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이야기성과 공간을 결합한 공간스토리텔링이 단지 스토리마케팅을 통한 소비의 진작만이 아닌 이야기가 가진 치유의 힘을 공간을 통해 보임으로써 인간다움을 확보할 힐링경험...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이야기성과 공간을 결합한 공간스토리텔링이 단지 스토리마케팅을 통한 소비의 진작만이 아닌 이야기가 가진 치유의 힘을 공간을 통해 보임으로써 인간다움을 확보할 힐링경험...
본 연구는 이야기성과 공간을 결합한 공간스토리텔링이 단지 스토리마케팅을 통한 소비의 진작만이 아닌 이야기가 가진 치유의 힘을 공간을 통해 보임으로써 인간다움을 확보할 힐링경험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보았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공간스토리텔링이 힐링경험과 어떻게 연결될 수 있을 지를 앵거스 플레처(Angus Fletcher)교수가 2021년 발표한 ‘우리는 지금 문학이 필요하다’라는 책을 통해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힐링과 공간스토리텔리의 개념 및 특성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도출한 힐링과 공간스토리텔링의 분석틀을 활용하여 ‘우리는 지금 문학이 필요하다’의 25개 주제를 분석하여, 힐링과 공간스토리텔링간의 연관성을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로서 힐링경험과 공간스토리텔링은 상호 연결됨을 고찰할 수 있었고 이를 위해서는 이야기 내용보다 이야기 가치를 현재적 시점의 다양한 관계 속에서 전달하는데 중점을 둔 공간스토리텔링이 필요하며,‘경이와 두려움’→‘확장’→‘용기’로 진행되는 공간스토리텔링의 적용 형식이 이야기 가치의 전달에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참고문헌 (Reference)
1 송희영, "히틀러의 연설, 열광과 도취의 도가니" 한국카프카학회 (37) : 147-166, 2017
2 박미정, "통합문학치료학과 정신현상학의 구조적 동일성 연구-테트라 시스템 vs 의식발달단계" 경북대학교 2016
3 최혜실, "테마파크의 스토리텔링" 글누림 2008
4 강유정, "치유적 환경으로서 종합병원 병동부의 실내환경 계획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2004
5 임종훈 ; 전재현, "치유개념이 적용된 복합문화공간 사례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9 (9): 257-265, 2014
6 전미정, "치료의 수사학 (2) -시 치료 사례를 통해 살펴 본 비유의 세 가지 치료 메커니즘-" 한국문학치료학회 21 : 93-119, 2011
7 김희경, "지역문화 활성화를 위한 지역브랜드개발에 관한 연구" 18 : 209-232, 2006
8 이해경, "정신건강증진을 위한 치유환경 개념 및 이론 탐색연구" 디자인융복합학회(구.한국인포디자인학회) 17 (17): 109-123, 2018
9 정헌목, "전통적인 장소의 변화와 ‘비장소(non-place)’의 등장: 마르크 오제의 논의와 적용사례들을 중심으로" 비교문화연구소 19 (19): 107-141, 2013
10 에드워드 렐프, "장소와 장소상실" 논형 2005
1 송희영, "히틀러의 연설, 열광과 도취의 도가니" 한국카프카학회 (37) : 147-166, 2017
2 박미정, "통합문학치료학과 정신현상학의 구조적 동일성 연구-테트라 시스템 vs 의식발달단계" 경북대학교 2016
3 최혜실, "테마파크의 스토리텔링" 글누림 2008
4 강유정, "치유적 환경으로서 종합병원 병동부의 실내환경 계획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2004
5 임종훈 ; 전재현, "치유개념이 적용된 복합문화공간 사례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9 (9): 257-265, 2014
6 전미정, "치료의 수사학 (2) -시 치료 사례를 통해 살펴 본 비유의 세 가지 치료 메커니즘-" 한국문학치료학회 21 : 93-119, 2011
7 김희경, "지역문화 활성화를 위한 지역브랜드개발에 관한 연구" 18 : 209-232, 2006
8 이해경, "정신건강증진을 위한 치유환경 개념 및 이론 탐색연구" 디자인융복합학회(구.한국인포디자인학회) 17 (17): 109-123, 2018
9 정헌목, "전통적인 장소의 변화와 ‘비장소(non-place)’의 등장: 마르크 오제의 논의와 적용사례들을 중심으로" 비교문화연구소 19 (19): 107-141, 2013
10 에드워드 렐프, "장소와 장소상실" 논형 2005
11 채연숙 ; 박미정, "자기의식화로 보는 치유 체험 과정"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8 (8): 607-614, 2018
12 자넷 머레이, "인터랙티브스토리텔링" 안그라픽스 2001
13 앵거스 플래처, "우리는 지금 문학이 필요하다" ㈜로크미디어 2021
14 아리스토텔레스, "시학" 고려대출판부 2006
15 니콜라스 마자, "시치료" 학지사 2005
16 최혜실, "스토리텔링의 이론 정립을 위한 시론 - 공간 스토리텔링으로서의 테마파크 스토리텔링" 국어국문학회 (149) : 685-704, 2008
17 심영덕, "스토리텔링의 구성과 광고의 서사 전략" 한민족어문학회 (58) : 301-326, 2011
18 최인호 ; 임은미,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장소마케팅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관광학회 32 (32): 411-429, 2008
19 최인호, "스토리텔링 관점에서 본 장소마케팅" 2008
20 쿠르트 레빈, "사회과학에서의 장이론" 민음사 1987
21 정운채, "문학치료학의 서사이론" 한국문학치료학회 9 : 247-278, 2008
22 김은희, "문학치료적 관점에서 본 <덴동어미화전가> -치유의 과정에 주목하여-" 한국시가문화학회 (39) : 33-69, 2017
23 심귀연, "몸과 살의 철학자 메를로-퐁티" 필로소픽 2019
24 로버트 맥기, "똑똑한 리더는 스토리로 설득하고 멍청한 리더는 그저 명령만 내린다"
25 이인화, "디지털스토리텔링" 황금가지 2003
26 버킷라이프, "공간을 브랜딩한다-‘공간 스토리텔러’"
27 김영순, "공간 텍스트의 사회문화적 재구성과 공간 스토리텔링-검단과 춘천의 적용사례를 중심으로-" 인문콘텐츠학회 (19) : 35-59, 2010
28 김영순 ; 정미강, "공간 텍스트로서 도시 ‘부천’의 텍스트성 분석 ― ‘둘리의 거리’와 ‘한국만화박물관’을 중심으로" 한국언어문화학회 (36) : 119-146, 2008
29 김영순 ; 정미강, "공간 텍스트로서 ‘도시’의 스토리텔링 과정 연구" 한국텍스트언어학회 24 (24): 167-192, 2008
30 도린 매시, "공간 장소 젠더"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6
31 이재훈, "建築士 9"
32 World Health Organization, "The world health report 2006-Working Together for Health" 2006
33 Evans, G. W., "The built environment and mental health" 80 (80): 2003
34 Oldenburg, Ray, "The Great Good Place-Cafes, Coffee Shops, Bookstores, Bars, Hair Salons, and Other Hangouts at the Heart of a Community" Da Capo Press 1999
35 Tuan, Yi-Fu, "Space and Place-The Perspective of Experience" The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2001
韩·中参与式博物馆青少年文化艺术教育项目比较研究 : 以韩国国立中央博物馆和中国故宫博物馆为中心
공공재로서의 지역문화예술: 지역문화예술코디네이터 운용 방안을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