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마리나 개발 적정수요와 입지선정의 중요도에 관한 연구 = Marina Development on the Importance of Optimum Demand and Location Selection Stud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02313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현재 지방자치단체에서 개발 예정중인 마리나와 관련하여 우리나라에 필요한 마리나의 적정수요와 마리나 개발시 입지의 중요도를 심층적으로 분석한 후 정부 및 각 지방자치단체에게 연구의 결과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목적을 두며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의 마리나 개발 시 적정 수요는 대략적으로 49개 정도로 나타났다. 자세하게 언급하면 지역을 광역권으로 구분한 후, 마리나를 구간별로 네트워크화시켜 연안역 마리나의 개념으로 개발을 하여야 하며, 반드시 대형, 중형, 소형 마리나의 구분을 하여야 한다. 권역별로 10개는 대형(리조트형)마리나를 수도권(2), 충청권(1), 전라권(2), 경상도(3), 강원권(1), 제주권(1) 등에 개발하고, 17개는 중형(레포츠형)마리나를 수도권(3), 충청권(2), 전라권(2), 경상권(6), 강원권(2), 제주권(2) 등에 개발을 하여야 한다. 그리고 22개의 소형(지역 거점형)마리나는 수도권(2), 충청권(1), 전라권(6), 경상권(9), 강원권(2), 제주권(2) 등에 개발해야 한다. 둘째, 국내에 적합한 마리나 개발 입지의 중요도는 마리나 관련 전문가 그룹이 제시한 5개(접근성, 시장성, 이용성, 타당성, 자연환경)요인을 대상으로 종합적인 중요도를 분석한 결과 1순위는 이용성으로 나타났고, 2순위는 접근성, 3순위는 자연환경, 4순위는 시장성, 5순위는 타당성 요인으로 나타났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현재 지방자치단체에서 개발 예정중인 마리나와 관련하여 우리나라에 필요한 마리나의 적정수요와 마리나 개발시 입지의 중요도를 심층적으로 분석한 후 정부 및 각 지방자치단...

      본 연구는 현재 지방자치단체에서 개발 예정중인 마리나와 관련하여 우리나라에 필요한 마리나의 적정수요와 마리나 개발시 입지의 중요도를 심층적으로 분석한 후 정부 및 각 지방자치단체에게 연구의 결과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목적을 두며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의 마리나 개발 시 적정 수요는 대략적으로 49개 정도로 나타났다. 자세하게 언급하면 지역을 광역권으로 구분한 후, 마리나를 구간별로 네트워크화시켜 연안역 마리나의 개념으로 개발을 하여야 하며, 반드시 대형, 중형, 소형 마리나의 구분을 하여야 한다. 권역별로 10개는 대형(리조트형)마리나를 수도권(2), 충청권(1), 전라권(2), 경상도(3), 강원권(1), 제주권(1) 등에 개발하고, 17개는 중형(레포츠형)마리나를 수도권(3), 충청권(2), 전라권(2), 경상권(6), 강원권(2), 제주권(2) 등에 개발을 하여야 한다. 그리고 22개의 소형(지역 거점형)마리나는 수도권(2), 충청권(1), 전라권(6), 경상권(9), 강원권(2), 제주권(2) 등에 개발해야 한다. 둘째, 국내에 적합한 마리나 개발 입지의 중요도는 마리나 관련 전문가 그룹이 제시한 5개(접근성, 시장성, 이용성, 타당성, 자연환경)요인을 대상으로 종합적인 중요도를 분석한 결과 1순위는 이용성으로 나타났고, 2순위는 접근성, 3순위는 자연환경, 4순위는 시장성, 5순위는 타당성 요인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Kuroyanagi, Akio, "해양성 레크리에이션 시설" 도서출판 과학기술 341-, 1999

      2 송병화, "해양레저마리나 최적입지 선정을 위한 평가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목포해양대학교 대학원 2010

      3 이한석, "해양레저 활동의 기반시설 마리나 계획" 113-, 2010

      4 김성귀, "항만 내 마리나 개발 방안" 한국해운물류학회 25 (25): 145-166, 2009

      5 국토해양부, "제1차(2010~2019) 마리나항만 기본계획(변경)(안), 2011. 12. 18."

      6 국토해양부, "정부, 마리나산업 육성대책 발표,레저관광, 제조업 등 연관산업 선순환…고용창출 기대"

      7 김성국, "우리나라 마리나 발전방향에 관한 一考察" 한국해양비즈니스학회 (15) : 27-57, 2010

      8 박성현, "요트산업 입지선정을 위한 설문조사 분석 및 평가" 31-35, 2005

      9 김천중, "요트관광의 이해" 백산출판사 35-, 2008

      10 정종석, "요트 발전을 위한 한국형 마리나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항해항만학회 28 (28): 899-908, 2004

      1 Kuroyanagi, Akio, "해양성 레크리에이션 시설" 도서출판 과학기술 341-, 1999

      2 송병화, "해양레저마리나 최적입지 선정을 위한 평가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목포해양대학교 대학원 2010

      3 이한석, "해양레저 활동의 기반시설 마리나 계획" 113-, 2010

      4 김성귀, "항만 내 마리나 개발 방안" 한국해운물류학회 25 (25): 145-166, 2009

      5 국토해양부, "제1차(2010~2019) 마리나항만 기본계획(변경)(안), 2011. 12. 18."

      6 국토해양부, "정부, 마리나산업 육성대책 발표,레저관광, 제조업 등 연관산업 선순환…고용창출 기대"

      7 김성국, "우리나라 마리나 발전방향에 관한 一考察" 한국해양비즈니스학회 (15) : 27-57, 2010

      8 박성현, "요트산업 입지선정을 위한 설문조사 분석 및 평가" 31-35, 2005

      9 김천중, "요트관광의 이해" 백산출판사 35-, 2008

      10 정종석, "요트 발전을 위한 한국형 마리나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항해항만학회 28 (28): 899-908, 2004

      11 이둥지, "수상여가활동 활성화를 위한 한강마리나 잠재력 평가"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5 (45): 229-241, 2010

      12 金東心, "마리나 리조트 開發計劃에 關한 硏究 : 충남 안흥지구를 중심으로" 京畿大學校 大學院 1998

      13 제주인뉴스, "도두항에 공공요트 계류시설 등 공공마리나 개발, 양금희"

      14 김경미, "국내 마리나 시설확충과 확충계획: 해수욕만 즐기는 바다는 가라" 28-31, 2006

      15 아시아통신뉴스, "고군산 마리나항만 개발 탄력…공유수면 기본계획에 반영돼, 이현재"

      16 문화일보, "“국비지원 따내자”…전국 마리나港개발 ‘붐’ 전남 연안 유휴항 30곳 추진…경주·영덕 등 경북7곳 추가, 정우천"

      17 장운재, "SWOT&AHP을 이용한 목포항 요트산업 개발과 운영 주체 평가" 한국항해항만학회 29 (29): 715-720, 2005

      18 부산일보, "SEA&뉴스, 장비제조·시설·서비스 3박자 조화 필요, 강승철"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신청제한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2 0.42 0.4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5 0.43 0.592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