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대학수학능력시험 한문 과목 "한자어 영역"의 출제 경향 및 문항 유형 분석 = The Analysis of the question`s trend and pattern of a word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for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59238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앞서 수행하였던 "대학수학능력시험 한문 과목 `한자 영역`의 출제 경향 및 문항 유형 분석"의 후속 작업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의 `한자어 영역`에 대한 분석의 방향 역시 `출제 ...

      본 연구는 앞서 수행하였던 "대학수학능력시험 한문 과목 `한자 영역`의 출제 경향 및 문항 유형 분석"의 후속 작업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의 `한자어 영역`에 대한 분석의 방향 역시 `출제 경향`과 `문항 유형`의 차원으로 그 범주를 설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2005학년도 6월 모의평가부터 2010학년도 9월 모의평가까지 총 17회의 문항을 검토 대상으로 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먼저 출제 경향의 차원에서 살펴본 결과, 한자어 영역의 문항 수는 전체 문항 수의 30%인 9문항이 출제되어 『출제 매뉴얼』에서 제시한 시행 지침과 일치하고 있다. 그러나 배점으로 보면 `12점(24%)~15점(30%)`로 구성되어 `한자어`의 비중이 최고 6% 정도 낮게 나타나고 있다. 문항의 평가 요소를 살펴보면 한자어 영역의 학습 요소를 고르게 반영하고 있으며, 문항의 유형 역시 다양하게 변화를 거듭하고 있다. 이러한 유형의 변화는 내용상 타당성을 높이거나 변별도를 제고하거나 정답률을 조정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인 동시에 기출 문항에 저촉되지 않기 위한 것이기도 하다. 또한 삽화를 적극 활용하고 있는 것도 특징 중의 하나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수학능력시험 한문 과목 `한자어 영역`에 대한 분석을 `출제 경향`과 `문항 유형`의 차원에 국한하여 수행하였다. 차후로 `한문 영역`에 대해서도 이와 같은 분석 작업이 계속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통해 대학수학능력시험 한문 과목의 전체적인 출제 경향 및 문항 유형 분석 작업이 마무리되면 한 단계 더 나아가 `문항의 양호도`에 관한 연구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일련의 작업은 앞으로의 과제로 남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is the succeeding research of "the analysis of the question`s trend and pattern of Chinese characters for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preceded. Accordingly, in this study, it has been set up for a word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in two ra...

      This is the succeeding research of "the analysis of the question`s trend and pattern of Chinese characters for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preceded. Accordingly, in this study, it has been set up for a word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in two ranges of analysis which are a tendency of questions and question patterns in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It was carried out research on 17 times of tests and questions from 2005 to 2010 in Chinese Characters. First of all, it seems like to meet a point being required setting pattern for examinations that they were nine questions which was 30% of the whole one viewing tendency of questions in general. However, it was obviously shown that the mark allotting was 24% to 30%, 6% as low as other subjects. Generally speaking, each question has been considered for the variety of study a word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and it looked like a good effort to make a high quality questions for students. Next, being checked all question, it was made a variety of types in the test. Because of fixing the classification and a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examiners tried to make the best use of things for the better test. This research has carried out for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a word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between a tendency of questions and question patterns. From now on examiners need to study for being good about each question with statistic estimation and smart techniqu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교육인적자원부, "한문, 교양 선택 과목 교육과정. 교육인적자원부 고시 제2007-79호" 2007

      2 교육부, "한문, 교련, 교양 선택과목 교육과정" 1998

      3 문교부, "중학교 한문과 교육과정 해설" 1988

      4 교육부, "중학교 재량 활동의 선택과목 교육과정 - 한문, 컴퓨터, 환경, 생활 외국어" 1998

      5 교육인적자원부, "중학교 재량 활동의 선택 과목 교육과정. 교육인적자원부 고시 제 2007-79호" 2007

      6 교육부, "중학교 교육과정 해설(Ⅴ) - 외국어(영어), 재량 활동, 한문, 컴퓨터, 환경, 생활 외국어" 1999

      7 교육과학기술부, "중학교 교육과정 해설(Ⅴ) - 외국어(영어), 재량 활동, 한문, 정보, 환경, 생활 외국어" 2008

      8 교육부, "중학교 교육과정 해설 ― 한문·컴퓨터·환경" 1994

      9 문영진, "중·고등학교 한문 선택과목 교육과정 개정 시안 연구 개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6

      10 장호성,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中學校 漢文 敎科書의 問題" 우리한문학회 10 (10): 339-365, 2004

      1 교육인적자원부, "한문, 교양 선택 과목 교육과정. 교육인적자원부 고시 제2007-79호" 2007

      2 교육부, "한문, 교련, 교양 선택과목 교육과정" 1998

      3 문교부, "중학교 한문과 교육과정 해설" 1988

      4 교육부, "중학교 재량 활동의 선택과목 교육과정 - 한문, 컴퓨터, 환경, 생활 외국어" 1998

      5 교육인적자원부, "중학교 재량 활동의 선택 과목 교육과정. 교육인적자원부 고시 제 2007-79호" 2007

      6 교육부, "중학교 교육과정 해설(Ⅴ) - 외국어(영어), 재량 활동, 한문, 컴퓨터, 환경, 생활 외국어" 1999

      7 교육과학기술부, "중학교 교육과정 해설(Ⅴ) - 외국어(영어), 재량 활동, 한문, 정보, 환경, 생활 외국어" 2008

      8 교육부, "중학교 교육과정 해설 ― 한문·컴퓨터·환경" 1994

      9 문영진, "중·고등학교 한문 선택과목 교육과정 개정 시안 연구 개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6

      10 장호성,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中學校 漢文 敎科書의 問題" 우리한문학회 10 (10): 339-365, 2004

      11 장호성, "대학수학능력시험 한문 과목 ‘한자 영역’의 출제 경향 및 문항 유형 분석"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1 (1): 281-330, 2008

      12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대학수학능력시험 출제 매뉴얼 제2외국어/한문 영역" 2005

      13 교육부, "고등학교 한문과 교육과정 해설 - 한문Ⅰ, 한문Ⅱ" 1995

      14 문교부, "고등학교 한문과 교육과정 해설" 1989

      15 교육과학기술부, "고등학교 교육과정 해설 -한문" 2008

      16 교육부, "고등학교 교육과정 해설 - 한문" 2001

      17 장호성, "漢文科 敎材의 問題- 제7차 교육과정 高等學校 漢文 敎科書를 중심으로" 한국한문교육학회 22 (22): 151-190, 2004

      18 장호성, "漢文敎育用 基礎漢字의 문제 - 漢文 敎育課程 改定 試案의 연구 개발에 즈음하여" 동방한문학회 (29) : 367-410, 2005

      19 張豪晟, "漢文 學校文法 制定 方案의 摸索 - 爭點 事項을 中心으로"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16 :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8-18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 Association For Education Of Chinese Characters -> The Korea Association For Han-character and classical written language Education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 0.3 0.2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 0.3 0.534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