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삼국시대 한반도 중부지역의 단야기술을 파악하기 위하여 먼저 정련단야공정 및 단련단야공정에 대한 개념 및 기술적 부분을 명확히 한 다음, 각 공정에서 형성되는 원료・부산물・생산...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1390693
2015
-
900
KCI등재
학술저널
43-72(30쪽)
7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원삼국시대 한반도 중부지역의 단야기술을 파악하기 위하여 먼저 정련단야공정 및 단련단야공정에 대한 개념 및 기술적 부분을 명확히 한 다음, 각 공정에서 형성되는 원료・부산물・생산...
원삼국시대 한반도 중부지역의 단야기술을 파악하기 위하여 먼저 정련단야공정 및 단련단야공정에 대한 개념 및 기술적 부분을 명확히 한 다음, 각 공정에서 형성되는 원료・부산물・생산품 등을 구분하였다. 이것을 바탕으로 지금까지 확인된 제철유구 및 유물에 대해 재검토하여 각각의 성격을 밝힘으로써 제철공정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유물의 금속학적 분석결과를 검토하여 철기제작기술의 특징을 파악하였고, 특히 가평 대성리유적에서 상정한 2가지 철기제작기술에 대해 비판적으로 검토해 보았다. 이것을 통해 철원료를 입수하여 정련단야하여 철소재를 생산한 다음, 단련단야하여 철기를 제작하는 제철기술이 폭넓게 이용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단야로, 제철공정의 유형, 철기생산 단계, 출토 유물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였을 때, 중부지역의 원삼국시대 중도유형문화권 내 제철기술의 제일성을 확인하였다. 단야기술의 발전은 Ⅰ, Ⅱ, Ⅲ단계로 구분되며, 원삼국 Ⅱ기인 Ⅱ단계에 정련단야기술이 등장하여 대형의 철기를 제작할 수 있는 기술적 기반이 마련되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iron manufacturing techniques in the refining and hammering processes in order to understand the iron manufacture culture in the central Korean peninsula in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 Then, the ironware and remains were r...
This study examined the iron manufacturing techniques in the refining and hammering processes in order to understand the iron manufacture culture in the central Korean peninsula in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 Then, the ironware and remains were reexamined to review the iron manufacture process. Also, the metallurgical analysis results on remains were reviewed to re-confirm the ironware manufacturing technique. This study also critically reviewed two iron manufacture techniques suggested from Daeseong-ri remains in Gapyeong and pointed out that such iron manufacture techniques require reexamination. This examination and analyses showed that retining techniques to extract iron from raw materials and hammering techniques to produce ironware were widely used. Furthermore, the comprehensive examination furnaces, type of iron manufacturing process, ironware production stages, and excavated remains showed the following conclusius. The iron manufactuve techiques of Jung-do Tangible Culture Zone quite advanced and divided into Phases Ⅰ·Ⅱ and Ⅲ. On the second stage, refining and hammering techniques have com out and technical basis to produce large size ironware have formed.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신경환, "龍仁 彦南里-統一新羅 生活遺蹟-" 한신대학교박물관 2007
2 金武重, "嶺東地域 鐵器生産, In 강릉 안인리유적을 통해 본 강원 영동지역 철기시대 문화양상" 강릉원주대학교박물관・강원곡문화연구원 2012
3 신경환, "화성 기안리 제철유적 출토 제철관련 유물의 금속학적 분석 및 고찰, In 원삼국시대 한반도 철기문화의 제양상" 국립중앙박물관·한국철문화연구회 2012
4 이남규, "한반도 고대국가 형성기의 제철문화, In 한국 철문화연구의 최신 성과" 한국철문화연구회 2010
5 한국문화재조사연구기관협회, "한국의 제철유적"
6 김권일, "한국의 제철유적" 한국문화재조사연구기관협회 2012
7 이남규, "한국매장문화재 조사연구방법론 4" 국립문화재연구소 2008
8 신경환, "한국고대 製銕기술"
9 김권일, "제철유적 조사연구법 시론" 국립문화재연구소 43 (43): 144-179, 2010
10 송윤정, "원삼국시대 한반도 철기문화의제 양상" 국립중앙박물관・한국철문화연구회 2012
1 신경환, "龍仁 彦南里-統一新羅 生活遺蹟-" 한신대학교박물관 2007
2 金武重, "嶺東地域 鐵器生産, In 강릉 안인리유적을 통해 본 강원 영동지역 철기시대 문화양상" 강릉원주대학교박물관・강원곡문화연구원 2012
3 신경환, "화성 기안리 제철유적 출토 제철관련 유물의 금속학적 분석 및 고찰, In 원삼국시대 한반도 철기문화의 제양상" 국립중앙박물관·한국철문화연구회 2012
4 이남규, "한반도 고대국가 형성기의 제철문화, In 한국 철문화연구의 최신 성과" 한국철문화연구회 2010
5 한국문화재조사연구기관협회, "한국의 제철유적"
6 김권일, "한국의 제철유적" 한국문화재조사연구기관협회 2012
7 이남규, "한국매장문화재 조사연구방법론 4" 국립문화재연구소 2008
8 신경환, "한국고대 製銕기술"
9 김권일, "제철유적 조사연구법 시론" 국립문화재연구소 43 (43): 144-179, 2010
10 송윤정, "원삼국시대 한반도 철기문화의제 양상" 국립중앙박물관・한국철문화연구회 2012
11 최영민, "원삼국시대 한반도 중부지역 철기문화의 변천" 중부고고학회 9 (9): 77-114, 2010
12 김기룡, "연천 삼곶리 철기생산 관련 유구와 유물, In 고대 철 및 철기의 생산과 유통" 2011
13 조대연, "백제의 제철기술 관련 요업자료의 분석, In 백제 철문화의 전개양상과 제철기술" 한성백제박물관·한국철문화연구회 2013
14 신경환, "밀양 임천리 금곡제철유적" 삼강문화재연구원 2014
15 신경환, "동해 송정동 유적Ⅲ" 예맥문화재연구원 2010
16 신경환, "동대문 운동장 유적 Ⅲ" 중원문화재연구원 2011
17 중원문화재연구원, "동대문 운동장 유적"
18 김권일, "남한지역 고대 제철로에 대한 일연구" 한신대학교 대학원 2003
19 김일규, "고대의 제강에 대하여-황성동 유적을 중심으로" 철문화연구회 2007
20 박장식, "경주 황성동 537-2 임대아파트 신축부지 출토 철기제작 관련 유물에 대한 금속학적 분석, In 경주시 황성동 537-2 임대아파트 신축부지 발굴조사 보고서" 韓國文化財保護財團 2001
21 이상길, "강원지역 원삼국시대 철기 생산유적 조사 현황" 한국철문화연구회 2009
22 양석우, "가평 대성리유적 Ⅱ" 겨레문화유산연구원 2011
23 李昌熙, "韓半島における初期鐵器の年代と特質, In 農耕社會の成立と展開" 國立歷史民俗博物館 2014
24 손명조, "韓半島 中・南部地域 古代鐵器生産技術과 發展過程의 硏究를 위한 試論-鐵器生産遺蹟을 中心으로-" 東義大學校 1996
25 울산문화재연구원, "蔚山川上里平川遺蹟"
26 김성남, "百濟 漢城時代 南方領域의 擴大過程과 支配形態 試論" 백제연구소 (44) : 35-84, 2006
27 신경환, "烏山 水淸洞 百濟 墳墓群 Ⅴ" 경기문화재연구원 2012
28 강릉원주대학교박물관, "東海 松亭洞遺蹟-동해 송정동 중심도로 건설지역 문화유적 발굴조사 보고서-" 2012
29 신경환, "東海 松亭洞遺蹟" 江陵原州大學校博物館 2012
30 예맥문화재연구원, "東海 望祥洞遺蹟Ⅱ"
31 安間拓巳, "日本古代鐵器生産の考古學的硏究" 溪水社 2007
32 손명조, "古代鍛冶遺蹟의 諸樣相:최근 발굴성과를 중심으로" 12 : 2006
33 村上恭通, "古代國家成立科程と鐵器生産" 靑木書店 2007
34 김새봄, "原三國後期 嶺南地域과 京畿·忠淸地域 鐵矛의 交流樣相" 한국고고학회 (81) : 77-108, 2011
35 金武重, "原三國-百濟漢城期 鐵器 및 鐵 生産聚落의 動向" 韓日聚落硏究會 2011
36 최영민, "加平 大成里유적 출토 철제 착・추의 옥제작 관련성 검토" 한국문물연구원 (3) : 2013
37 大澤正己, "加平 大成里遺蹟" 京畿文化財硏究院 2009
38 國立歷史民俗博物館, "付論 本硏究關係用解說" 國立歷史民俗博物館 1994
39 韓永熙, "中島" 國立中央博物館 1982
40 楊寬, "中國古代冶鐵技術發展史" 대한교과서주식회사 1992
41 김상민, "3~6世紀 湖南地域의 鐵器生産과 流通에 대한 試論 - 榮山江流域 資料를 中心으로 -" 호남고고학회 37 : 61-98, 2011
중서부지역 청동기시대 전기 이중구연토기의 공간적 분포양상
중부지방 백제 한성기 축조·신라 재사용 석실분과 고구려·신라 연속조영 고분군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20-07-29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archaeology -> Archaeology: Journal of the Jungbu Archaeological Society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0-04-23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서울경기고고학회 -> 중부고고학회영문명 : Seoul Kyonggi Archaeology Society -> The Jungbu Archaeological Society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04 | 1.04 | 0.9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98 | 0.95 | 2.135 | 0.4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