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원저 : 소아의 비만도와 체력 및 사회성에 관한 분석 = The Effect of Obesity on the Physical Strength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557758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배경: 소아 비만은 체력의 저하 및 우울과 같은 심리적인 문제를 야기하게 된다. 소아비만의 예방 및 관리를 위한 여러 가지 프로그램들 중, 단기간의 건강교실 형태의 프로그램이 주로 실시되고 있으나, 실질적인 효과는 크지 않아 소아 비만에 적합한 프로그램의 개발이 학교 보건 교육 영역에서는 절실히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스포츠 활동이 포함된 비만 캠프에 참여한 아동을 대상으로 비만도에 따른 체력과 사회성의 차이 및 그 특성을 분석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해양스포츠 활동이 포함된 비만 캠프에 참가한 초등학교 4,5,6학년 140명을 대상으로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자들의 체질량지수를 측정해서 체질량지수 백분위곡선에 적용하여 84백분위수 이하면 정상 체중군, 85~94백분위수에 해당하면 과체중군, 95백분위수 이상이면 비만군으로 분류하였다. 대상자의 체력은 근력, 평형성, 유연성, 근지구력, 민첩성에 대해 측정되었으며, 사회성은 사회적인 면을 측정하는 8문항을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결과: 근력은 남아 (P < 0.01)와 여아 (P < 0.001) 모두 비만군이 정상군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민첩성은 남아와 여아 모두에서 비만군이 과체중군이나 정상군에 비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형성과 근지구력은 남아와 여아 모두에서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유연성은 남아에서는 비만군이 정상군 (P < 0.01) 및 과체중군 (P < 0.05)에 비해 더 높게 나타났다. 사회성 관련 8개 문항을 모두 분석한 결과 남아와 여아 모두에서 비만도에 따라 차이가 없었다. 결론: 남아와 여아 모두에서 비만 군이 과체중군이나 정상군에 비해 민첩성이 현저히 떨어져 있으며, 평형성과 근지구력 같은 일부 체력은 비만도에 따라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향후 스포츠 활동이 포함된 비만캠프를 구성할 때 비만도에 따른 체력의 특성이 반영된 프로그램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소아 비만 환자에서 다양한 신체 활동을 통해 체력과 사회성이 함양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번역하기

      연구배경: 소아 비만은 체력의 저하 및 우울과 같은 심리적인 문제를 야기하게 된다. 소아비만의 예방 및 관리를 위한 여러 가지 프로그램들 중, 단기간의 건강교실 형태의 프로그램이 주로 ...

      연구배경: 소아 비만은 체력의 저하 및 우울과 같은 심리적인 문제를 야기하게 된다. 소아비만의 예방 및 관리를 위한 여러 가지 프로그램들 중, 단기간의 건강교실 형태의 프로그램이 주로 실시되고 있으나, 실질적인 효과는 크지 않아 소아 비만에 적합한 프로그램의 개발이 학교 보건 교육 영역에서는 절실히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스포츠 활동이 포함된 비만 캠프에 참여한 아동을 대상으로 비만도에 따른 체력과 사회성의 차이 및 그 특성을 분석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해양스포츠 활동이 포함된 비만 캠프에 참가한 초등학교 4,5,6학년 140명을 대상으로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자들의 체질량지수를 측정해서 체질량지수 백분위곡선에 적용하여 84백분위수 이하면 정상 체중군, 85~94백분위수에 해당하면 과체중군, 95백분위수 이상이면 비만군으로 분류하였다. 대상자의 체력은 근력, 평형성, 유연성, 근지구력, 민첩성에 대해 측정되었으며, 사회성은 사회적인 면을 측정하는 8문항을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결과: 근력은 남아 (P < 0.01)와 여아 (P < 0.001) 모두 비만군이 정상군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민첩성은 남아와 여아 모두에서 비만군이 과체중군이나 정상군에 비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형성과 근지구력은 남아와 여아 모두에서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유연성은 남아에서는 비만군이 정상군 (P < 0.01) 및 과체중군 (P < 0.05)에 비해 더 높게 나타났다. 사회성 관련 8개 문항을 모두 분석한 결과 남아와 여아 모두에서 비만도에 따라 차이가 없었다. 결론: 남아와 여아 모두에서 비만 군이 과체중군이나 정상군에 비해 민첩성이 현저히 떨어져 있으며, 평형성과 근지구력 같은 일부 체력은 비만도에 따라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향후 스포츠 활동이 포함된 비만캠프를 구성할 때 비만도에 따른 체력의 특성이 반영된 프로그램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소아 비만 환자에서 다양한 신체 활동을 통해 체력과 사회성이 함양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ackground: Childhood obesity causes psychological problems and decreases physical strength.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hildhood obesity on physical strength and social skills. Methods: In this study 140 elementary students from 4th to 6th grades were recruited from Busan. These students joined a 3-day sports program. The students` body mass index were measured and they were categorized into three different weight groups (normal, overweight, obese) according to the age and sex-specific BMI percentile established by the Korean Academy of Pediatrics. Physical strength such as muscle strength, balance, flexibility, muscle endurance, agility and social skills were examined. Results: Greater muscle strength was noted in the obese group compared to the normal weight group. The normal weight group had better agility level than the overweight or the obese group. Balance and muscle endurance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hree groups. In boys, flexibility was greater among the obese group than the normal or overweight group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ocial skills was observed between the groups. Conclusions: The characteristics of physical strength were different according to BMI. When planning future weight loss programs for children, different aspects of physical strength according to BMI levels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to better enhance their health and social skills.
      번역하기

      Background: Childhood obesity causes psychological problems and decreases physical strength.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hildhood obesity on physical strength and social skills. Methods: In this study 140 elementary students ...

      Background: Childhood obesity causes psychological problems and decreases physical strength.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hildhood obesity on physical strength and social skills. Methods: In this study 140 elementary students from 4th to 6th grades were recruited from Busan. These students joined a 3-day sports program. The students` body mass index were measured and they were categorized into three different weight groups (normal, overweight, obese) according to the age and sex-specific BMI percentile established by the Korean Academy of Pediatrics. Physical strength such as muscle strength, balance, flexibility, muscle endurance, agility and social skills were examined. Results: Greater muscle strength was noted in the obese group compared to the normal weight group. The normal weight group had better agility level than the overweight or the obese group. Balance and muscle endurance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hree groups. In boys, flexibility was greater among the obese group than the normal or overweight group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ocial skills was observed between the groups. Conclusions: The characteristics of physical strength were different according to BMI. When planning future weight loss programs for children, different aspects of physical strength according to BMI levels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to better enhance their health and social skills.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