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포스트 코로나 시대 대학 수업의 방향성 탐색: 중간강의 평가 데이터 마이닝과 의미연결망 분석 결과를 중심으로 = Exploring the Direction of University Lectures in the Post-Corona Era : Focused on Analysis of Mid-semester Lecture Evaluation Data Mining and Semantic-network Analysi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12175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online classes students experienced in the full online class situation caused by COVID-19 and the needs of the students, and to present the direction of the future university classes. To this end, 6,455 responses of the students from 2,420 classes participating in the 2020 mid-semester lecture evaluation at University A in Incheon were collected, and text mining was conducted by classifying the collected data into liberal arts and major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overall network analysis showed the word with the highest rank in the liberal arts classes was ‘thinking’, and ‘many’, ‘homework’, ‘progress’, and ‘content’ showed relatively high ranks. On the other hand, in the major classes, ‘difficult’ and ‘progress’ showed the highest rank, and ‘time’, ‘content’, ‘listen’, and ‘watch’ showed relatively high ranks. Second, as a result of the group analysis, 3 liberal arts classes and 2 major classes were extracted. Third, an analysis of the ego network for each area of liberal arts and majors was conducted focusing on the instructional media (YouTube, Zoom, and PowerPoint) and interaction (communication) closely related with the online classroom environment.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confirmed that liberal arts classes and major classes respectively need an appropriate instructional design that suits the purpose of lecture and the needs of the students. In addition, the non-real-time lecture method needs to be selectively used depending on the purpose of lecture, the type of learning activity, and the learning ability of the students. Finally, various instructional media for content delivery need to be used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tent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online classes students experienced in the full online class situation caused by COVID-19 and the needs of the students, and to present the direction of the future university classes. To 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online classes students experienced in the full online class situation caused by COVID-19 and the needs of the students, and to present the direction of the future university classes. To this end, 6,455 responses of the students from 2,420 classes participating in the 2020 mid-semester lecture evaluation at University A in Incheon were collected, and text mining was conducted by classifying the collected data into liberal arts and major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overall network analysis showed the word with the highest rank in the liberal arts classes was ‘thinking’, and ‘many’, ‘homework’, ‘progress’, and ‘content’ showed relatively high ranks. On the other hand, in the major classes, ‘difficult’ and ‘progress’ showed the highest rank, and ‘time’, ‘content’, ‘listen’, and ‘watch’ showed relatively high ranks. Second, as a result of the group analysis, 3 liberal arts classes and 2 major classes were extracted. Third, an analysis of the ego network for each area of liberal arts and majors was conducted focusing on the instructional media (YouTube, Zoom, and PowerPoint) and interaction (communication) closely related with the online classroom environment.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confirmed that liberal arts classes and major classes respectively need an appropriate instructional design that suits the purpose of lecture and the needs of the students. In addition, the non-real-time lecture method needs to be selectively used depending on the purpose of lecture, the type of learning activity, and the learning ability of the students. Finally, various instructional media for content delivery need to be used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tent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남영옥, "협동학습과 협력학습에서 팀 구성원의 특성, 팀 멘탈 모델, 팀 효과성 관계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6 (16): 517-541, 2016

      2 한신일, "한국대학의 강의평가실태 분석" 한국교육행정학회 23 (23): 379-404, 2005

      3 김필성, "한국대학에서의 강의평가의 활용 양상: ACE 사업 참여 대학을 중심으로"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9 (9): 29-40, 2019

      4 최문기, "학생들이 인식하는 좋은 전공수업과 교양수업의 비교" 한국교양교육학회 10 (10): 325-348, 2016

      5 최원형, "학생 ‘3분의 1 이상’-당정 ‘10%’…대학등록금 반환 규모도 논란 예고"

      6 김성숙, "학기중 적용을 위한 강의진단 평가도구 개발과 타당성 분석" 한국교육평가학회 21 (21): 55-78, 2008

      7 김성수, "플립러닝을 활용한 한국어 수업 운영에 관한 연구" 교육연구소 23 (23): 529-550, 2017

      8 서병조, "토픽 모델링을 활용한 한국의 플랫폼정부 연구동향 분석"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24 (24): 3-26, 2017

      9 김성진, "토론 중심 교양수업을 위한 창의적 교수법" 한국사고와표현학회 7 (7): 7-60, 2014

      10 공준형, "치의학 교육의 새로운 트렌드 : 구글 클래스룸을 이용한 플립드 러닝(Flipped learning)의 적용 및 평가"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17 (17): 317-327, 2016

      1 남영옥, "협동학습과 협력학습에서 팀 구성원의 특성, 팀 멘탈 모델, 팀 효과성 관계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6 (16): 517-541, 2016

      2 한신일, "한국대학의 강의평가실태 분석" 한국교육행정학회 23 (23): 379-404, 2005

      3 김필성, "한국대학에서의 강의평가의 활용 양상: ACE 사업 참여 대학을 중심으로"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9 (9): 29-40, 2019

      4 최문기, "학생들이 인식하는 좋은 전공수업과 교양수업의 비교" 한국교양교육학회 10 (10): 325-348, 2016

      5 최원형, "학생 ‘3분의 1 이상’-당정 ‘10%’…대학등록금 반환 규모도 논란 예고"

      6 김성숙, "학기중 적용을 위한 강의진단 평가도구 개발과 타당성 분석" 한국교육평가학회 21 (21): 55-78, 2008

      7 김성수, "플립러닝을 활용한 한국어 수업 운영에 관한 연구" 교육연구소 23 (23): 529-550, 2017

      8 서병조, "토픽 모델링을 활용한 한국의 플랫폼정부 연구동향 분석"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24 (24): 3-26, 2017

      9 김성진, "토론 중심 교양수업을 위한 창의적 교수법" 한국사고와표현학회 7 (7): 7-60, 2014

      10 공준형, "치의학 교육의 새로운 트렌드 : 구글 클래스룸을 이용한 플립드 러닝(Flipped learning)의 적용 및 평가"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17 (17): 317-327, 2016

      11 고은미, "전문대학 수업유형별 강의평가도구 개발 연구" 인문과학연구소 31 : 365-394, 2013

      12 윤회정, "전공교과와 교양교과에서의 핵심역량에 대한 대학생들의 교육요구도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5 (15): 567-584, 2015

      13 김학일, "이공계 강의평가 결과의 실증적 분석을 통한 강의평가제도 개선방안" 한국공학교육학회 10 (10): 58-77, 2007

      14 이은철, "온라인 학습 환경에서 고성취 집단의 학습과정에서 나타난 상호작용 분석" 한국교육공학회 31 (31): 159-190, 2015

      15 김성빈, "온라인 고등․평생교육 학습자의 학습참여 동기와 학습 만족도 관계에서 지각된 유용성, 자기조절학습 능력의 조절효과 검증" 원격교육연구소 13 (13): 85-107, 2017

      16 최지윤, "온라인 강의 정보 탐색 및 수강신청 행동 분석과 개선안: 서울대학교 수강신청시스템을 중심으로" 733-736, 2010

      17 김진영, "역전학습기반 커뮤니케이션 강좌의 적용과 학생들의 인식에 관한 연구 - 과학기술특성화 대학의 인문사회분야 교양 교과목을 중심으로" 교육연구소 21 (21): 5-38, 2015

      18 김성봉, "액션러닝기반 교양수업 만족도 요인분석" 한국교양교육학회 7 (7): 273-299, 2013

      19 길양숙, "수업평가 결과와 쟁점" 한국교육학회 41 (41): 303-323, 2003

      20 곽기영, "소셜네트워크분석" 청람 2014

      21 김용학, "사회 연결망 분석 제3판" 박영사 2011

      22 주영주, "사이버대학에서 교수실재감, 인지적 실재감, 사회적 실재감과 학습성과와의 구조적 관계 규명" 한국정보교육학회 14 (14): 175-187, 2010

      23 장은정, "사이버대학 질 관리 준거 개발 연구" 한국교육공학회 28 (28): 103-136, 2012

      24 이영희, "미래교육 관련 연구 메타분석을 통한 미래교육의 방향" 교육연구소 24 (24): 127-153, 2018

      25 유현숙, "대학의 교수‧학습 질 제고 전략 탐색 연구(Ⅲ): 대학 유형별 교수ㆍ학습 역량 평가(체제) 다양화-4년제, 전문대학" 한국교육개발원 2015

      26 송해덕, "대학수업 혁신을 위한 몰입(engagement)형 플립드 러닝 모델 개발" 99-104, 2019

      27 남창우, "대학교육 지원을 위한 오픈소스 LMS 기능지표 개발" 원격교육연구소 16 (16): 137-164, 2020

      28 김정겸, "대학강의 평가도구 개발" 한국산학기술학회 18 (18): 187-196, 2017

      29 이종연, "대학 이러닝 강좌의 학습만족도 및 성취도 증진을 위한 컨텐츠 전달전략의 선택방안 - 학습자의 사전지식과 자기주도성을 중심으로 -" 한국교육공학회 20 (20): 185-214, 2004

      30 신종호, "대학 수업 지원을 위한 학습분석 기반 교수자 대시보드 개발"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4 (24): 489-515, 2018

      31 김은혜, "대학 교양체육 수업 문화와 교육적 가능성 탐색: K대학교 수업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체육학회 55 (55): 263-278, 2016

      32 지은림, "대학 교수자를 위한 강의자가진단도구 개발의타당화 및 관련변인 분석" 한국교육평가학회 19 (19): 51-72, 2006

      33 남민우, "대학 강의평가에서 수강인원에 따른 차이 검증 및 가중치 적용 방안 연구" 교육공학연구소 8 (8): 153-168, 2014

      34 조수선, "대학 강의평가 영향력 요인 중 학생 특성의 효과에 대한 사례 연구" 한국공학교육학회 19 (19): 38-43, 2016

      35 김경언, "대학 강의평가 도구 개선 및 타당화 연구: K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교육문제연구소 36 (36): 1-26, 2018

      36 이수상, "네트워크 분석 방법론" 논형 2012

      37 기영화, "글로벌 MOOC의 학습형태와 한국형온라인공개강좌(K-MOOC) 학습경험분석" 교육연구소 24 (24): 65-86, 2018

      38 이효진, "교양과목과 전공과목에 따른 대학생의 수강신청 기준에 관한 연구" 안암교육학회 23 (23): 79-99, 2017

      39 박완성, "교양 학과목 교수방법과 강의평가에 대한 연구" 한국교양교육학회 4 (4): 29-44, 2010

      40 육진경, "교수자의 강의개선 노력과 교육효과성 관련 변인간의 관계분석" 한국사회적질학회 1 (1): 35-53, 2017

      41 민혜리, "공과대학 학생들의 수업에 대한 요구와 만족도에 근거한 공과대학 수업개선 방안 탐색" 한국공학교육학회 12 (12): 38-45, 2009

      42 김미영, "공과대학 수업에서 혼합학습(Blended Learning)설계 및 운영 사례 연구-C 대학교 강좌 운영을 중심으로" 9 (9): 37-48, 2006

      43 김명화, "강의평가의 타당도와 신뢰도" 교육연구소 6 (6): 1-24, 2005

      44 윤유진, "강의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연구- 교양교과목을 중심으로" 한국교양교육학회 12 (12): 185-210, 2018

      45 양길석, "가중치를 적용한 강의평가 결과 분석" 한국교육방법학회 24 (24): 589-616, 2012

      46 오피니언, "[이슈토론] 대학 등록금 반환"

      47 Hobsoan, S. M., "Understanding student evaluation: What all faculty should know" 49 (49): 26-31, 2010

      48 Moore, M. G., "The Effects of Distance Learning" The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American Center for the Study of Distance Education 1997

      49 Kulik, J. A., "Student Ratings: Validity, Utility, and Controversy" 109 : 9-25, 2001

      50 Marsh, H. W., "Multidimensional Students' evaluations of teaching effectiveness: A test of alternative higher-order structures" 83 : 285-296, 1991

      51 IDEA, "Instructional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assessment student ratings of instruction" IDEA

      52 Berry, M. J. A., "Data Mining Techniques: For Marketing, Sales, and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Wiley 2004

      53 국가지정 의과학 연구정보센터, "COVID-19로 인한 대학․대학원 비대면수업 교수 학생 의견 조사(2020.04.22.)" 2020

      54 윤대균, "COVID-19 확산에 따른 비대면 원격수업에 대한 단상"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26-30, 2020

      55 김옥분, "AI 쳇봇을 활용한 플립러닝 기반의 대학교육의 변화" 한국정보통신학회 22 (22): 1618-1624, 201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3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Education & Culture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48 1.48 1.3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42 1.53 1.481 0.2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