변과기대 편)" 태학사 2001

      3 서울시립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한국근대문학과 민족-국가담론" 소명 2005

      4 야마무로 신이치, "키메라, 만주국의 초상" 소명 2009

      5 이성천, "재만 시인 심연수 시 연구에 나타난 몇 가지 문제" 어문연구학회 70 (70): 363-387, 2011

      6 김준엽, "장정1-나의 광복군 시절" 나남 1987

      7 김윤식, "일제말기 한국인 학병세대의 체험적 글쓰기론" 서울대출판부 2007

      8 조진기, "일제말기 국책과 체제 순응의 문학" 소명 2010

      9 오양호, "일제강점기 만주조선인문학연구" 문예출판사 1996

      10 김윤식, "이병주와 지리산" 국학자료원 2010

      1 이명재, "한국현대 민족문학사론" 한국문화사 2003

      2 이명재, "한국학연구 (중국연변과기대 편)" 태학사 2001

      3 서울시립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한국근대문학과 민족-국가담론" 소명 2005

      4 야마무로 신이치, "키메라, 만주국의 초상" 소명 2009

      5 이성천, "재만 시인 심연수 시 연구에 나타난 몇 가지 문제" 어문연구학회 70 (70): 363-387, 2011

      6 김준엽, "장정1-나의 광복군 시절" 나남 1987

      7 김윤식, "일제말기 한국인 학병세대의 체험적 글쓰기론" 서울대출판부 2007

      8 조진기, "일제말기 국책과 체제 순응의 문학" 소명 2010

      9 오양호, "일제강점기 만주조선인문학연구" 문예출판사 1996

      10 김윤식, "이병주와 지리산" 국학자료원 2010

      11 유하, "윤동주와 심연수의 시의식 연구" 전남대학교 2012

      12 임헌영, "심연수의 생애와 문학" (봄) : 2001

      13 황규수, "심연수 원본대조 시전집" 한국학술정보 2007

      14 허형만, "심연수 시의 의미와 특성" 2001

      15 엄창섭, "심연수 시문학 탐색" 제이앤씨 2009

      16 김해응, "심연수 시문학 연구" 한국학술정보 2006

      17 최종인, "심연수 시문학 연구" 관동대학교 2006

      18 엄창섭, "심연수 문학 연구" 푸른사상사 2006

      19 엄창섭, "민족시인 심연수의 문학과 삶" 홍익출판사 2003

      20 정호웅, "문학사 연구와 문학교육" 푸른사상 2012

      21 박선영, "만주란 무엇이었는가" 소명 2013

      22 한석정, "만주, 동아시아 융합의 공간" 소명 2008

      23 일본 역사교육자협의회, "동아시아 역사와 일본" 동아시아 2005

      24 "21세기 중국 조선족 문학사료전집 제1집 (심연수 문학 편)" 중국조선민족문화예술출판사 2004

      25 "21세기 중국 조선족 문학사료전집 제1집 (심연수 문학 편)" 연변인민출판사 200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10-13 학술지등록 한글명 : 국제어문
      외국어명 :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in International Context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 0.7 0.7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1 0.76 1.32 0.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