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독서가 거시경제에 미치는 영향 연구 = A Macroeconomic Impact of Book-Read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59300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책이라는 문화상품을 서비스로 전환시키는 활동이 독서이다. 개인적 활동인 독서는 지식수준을 높이고 직장에서의 업무 효율성을 높일 뿐 아니라 사회적 통합과 같은 외부효과를 발생시킨다. 그간 독서가 사회적으로 중요하다는 피상적 인식 수준에서 나아가 학술적으로 실증하거나 접근한 연구가 드물었다. 본 논문은 경제활동 밖에서 이루어지는 독서 활동이 국민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분석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하여 Bhattacharya et al.(2013)의 분석 모형을 준용하여 독서활동과 인적역량을 연계하고 인적역량을 내생화한 동태 일반균형모형을 사용하여 독서의 경제적 기여도를 추정하였다. 분석결과 독서가 노동공급을 줄여는 효과가 있었지만 이를 상쇄하고도 인적역량 강화를 통해 경제 전반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구체적으로 독서율 1%p 상승 시 노동자의 인적역량은 0.22%, 인적투자량은 0.21% 상승했다. 또한 총여가시간은 0.001% 상승하고 그 만큼 노동시간이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번역하기

      책이라는 문화상품을 서비스로 전환시키는 활동이 독서이다. 개인적 활동인 독서는 지식수준을 높이고 직장에서의 업무 효율성을 높일 뿐 아니라 사회적 통합과 같은 외부효과를 발생시킨...

      책이라는 문화상품을 서비스로 전환시키는 활동이 독서이다. 개인적 활동인 독서는 지식수준을 높이고 직장에서의 업무 효율성을 높일 뿐 아니라 사회적 통합과 같은 외부효과를 발생시킨다. 그간 독서가 사회적으로 중요하다는 피상적 인식 수준에서 나아가 학술적으로 실증하거나 접근한 연구가 드물었다. 본 논문은 경제활동 밖에서 이루어지는 독서 활동이 국민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분석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하여 Bhattacharya et al.(2013)의 분석 모형을 준용하여 독서활동과 인적역량을 연계하고 인적역량을 내생화한 동태 일반균형모형을 사용하여 독서의 경제적 기여도를 추정하였다. 분석결과 독서가 노동공급을 줄여는 효과가 있었지만 이를 상쇄하고도 인적역량 강화를 통해 경제 전반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구체적으로 독서율 1%p 상승 시 노동자의 인적역량은 0.22%, 인적투자량은 0.21% 상승했다. 또한 총여가시간은 0.001% 상승하고 그 만큼 노동시간이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quantitatively analyzes the effects of reading on the macroeconomics and examines the implications. According to the Korean Reading Culture Promotion Act, a basic plan for promoting reading culture and various policies for promoting reading are being implemented every five years. This study analyzes the ramifications of reading to macroeconomics through quantitative analysis using macroeconomic model to provide an answer. The analytical model is a dynamic general equilibrium model that endogenous the human capacity of labor supply by applying the model of Bhattacharya et al. (2013). This study examines whether reading has a negative effect on the macro economy by reducing labor supply or positive effects through strengthening human capacity. As a result, when reading rate increased by 1%p, total real production, total real consumption, total real capital, total real investment and total employment increased. Workers capacity rise 0.22%, and human investment rise 0.21%. In addition, total leisure time increased by 0.001% and working time decreased by 0.001%. The result of this analysis is interpreted as a result of suggesting the economic validity of the policy of promoting reading culture. In addition, the fact that reading has a positive ripple effect on the economy despite reducing working hours and increasing leisure time suggests that reading culture promotion policy can improve the efficiency of labor input.
      번역하기

      This study quantitatively analyzes the effects of reading on the macroeconomics and examines the implications. According to the Korean Reading Culture Promotion Act, a basic plan for promoting reading culture and various policies for promoting reading...

      This study quantitatively analyzes the effects of reading on the macroeconomics and examines the implications. According to the Korean Reading Culture Promotion Act, a basic plan for promoting reading culture and various policies for promoting reading are being implemented every five years. This study analyzes the ramifications of reading to macroeconomics through quantitative analysis using macroeconomic model to provide an answer. The analytical model is a dynamic general equilibrium model that endogenous the human capacity of labor supply by applying the model of Bhattacharya et al. (2013). This study examines whether reading has a negative effect on the macro economy by reducing labor supply or positive effects through strengthening human capacity. As a result, when reading rate increased by 1%p, total real production, total real consumption, total real capital, total real investment and total employment increased. Workers capacity rise 0.22%, and human investment rise 0.21%. In addition, total leisure time increased by 0.001% and working time decreased by 0.001%. The result of this analysis is interpreted as a result of suggesting the economic validity of the policy of promoting reading culture. In addition, the fact that reading has a positive ripple effect on the economy despite reducing working hours and increasing leisure time suggests that reading culture promotion policy can improve the efficiency of labor inpu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Ⅱ. 기존 연구 검토 및 독서율 현황 Ⅲ. 분석모형 Ⅳ. 실증 분석 및 결과 Ⅴ. 결론
      • Ⅰ. 서론 Ⅱ. 기존 연구 검토 및 독서율 현황 Ⅲ. 분석모형 Ⅳ. 실증 분석 및 결과 Ⅴ. 결론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문화체육관광부, "제3차 독서문화진흥 기본계획"

      2 이아영, "인문고전 독서교육이 청소년의 인성과 역량 증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 48 (48): 245-265, 2017

      3 홍재화, "인구고령화와 정년연장 연구-세대 간 중첩모형(OLG)을 이용한 정량분석" 한국은행 2015

      4 최상민, "비교과프로그램으로서독서·토론의 인성 교육적 가치와 전망" 한국문화융합학회 38 (38): 171-194, 2016

      5 김정숙, "독서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문화적 요인에 관한 고찰" (38) : 175-198, 1996

      6 윤상호, "독서의 경제적 영향" 한국경제연구원 2016

      7 옥영석, "독서경영이 동기부여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한국수산해양교육학회 29 (29): 1787-1798, 2017

      8 정혜경, "공공도서관 문화프로그램의 경제성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정보관리학회 25 (25): 377-392, 2008

      9 라정주, "가업상속세 감면이 거시경제에 미치는 영향: 중규모이상 기업을 중심으로" 한국경제학회 65 (65): 47-76, 2017

      10 Siah, P. C., "The Value of Re ading and the Effe ctivene ss of Sustained Silent Reading" 83 : 168-174, 2010

      1 문화체육관광부, "제3차 독서문화진흥 기본계획"

      2 이아영, "인문고전 독서교육이 청소년의 인성과 역량 증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 48 (48): 245-265, 2017

      3 홍재화, "인구고령화와 정년연장 연구-세대 간 중첩모형(OLG)을 이용한 정량분석" 한국은행 2015

      4 최상민, "비교과프로그램으로서독서·토론의 인성 교육적 가치와 전망" 한국문화융합학회 38 (38): 171-194, 2016

      5 김정숙, "독서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문화적 요인에 관한 고찰" (38) : 175-198, 1996

      6 윤상호, "독서의 경제적 영향" 한국경제연구원 2016

      7 옥영석, "독서경영이 동기부여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한국수산해양교육학회 29 (29): 1787-1798, 2017

      8 정혜경, "공공도서관 문화프로그램의 경제성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정보관리학회 25 (25): 377-392, 2008

      9 라정주, "가업상속세 감면이 거시경제에 미치는 영향: 중규모이상 기업을 중심으로" 한국경제학회 65 (65): 47-76, 2017

      10 Siah, P. C., "The Value of Re ading and the Effe ctivene ss of Sustained Silent Reading" 83 : 168-174, 2010

      11 Eden, M., "The Substitution of ICT capital for routine labor: transitional dynamics and long-run implication" UNC Charlotte Economics 2014

      12 Price, J., "The Effects of Parental Time Investments: Evidence from Natural Within-Family Variation" Brighan Young University 2010

      13 Chari, V. V., "Sticky price models of the business cycle : can the contract multiplier solve the persistence problem?" 68 (68): 1151-1179, 2000

      14 OECD, "Skills Outlook 2013: First Results from the Survey of Adult Skills" OECD Publishing 2013

      15 Price, J., "Parent-Child Quality Time Does Birth Order Matter?" 43 (43): 240-265, 2008

      16 안중덕, "MeFOT 기반 독서활동과 과정중심 독서지도가 청소년의 활동역량에 미치는효과" 75 : 49-65, 2014

      17 Hansen, G. D., "Indivisible labor and the business cycle" 16 (16): 309-327, 1985

      18 Canoy, M., "Handbook of the Economics of Art and Culture" North-Holland 721-761, 2006

      19 Bhattacharya, D., "Distortions, endogenous managerial skills and productivity differences" 16 : 11-25, 2014

      20 European Commission, "Cultural Access and Participation"

      21 문화체육관광부, "2018 콘텐츠산업 백서" 경성문화사 2019

      22 문화체육관광부, "2017년 국민 독서실태 조사" 201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8-25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국민경제학회 -> 한국경제통상학회
      영문명 : The Korean National Economic Association -> The Korean Economic and Business Association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 0.46 0.5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4 0.53 0.924 0.1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