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형 테마파크 조성을 위한 성공 요인 분석- 문화콘텐츠 기반형 테마파크 전략을 중심으로- = Analysis of Success Factors For Creating A Korean Theme Park - With a Focus on Culture Contents-Based Theme Park Strategy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48085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A theme park, in general, can be defined as a space that has both 'theme factor' and 'hands-on factor'. But theme parks in Korea are not recognized as having unity even though they provide diverse services, because they lack in a theme factor, which is the essence of a theme park. On the other side of the issue, themes and concepts that a theme park claims to stand for are not consistent, and they fail to provide representative themes as well. For this reason, although a business plan to invite overseas theme parks is pushed ahead, it causes a vicious circle to weaken the competitive edge of domestic theme park industry as well as capital outflow. Consequently, from a theoretical viewpoint, a theme park with no specific theme is in critical situation to be out of the limelight by failing to provide visitors with purposefulness and attract their attention. To overcome the limitations in domestic theme park industry, and to gain profitability and expanded customers lie in heightening their receptiveness through creating unique image of each theme park. With the awareness of the issue, this study aims to propose a theme-centered park which has culture contents in it and to suggest a viable alternative that helps to create hands-on theme parks that reflect customers' receptiveness.
      번역하기

      A theme park, in general, can be defined as a space that has both 'theme factor' and 'hands-on factor'. But theme parks in Korea are not recognized as having unity even though they provide diverse services, because they lack in a theme factor, which i...

      A theme park, in general, can be defined as a space that has both 'theme factor' and 'hands-on factor'. But theme parks in Korea are not recognized as having unity even though they provide diverse services, because they lack in a theme factor, which is the essence of a theme park. On the other side of the issue, themes and concepts that a theme park claims to stand for are not consistent, and they fail to provide representative themes as well. For this reason, although a business plan to invite overseas theme parks is pushed ahead, it causes a vicious circle to weaken the competitive edge of domestic theme park industry as well as capital outflow. Consequently, from a theoretical viewpoint, a theme park with no specific theme is in critical situation to be out of the limelight by failing to provide visitors with purposefulness and attract their attention. To overcome the limitations in domestic theme park industry, and to gain profitability and expanded customers lie in heightening their receptiveness through creating unique image of each theme park. With the awareness of the issue, this study aims to propose a theme-centered park which has culture contents in it and to suggest a viable alternative that helps to create hands-on theme parks that reflect customers' receptivenes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일반적으로 테마파크는 테마파크를 구성하는 ‘주제(theme)’와‘ 체험적 요소’를 갖추고 있는 공간으로 설명할 수 있다. 그러나 국내의 테마파크의 본질 요소인 주제 관련 요소를 갖추지 못하고 있어 다양한 형태의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통일성 있는 테마파크로 인식되지 못하고 있다. 그 이유는 테마파크가 표방하는 테마와 콘셉트가 불일치하고 대표성 있는 테마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로 해외 테마파크 유치 사업이 본격 추진되고 있지만, 이에 따른 자본 유출은 물론 국내 테마파크산업의 경쟁력 약화를 초래하는 악순환을 유발하고 있다. 이론적 관점에서 특정한 주제를 갖추지 못한 테마파크는 방문객들의 목적성을 상실케 하여 결과적으로는 대중의 관심에서 사라질 수밖에 없다는 우려를 하게 한다. 이러한 국내 테마파크산업의 한계를 극복하고 수익성과 고객 확장성을 확보하는 방안은 개별 테마파크 자체 이미지 구축을 통한 고객의 수용성 제고에 있다. 이러한 문제 인식 아래 본 논문은 문화콘텐츠가 내재한 주제 중심의 테마파크를 제안하고 고객의 수용성을 반영한 체험형 테마파크 이미지 구축을 위한 실용적 대안을 제시하는 목적이 있다.
      번역하기

      일반적으로 테마파크는 테마파크를 구성하는 ‘주제(theme)’와‘ 체험적 요소’를 갖추고 있는 공간으로 설명할 수 있다. 그러나 국내의 테마파크의 본질 요소인 주제 관련 요소를 갖추지 ...

      일반적으로 테마파크는 테마파크를 구성하는 ‘주제(theme)’와‘ 체험적 요소’를 갖추고 있는 공간으로 설명할 수 있다. 그러나 국내의 테마파크의 본질 요소인 주제 관련 요소를 갖추지 못하고 있어 다양한 형태의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통일성 있는 테마파크로 인식되지 못하고 있다. 그 이유는 테마파크가 표방하는 테마와 콘셉트가 불일치하고 대표성 있는 테마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로 해외 테마파크 유치 사업이 본격 추진되고 있지만, 이에 따른 자본 유출은 물론 국내 테마파크산업의 경쟁력 약화를 초래하는 악순환을 유발하고 있다. 이론적 관점에서 특정한 주제를 갖추지 못한 테마파크는 방문객들의 목적성을 상실케 하여 결과적으로는 대중의 관심에서 사라질 수밖에 없다는 우려를 하게 한다. 이러한 국내 테마파크산업의 한계를 극복하고 수익성과 고객 확장성을 확보하는 방안은 개별 테마파크 자체 이미지 구축을 통한 고객의 수용성 제고에 있다. 이러한 문제 인식 아래 본 논문은 문화콘텐츠가 내재한 주제 중심의 테마파크를 제안하고 고객의 수용성을 반영한 체험형 테마파크 이미지 구축을 위한 실용적 대안을 제시하는 목적이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지선, "프랑스 테마파크 콘텐츠 현황과 기획의 스토리텔링 체계" 한국프랑스학회 59 : 245-266, 2007

      2 김창수, "테마파크의 이해" 대왕사 2007

      3 허태학, "테마파크의 시나리오 구상" 제주대학교 관광과경영경제연구소 (11) : 1997

      4 최정수, "테마파크의 수명주기와 혁신체제 : 에버랜드를 사례로" 경북대학교 대학원 2001

      5 양승훈, "테마파크의 쇼 이벤트의 스토리텔링 분석: 에버랜드의 야간 멀티미디어 쇼의 내러티브를 중심으로" 한국호텔관광학회 11 (11): 32-46, 2009

      6 이토마사미, "테마파크의 비밀" 일신사 1997

      7 하동현, "테마파크에서의 체험요소에 관한 연구 - Pine과 Gilmore의 체험경제이론(Experience Economy)을 중심으로 -" 한국사진지리학회 19 (19): 37-47, 2009

      8 이태희, "테마파크에서의 고객 체험이 신규 콘텐츠 개발에 대한 지속적인 지지의사에 미치는 영향 : Pine과 Gilmore의 체험(4Es)요인을 중심으로" 한국서비스경영학회 13 (13): 57-81, 2012

      9 박양춘, "테마파크 에버랜드의 수명주기 특성" 한국지역지리학회 8 (8): 20-39, 2002

      10 이규식, "창의산업으로서의 테마파크" 한국프랑스문화학회 (23) : 111-155, 2011

      1 박지선, "프랑스 테마파크 콘텐츠 현황과 기획의 스토리텔링 체계" 한국프랑스학회 59 : 245-266, 2007

      2 김창수, "테마파크의 이해" 대왕사 2007

      3 허태학, "테마파크의 시나리오 구상" 제주대학교 관광과경영경제연구소 (11) : 1997

      4 최정수, "테마파크의 수명주기와 혁신체제 : 에버랜드를 사례로" 경북대학교 대학원 2001

      5 양승훈, "테마파크의 쇼 이벤트의 스토리텔링 분석: 에버랜드의 야간 멀티미디어 쇼의 내러티브를 중심으로" 한국호텔관광학회 11 (11): 32-46, 2009

      6 이토마사미, "테마파크의 비밀" 일신사 1997

      7 하동현, "테마파크에서의 체험요소에 관한 연구 - Pine과 Gilmore의 체험경제이론(Experience Economy)을 중심으로 -" 한국사진지리학회 19 (19): 37-47, 2009

      8 이태희, "테마파크에서의 고객 체험이 신규 콘텐츠 개발에 대한 지속적인 지지의사에 미치는 영향 : Pine과 Gilmore의 체험(4Es)요인을 중심으로" 한국서비스경영학회 13 (13): 57-81, 2012

      9 박양춘, "테마파크 에버랜드의 수명주기 특성" 한국지역지리학회 8 (8): 20-39, 2002

      10 이규식, "창의산업으로서의 테마파크" 한국프랑스문화학회 (23) : 111-155, 2011

      11 增田春雄, "전 도쿄 디즈니 설계 운영"

      12 김희진, "일본 테마파크의 사례와 전략" 커뮤니케이션북스 2008

      13 정재선, "우리나라 테마파크의 개황 및 발전방향" 한국경제지리학회 (1) : 1995

      14 신동희, "영상콘텐츠에서 테마공간으로의 전환 양상:각색을 통한 재현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12 (12): 186-197, 2012

      15 유희중, "스토리텔링에 기반한 테마파크 조성 연구 : 한국영화콘텐츠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정책과학대학원 2010

      16 이상원, "서사구조특성에 근거한 테마파크 디자인에 관한 연구 : 테마파크의 서사 유형분류와 서사 체험구조 파악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기술원 2001

      17 김치호(Kenneth Chi Ho Kim), "상하이디즈니랜드의 현지화 전략" 인문콘텐츠학회 (44) : 309-329, 2017

      18 엄서호, "레저 산업론" 학현사 2002

      19 조준희, "국내 테마파크 콘텐츠 연출방법 연구 - 해외 테마파크 최신 콘텐츠 분석을 중심으로 -" 글로벌 문화콘텐츠학회 (21) : 259-279, 2015

      20 이승진, "국내 테마파크 산업의 활성화를 위한 애니메이션 산업의 연계모델 연구"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7) : 2003

      21 김경철, "공연을 통한 테마파크 관객개발 연구 : 에버랜드, 경주문화엑스포공원, 퓌뒤푸(Puy du Fou) 사례를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13

      22 ファン=ヘネップ, "通過 儀礼" 平凡社 1976

      23 加賀見俊夫, "海を超える想像力―東京ディズニーリゾート誕生物語" 講談社 2003

      24 中西純夫, "東京ディズニーランドにおけるディズニー文化の受容" (22) : 2011

      25 アドルノ ホルクハイマー, "啓蒙の弁証法" 岩波書店 1990

      26 "ブレーソ 12月号"

      27 有馬哲, "ディズニーとは何か" NTT出版 2001

      28 "www.everland.com"

      29 "https://disneyworld.com"

      30 "http://www.newspim.com/news/view/20171110000020"

      31 Fjellman, Stephen M, "Vinyl leaves : Walt Disney World and America" West view Press 1992

      32 Ady Milman, "Theme Parks and Attractions, VNR’s Encyclopedia of Hospitality and Tourism" Van Nostand Reinhold Book 1993

      33 Raz, Aviad, E., "Riding the Black Ship Japan and Tokyo Disneyland" Harvard University Asia Center 1999

      34 Mcfniff.J, "Leisure Industries. EIU Travel & Tourism Analyst" EIU 1993

      35 국제무역산업박람회 조직위원회, "EXPO 93사후활용계획" 1990

      36 TEA(Themed Entertainment Association), "2016 TEA/AECOM 2016 Theme Index & Museum Index: The Global Attractions Attendance Report" 201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7-21 학회명변경 한글명 : 사단법인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4 0.64 0.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7 0.66 0.988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