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현대사에서 4.3이나 5.18을 기억하고 재현하는 행위는 국면에 따라 큰 차이를 보여 왔지만, 점차 비합법적 영역으로부터 합법적 영역으로 전환되고 있다. 세계적으로 볼 때, 한국의 민...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722210
2004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한국의 현대사에서 4.3이나 5.18을 기억하고 재현하는 행위는 국면에 따라 큰 차이를 보여 왔지만, 점차 비합법적 영역으로부터 합법적 영역으로 전환되고 있다. 세계적으로 볼 때, 한국의 민...
한국의 현대사에서 4.3이나 5.18을 기억하고 재현하는 행위는 국면에 따라 큰 차이를 보여 왔지만, 점차 비합법적 영역으로부터 합법적 영역으로 전환되고 있다. 세계적으로 볼 때, 한국의 민주화 경험은 매우 독특하고 역동적인 것이었다. 4ㆍ3이나 5ㆍ18 모두 비교적 강력한 문화운동 집단들이 존재했고, 이들에 의해 많은 텍스트들이 생산되고 보급되었는데, 이것들은 검열의 시선을 의식하면서도 진상규명을 치열하게 지향하면서 생산되었다는 공통성을 갖는다. 또한 특정 장르에서 생산된 텍스트가 해당 장르를 넘어서서 새롭게 재생산되는 현상도 존재했다. 이들은 크게 문학, 연극, 음악, 미술, 영상 다큐멘터리 등의 장르를 포함한다. 이러한 변동을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역사적 시기구분의 기준을 마련하고 각각의 시기별로 문화적 재현물들이 어떤 예술적, 사회적 성격을 갖는가, 그리고 그러한 작품은 어떤 정치사회적 효과를 수반하였는가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 시기구분의 기준은 정치사회적 지형이나 재현물의 내재적 성격이 될 것이다. (서론에서 발췌)
국문 초록 (Abstract)
총서사항 : 역사적 기억과 문화적 재현; 1 단행본 정보원 알 수 없음 국립중앙도서관 검색.
총서사항 : 역사적 기억과 문화적 재현; 1
단행본 정보원 알 수 없음
국립중앙도서관 검색.
국문 초록 (Abstract)
책머리에 서장: 문화운동연구를 위하여 1부 4.3 문화운동 기억투쟁으로서의 4.3 문화운동 서설 기억투쟁과 4.3 위령의례 4.3의 대항기억과 영상 4.3극과 역사적 기억 미...
책머리에
서장: 문화운동연구를 위하여
1부 4.3 문화운동
기억투쟁으로서의 4.3 문화운동 서설
기억투쟁과 4.3 위령의례
4.3의 대항기억과 영상
4.3극과 역사적 기억
미술이 만난 역사 - 제주4.3 미술운동의 역사와 현재
4.3문학의 전개와 그 의미
2부 5월문화운동
항쟁의 기억과 영상적 재현 - 5.18 다큐멘터리의 전개과정
기억과 재현의 영상이미지 - 5.18 영화를 중심으로
5월연극운동의 변화양상과 그 특징
5.18과 음악운동
5.18의 음악적 형상화와 표현양식
5월의 기억과 미술
5월항쟁의 문화적 재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