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은 그동안 알려진 바 없는 유치환의 생애와 사상적, 정치적 면모를 새롭게 발굴하여, 유치환 시의 이론적 근거와 새로운 시적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했다. 그동안 아나키스트로서 유...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2575761
2016
Korean
청마 ; 유치환 ; 아나키즘 ; 아나키스트 ; 아나키즘 문학 ; 시적 아나키 ; 독립노농당 ; Cheongma ; Yu Chi-hwan ; anarchism ; anarchist ; anarchism literature ; poetic anarchy ; Independent Labor Peasants Party
KCI등재
학술저널
361-388(28쪽)
4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그동안 알려진 바 없는 유치환의 생애와 사상적, 정치적 면모를 새롭게 발굴하여, 유치환 시의 이론적 근거와 새로운 시적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했다. 그동안 아나키스트로서 유...
이 논문은 그동안 알려진 바 없는 유치환의 생애와 사상적, 정치적 면모를 새롭게 발굴하여, 유치환 시의 이론적 근거와 새로운 시적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했다. 그동안 아나키스트로서 유치환의 생애와 문학에 대한 연구는 명확한 근거를 제시하지 못함으로써 논의를 확장시키지 못했다. 본 논문은 단주 유림이 주도하여 창당한 독립노농당과 유치환 사이의 관계 등을 밝힘으로써, 유치환의 생애와 문학에 나타난 아나키즘적 특성을 파악하고자 했다. 또한 유치환이 교장으로 재직한 바 있는 안의중학교의 설립배경 등 그동안 알려지지 않았던 새로운 사실을 밝힘으로써, 유치환의 아나키스트로서의 자의식을 실증적으로 제시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와 같은 새로운 사실을 통해 유치환의 시를 아나키즘적 관점에서 파악할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하게 된다. 아울러 아나키즘과 관련한 기존 연구의 불명확한 부분과 오류를 수정할 수 있는 단초를 마련하게 될 것이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처음 밝혀지는 유치환의 생애적, 역사적 증거를 통해, 유치환 시의 친일 논쟁은 새로운 국면과 마주하게 된다. 유치환은 아나키즘을 단순한 관심 차원에서 피상적으로 인식하거나 받아들인 것이 아니라, 현실 정치와의 연계를 통해 아나키스트로서의 자의식을 확고하게 드러낸 시인이었다. 따라서 유치환 시에 대한 연구는 보다 확실한 근거를 통해 아나키즘과의 관련성을 파악하고 제시할 필요가 있다. 그 이유는 유치환의 작품을 아나키즘 시로 분석하느냐 아니냐에 따라 그 의미와 가치 등이 전혀 다르게 파악될 수 있기 때문이다. 유치환은 아나키스트로서 확고한 사상적, 정치적 입장을 지니고 있었을 뿐만 아니라, 유치진, 유치상 등의 형제들과 함께 아나키즘 현실 정당인 독립노농당의 당원으로 활동하기도 했다. 독립노농당은 단주 유림이 주도하여 창당한 정당으로, 아나키즘을 현실 사회에 실현시키고자 했던 실천적인 아나키즘 현실 정당이었다. 또한 유치환은 단주 유림과 하기락 등을 비롯한 당대의 아나키스트들과도 긴밀하게 교류했으며, 앞에서도 언급한 바처럼 아나키스트들이 주축이 되어 설립한, 아나키즘을 중요한 교육 이념으로 삼았던 안의중학교 교장으로 재직하기도 했다. 그동안 유치환 시에 대한 아나키즘적 분석이 일부 이루어져 왔지만 합당한 근거를 제시하지는 못했다. 본 논문에서 제시하는 실증적 증거와 주장을 통해 유치환 시의 아나키즘적 특성은 근거를 마련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아나키즘 문학은 아나키즘이 지향하는 바를 구현하고자 한다는 점에서 확고한 사상적 기반을 토대로 창작되는 경우가 많다. 아나키즘 문학은 언제나 아나키즘이 지향했던 세계와 합일에 이르는 순간을 희망한다. 아나키즘 문학에 있어서 아나키즘은 단순히 취향과 지향에 대한 문제라기보다, 사상적 신념과 실천의 장으로서 기능한다. 그런 만큼 아나키즘 문학을 파악하는 데 있어서 작가의 아나키스트로서의 실천 의지와 사상적, 정치적 입장은 작품을 분석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요소일 수밖에 없다. 그런 점에서 아나키스트로서의 유치환의 면모를 새롭게 밝히는 일은 문학사적으로 매우 중요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suggests the theoretical basis and new poetic possibility of Yu Chi-hwan`s poems by discovering his life and ideological and political aspects, which have to this point not been examined. Until now, the studies on life and literature of the...
This study suggests the theoretical basis and new poetic possibility of Yu Chi-hwan`s poems by discovering his life and ideological and political aspects, which have to this point not been examined. Until now, the studies on life and literature of the poet as an anarchist have been controversial because the appropriate grounds were not presented. By revealing the relationship between Yu Chi-hwan and Independent Labor Peasants Party formed by Danju Yurim, this study aimed to comprehend the correlations of Yu Chi-hwan`s life and anarchism appearing in his literature. In addition, the study revealed some previously unknown facts such as the foundation background of Anui Middle School, in which he worked as a principal, so his sense of identity as an anarchist was empirically suggested. Therefore, this study will become not only a basis of understanding of his poems in a different way but also a key to correcting uncertain parts and errors of existing studies. Further, through the proof of his life and the history that this study reveals, new theories of his poems can be presented in the arguments regarding pro-Japanese. Yu didn`t recognize or accept anarchism superficially for simple interest, but firmly revealed his sense of identity as an anarchist in the connection of realistic politics. Thus, the study on his poems needs to be comprehended and suggest the correlations with anarchism through a solid basis, as the themes and meanings of poetic diction can be interpreted differently depending on whether his literature is analyzed with or without the view of anarchism. Not only did Yu have firm ideological and political positions as an anarchist, but he also acted as a member of the Independent Labor Peasants Party, the realistic party of anarchism, with Yu Chi-jin and Yu Chi-sang, his brothers. The Independent Labor Peasants Party, formed by the lead of Danju Yurim, was the practical realistic party that tried to realize anarchism in real society. Yu Chi-hwan closely interacted with anarchists of the day including Danju Yurim and Ha Gi-rak, and worked as a principal of Anui Middle School, which was founded by anarchists and whose important education ideal was anarchism, as mentioned above. The poems of Yu Chi-hwan couldn`t present proper basis despite the fact that the anarchism analysis was conducted on his poems. Through the empirical proof and argument that this study suggests, the anarchism characteristics of his poems can have basis. Anarchism literature tends to be created based on the firm ideological foundation in that it realizes what anarchism pursues. Therefore, anarchism literature always hopes for the moment of meeting the world that anarchism pursues. The anarchism in anarchism literature rather functions as the venue of firm belief and practice than the problem of simple taste and pursuit, Which is why authors` practice will and ideological, political positions as anarchists are important elements in comprehending anarchism literature. In that sense, it is important in literature history to shed new light on the aspect of Yu Chi-hwan as an anarchist.
참고문헌 (Reference)
1 오세영, "한국현대시인연구" 월인 2003
2 조동범, "한국의 아나키즘과 아나키스트 이진언의 시 세계 — 이진언 시집 『행정(行程)의 우수(憂愁)』를 중심으로" 한국문예창작학회 12 (12): 121-155, 2013
3 김성국, "한국의 아나키스트" 이학사 2007
4 김영천, "한국아나키즘과 독립노농당의 교육정책" 한국정치사상연구소 2014
5 오장환, "한국 아나키즘운동사 연구" 국학자료원 1998
6 김경복, "한국 아나키즘 시문학 연구" 釜山大學校 大學院 1998
7 구승회, "한국 아나키즘 100년" 이학사 2004
8 남승우, "청마 유치환 전집Ⅵ" 국학자료원 2008
9 남승우, "청마 유치환 전집Ⅴ" 국학자료원 2008
10 남승우, "청마 유치환 전집Ⅳ" 국학자료원 2008
1 오세영, "한국현대시인연구" 월인 2003
2 조동범, "한국의 아나키즘과 아나키스트 이진언의 시 세계 — 이진언 시집 『행정(行程)의 우수(憂愁)』를 중심으로" 한국문예창작학회 12 (12): 121-155, 2013
3 김성국, "한국의 아나키스트" 이학사 2007
4 김영천, "한국아나키즘과 독립노농당의 교육정책" 한국정치사상연구소 2014
5 오장환, "한국 아나키즘운동사 연구" 국학자료원 1998
6 김경복, "한국 아나키즘 시문학 연구" 釜山大學校 大學院 1998
7 구승회, "한국 아나키즘 100년" 이학사 2004
8 남승우, "청마 유치환 전집Ⅵ" 국학자료원 2008
9 남승우, "청마 유치환 전집Ⅴ" 국학자료원 2008
10 남승우, "청마 유치환 전집Ⅳ" 국학자료원 2008
11 남승우, "청마 유치환 전집Ⅲ" 국학자료원 2008
12 남승우, "청마 유치환 전집Ⅱ" 국학자료원 2008
13 남승우, "청마 유치환 전집Ⅰ" 국학자료원 2008
14 유인전, "청마 유치환 전집3-나는 고독하지 않다" 정음사 1984
15 유인전, "청마 유치환 전집2-波濤야 어쩌란 말이냐" 정음사 1984
16 유인전, "청마 유치환 전집1-旗빨" 정음사 1984
17 민명자, "육사와 청마 시에 나타난 아나키즘 연구" 한국비평문학회 (29) : 123-155, 2008
18 황동옥, "유치환의 시에 나타나는 아나키즘" 동국대학교 대학원 2007
19 鄭大鎬, "유치환의 시 연구 : 아나키즘과 세계인식의 관련양상을 중심으로" 慶北大學校 大學院 1996
20 박태일, "유치환과 이원수의 부왜문학" 소명출판 2015
21 박진희, "유치환 시의 아나키즘적 특성 연구" 대전대학교 대학원 2011
22 김미선, "유치환 시 연구 : 아나키즘과의 관련을 중심으로"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23 박진희, "유치환 문학과 아나키즘" 지식과교양 2012
24 오세영, "유치환" 건국대학교 출판부 2000
25 박홍규, "아나키즘 이야기" 이학사 2004
26 하승우, "아나키즘" 책세상 2008
27 유종호, "서정적 진실을 찾아서" 민음사 2001
28 거제시, "동랑 유치진·청마 유치환의 출생지 조사 연구" 거제시 2000
29 김영천, "단주 유림의 아나키즘과 해방정국 아나키즘 정치" 한국정치사상연구소 2010
30 청마문학회, "다시 읽는 유치환" 시문학사 2008
31 Taylor, Michael, "공동체, 아나키, 자유" 이학사 2006
32 김은석, "개인주의적 아나키즘" 우물이 있는 집 2004
오규원의 후기시에 나타난 심층생태주의의 특성 연구 - 유식사상과 현상학의 관점을 중심으로 -
송수권의 시론(詩論)정립을 위한 시론(試論) - 남도의 3대 정신을 중심으로 -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4 | 0.54 | 0.5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1 | 0.5 | 0.879 | 0.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