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남영옥, "협동학습과 협력학습에서 팀 구성원의 특성, 팀 멘탈 모델, 팀 효과성 관계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6 (16): 517-541, 2016
2 한신일, "한국대학의 강의평가실태 분석" 한국교육행정학회 23 (23): 379-404, 2005
3 김필성, "한국대학에서의 강의평가의 활용 양상: ACE 사업 참여 대학을 중심으로"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9 (9): 29-40, 2019
4 최문기, "학생들이 인식하는 좋은 전공수업과 교양수업의 비교" 한국교양교육학회 10 (10): 325-348, 2016
5 최원형, "학생 ‘3분의 1 이상’-당정 ‘10%’…대학등록금 반환 규모도 논란 예고"
6 김성숙, "학기중 적용을 위한 강의진단 평가도구 개발과 타당성 분석" 한국교육평가학회 21 (21): 55-78, 2008
7 김성수, "플립러닝을 활용한 한국어 수업 운영에 관한 연구" 교육연구소 23 (23): 529-550, 2017
8 서병조, "토픽 모델링을 활용한 한국의 플랫폼정부 연구동향 분석"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24 (24): 3-26, 2017
9 김성진, "토론 중심 교양수업을 위한 창의적 교수법" 한국사고와표현학회 7 (7): 7-60, 2014
10 공준형, "치의학 교육의 새로운 트렌드 : 구글 클래스룸을 이용한 플립드 러닝(Flipped learning)의 적용 및 평가"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17 (17): 317-327, 2016
1 남영옥, "협동학습과 협력학습에서 팀 구성원의 특성, 팀 멘탈 모델, 팀 효과성 관계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6 (16): 517-541, 2016
2 한신일, "한국대학의 강의평가실태 분석" 한국교육행정학회 23 (23): 379-404, 2005
3 김필성, "한국대학에서의 강의평가의 활용 양상: ACE 사업 참여 대학을 중심으로"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9 (9): 29-40, 2019
4 최문기, "학생들이 인식하는 좋은 전공수업과 교양수업의 비교" 한국교양교육학회 10 (10): 325-348, 2016
5 최원형, "학생 ‘3분의 1 이상’-당정 ‘10%’…대학등록금 반환 규모도 논란 예고"
6 김성숙, "학기중 적용을 위한 강의진단 평가도구 개발과 타당성 분석" 한국교육평가학회 21 (21): 55-78, 2008
7 김성수, "플립러닝을 활용한 한국어 수업 운영에 관한 연구" 교육연구소 23 (23): 529-550, 2017
8 서병조, "토픽 모델링을 활용한 한국의 플랫폼정부 연구동향 분석"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24 (24): 3-26, 2017
9 김성진, "토론 중심 교양수업을 위한 창의적 교수법" 한국사고와표현학회 7 (7): 7-60, 2014
10 공준형, "치의학 교육의 새로운 트렌드 : 구글 클래스룸을 이용한 플립드 러닝(Flipped learning)의 적용 및 평가"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17 (17): 317-327, 2016
11 고은미, "전문대학 수업유형별 강의평가도구 개발 연구" 인문과학연구소 31 : 365-394, 2013
12 윤회정, "전공교과와 교양교과에서의 핵심역량에 대한 대학생들의 교육요구도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5 (15): 567-584, 2015
13 김학일, "이공계 강의평가 결과의 실증적 분석을 통한 강의평가제도 개선방안" 한국공학교육학회 10 (10): 58-77, 2007
14 이은철, "온라인 학습 환경에서 고성취 집단의 학습과정에서 나타난 상호작용 분석" 한국교육공학회 31 (31): 159-190, 2015
15 김성빈, "온라인 고등․평생교육 학습자의 학습참여 동기와 학습 만족도 관계에서 지각된 유용성, 자기조절학습 능력의 조절효과 검증" 원격교육연구소 13 (13): 85-107, 2017
16 최지윤, "온라인 강의 정보 탐색 및 수강신청 행동 분석과 개선안: 서울대학교 수강신청시스템을 중심으로" 733-736, 2010
17 김진영, "역전학습기반 커뮤니케이션 강좌의 적용과 학생들의 인식에 관한 연구 - 과학기술특성화 대학의 인문사회분야 교양 교과목을 중심으로" 교육연구소 21 (21): 5-38, 2015
18 김성봉, "액션러닝기반 교양수업 만족도 요인분석" 한국교양교육학회 7 (7): 273-299, 2013
19 길양숙, "수업평가 결과와 쟁점" 한국교육학회 41 (41): 303-323, 2003
20 곽기영, "소셜네트워크분석" 청람 2014
21 김용학, "사회 연결망 분석 제3판" 박영사 2011
22 주영주, "사이버대학에서 교수실재감, 인지적 실재감, 사회적 실재감과 학습성과와의 구조적 관계 규명" 한국정보교육학회 14 (14): 175-187, 2010
23 장은정, "사이버대학 질 관리 준거 개발 연구" 한국교육공학회 28 (28): 103-136, 2012
24 이영희, "미래교육 관련 연구 메타분석을 통한 미래교육의 방향" 교육연구소 24 (24): 127-153, 2018
25 유현숙, "대학의 교수‧학습 질 제고 전략 탐색 연구(Ⅲ): 대학 유형별 교수ㆍ학습 역량 평가(체제) 다양화-4년제, 전문대학" 한국교육개발원 2015
26 송해덕, "대학수업 혁신을 위한 몰입(engagement)형 플립드 러닝 모델 개발" 99-104, 2019
27 남창우, "대학교육 지원을 위한 오픈소스 LMS 기능지표 개발" 원격교육연구소 16 (16): 137-164, 2020
28 김정겸, "대학강의 평가도구 개발" 한국산학기술학회 18 (18): 187-196, 2017
29 이종연, "대학 이러닝 강좌의 학습만족도 및 성취도 증진을 위한 컨텐츠 전달전략의 선택방안 - 학습자의 사전지식과 자기주도성을 중심으로 -" 한국교육공학회 20 (20): 185-214, 2004
30 신종호, "대학 수업 지원을 위한 학습분석 기반 교수자 대시보드 개발"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4 (24): 489-515, 2018
31 김은혜, "대학 교양체육 수업 문화와 교육적 가능성 탐색: K대학교 수업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체육학회 55 (55): 263-278, 2016
32 지은림, "대학 교수자를 위한 강의자가진단도구 개발의타당화 및 관련변인 분석" 한국교육평가학회 19 (19): 51-72, 2006
33 남민우, "대학 강의평가에서 수강인원에 따른 차이 검증 및 가중치 적용 방안 연구" 교육공학연구소 8 (8): 153-168, 2014
34 조수선, "대학 강의평가 영향력 요인 중 학생 특성의 효과에 대한 사례 연구" 한국공학교육학회 19 (19): 38-43, 2016
35 김경언, "대학 강의평가 도구 개선 및 타당화 연구: K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교육문제연구소 36 (36): 1-26, 2018
36 이수상, "네트워크 분석 방법론" 논형 2012
37 기영화, "글로벌 MOOC의 학습형태와 한국형온라인공개강좌(K-MOOC) 학습경험분석" 교육연구소 24 (24): 65-86, 2018
38 이효진, "교양과목과 전공과목에 따른 대학생의 수강신청 기준에 관한 연구" 안암교육학회 23 (23): 79-99, 2017
39 박완성, "교양 학과목 교수방법과 강의평가에 대한 연구" 한국교양교육학회 4 (4): 29-44, 2010
40 육진경, "교수자의 강의개선 노력과 교육효과성 관련 변인간의 관계분석" 한국사회적질학회 1 (1): 35-53, 2017
41 민혜리, "공과대학 학생들의 수업에 대한 요구와 만족도에 근거한 공과대학 수업개선 방안 탐색" 한국공학교육학회 12 (12): 38-45, 2009
42 김미영, "공과대학 수업에서 혼합학습(Blended Learning)설계 및 운영 사례 연구-C 대학교 강좌 운영을 중심으로" 9 (9): 37-48, 2006
43 김명화, "강의평가의 타당도와 신뢰도" 교육연구소 6 (6): 1-24, 2005
44 윤유진, "강의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연구- 교양교과목을 중심으로" 한국교양교육학회 12 (12): 185-210, 2018
45 양길석, "가중치를 적용한 강의평가 결과 분석" 한국교육방법학회 24 (24): 589-616, 2012
46 오피니언, "[이슈토론] 대학 등록금 반환"
47 Hobsoan, S. M., "Understanding student evaluation: What all faculty should know" 49 (49): 26-31, 2010
48 Moore, M. G., "The Effects of Distance Learning" The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American Center for the Study of Distance Education 1997
49 Kulik, J. A., "Student Ratings: Validity, Utility, and Controversy" 109 : 9-25, 2001
50 Marsh, H. W., "Multidimensional Students' evaluations of teaching effectiveness: A test of alternative higher-order structures" 83 : 285-296, 1991
51 IDEA, "Instructional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assessment student ratings of instruction" IDEA
52 Berry, M. J. A., "Data Mining Techniques: For Marketing, Sales, and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Wiley 2004
53 국가지정 의과학 연구정보센터, "COVID-19로 인한 대학․대학원 비대면수업 교수 학생 의견 조사(2020.04.22.)" 2020
54 윤대균, "COVID-19 확산에 따른 비대면 원격수업에 대한 단상"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26-30, 2020
55 김옥분, "AI 쳇봇을 활용한 플립러닝 기반의 대학교육의 변화" 한국정보통신학회 22 (22): 1618-1624, 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