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창원시 학동 전기 소아들의 아토피피부염 유병률과 그 원인에 관한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927807

      • 저자
      • 발행사항

        창원 : 창원대학교, 2010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창원대학교 대학원 , 보건의과학과 , 2010. 2

      • 발행연도

        2010

      • 작성언어

        한국어

      • KDC

        514.73 판사항(4)

      • 발행국(도시)

        경상남도

      • 기타서명

        Prevalence Rate and Etiologic Risk Factors of Atopic Dermatitis in the Preschool Children in Changwon

      • 형태사항

        vii,96p.(단면); 26cm

      • 일반주기명

        창원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하권철
        참고문헌 : p.69-77

      • 소장기관
        • 국립창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요 약 문

      1. 연구목적 및 필요성

      최근 서구화, 산업화를 통한 생활환경의 변화에 따라 아토피와 같은 환경성 질환의 유병률이 전 세계적으로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아토피 피부염은 심한 소양감과 습진성 피부 병변을 특징으로 하는 염증성 피부 질환으로 주로 유소아기에 발병하며 호전과 악화를 반복하면서 만성화하는 경향을 보이므로 환자들은 물론 환자의 부모와 가족들까지도 삶의 질(quality of life)이 떨어지는 결과를 초래한다. 아토피 피부염에 소요되는 진료비 등 사회경제적 부담도 해마다 증가하고 있어 이에 대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이를 위해서 우선 아토피 피부염의 빈도와 분포 등 그 실태를 파악하고 그 원인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우리나라의 환경 수도이며 WHO 회원 도시인 창원시의 경우도 삶의 질 추구에 대한 욕구가 증대함에 따라 건강에 대한 인식과 관심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인식과 관심을 기반으로 건강도시 프로젝트 사업을 추진 중에 있다. 건강도시 프로젝트 중 미래의 우리나라를 이끌어 나갈 어린이나 청소년이 건강하게 자라도록 하기 위해 쾌적하고 깨끗한 건강 환경의 조성은 매우 중요한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앞으로 보건학적으로 사회 문제가 될 소지가 있는 아토피 피부염에 대한 발생 현황과 그 원인을 파악하여 이를 감소시키거나 제거할 수 있는 방법들에 대해 지속적으로 연구함으로써 미래 의료 보건 환경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환경성 질환의 가장 대표적인 예인 아토피 피부염을 대상으로 창원시에서의 발생 및 분포 현황과 이들 발생 및 분포에 영향을 주는 원인을 분석하고 창원시에서 시행하고 있는 대책 방안에 대한 시민들의 인식도를 파악하여 적절한 예방대책을 제언하고자 한다.

      2. 연구내용 및 방법

      ○ 국민건강보험관리공단을 통해서 아토피 피부염에 대한 통계자료를 수집하여 창원시에서의 수진율과 연도별 및 지역별 비교를 통해 발생 추이를 살펴보고 그 문제의 크기를 추정
      ○ ISAAC(International Study of Allergy and Asthma in Childhood)에서 제안한 표준화된 설문지를 활용하여 창원시 유아보육시설을 대상으로 이용하여 유병률, 지역 병원 및 의원의 아토피 피부염 치료현황, 아토피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인자를 파악
      ○ 주거, 환경 등 생활여건과 아토피 피부염과의 상관관계, 모유수유, 식품 등과의 연관성을 살펴보고, 문헌고찰 등을 통해 다른 인자에 대한 연구를 함으로써 그 원인을 분석
      ○ 병원, 민간요법, 공공의료기관(보건소) 이용률 등의 분석을 통해 창원 시민의 아토피 피부염 예방대책 조사
      ○ 대책 방안의 바람직한 접근방법을 제시하여 창원시의 향후 아토피 피부염 예방시책 추진 방향 제언

      3. 연구결과

      본 연구는 창원시에서의 아토피 피부염 발생원인과 예방연구를 주제로 아토피 피부염에 관한 문헌조사 및 국내외 연구동향에 대한 문헌고찰을 실시하였으며, 국민건강의료관리공단으로부터 건강보험 관련 자료 중 아토피 피부염에 관한 자료를 수집하여 아토피 피부염과 관련한 수진율 등 기초통계자료를 조사하였으며, 창원시 유아보육시설을 대상으로 아토피 피부염과 관련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창원시에서의 아토피 피부염에 대한 유병률,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 영향 인자 등을 조사하였으며, 창원시에서 추후 아토피 피부염 등 환경성 질환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추진해야 할 정책 등을 국내 지자체 및 외국의 추진사례 등에 대하여 조사하여 정책 방향을 제안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기초자료통계조사

      첫째, 국민 건강보험공단의 아토피 피부염 관련 유병률을 조사한 결과 5세 남아를 제외하고는 전국 평균 유병률보다 낮았다.
      둘째, 2003년에서 2007년까지의 유병률을 창원시의 행정구역 별로 비교한 결과 사파동이 가장 높은 14.9%였으며, 동읍 12.4%, 봉림동과 상남동 11.5%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초자료통계조사와 설문조사 결과를 비교하여 2007년에 비해 2008년에 아토피 피부염에 대한 남, 녀 아동의 유병률이 증가하였다.

      (2) 설문조사

      ○ 창원시 5~7세의 아동에 대한 아토피 유병률은 9.6% 수준으로 전국 평균보다 낮았으며 대체적으로 남아보다는 여야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 연령별 유병률은 연령이 증가할수록 현저히 감소하는 경향으로 나타났다.
      ○ 아토피 피부염의 처음 발생 연령은 2세 이내가 64%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 부모가 아토피 피부염이 있는 경우의 자녀에서 나타나는 아토피 피부염 유병률은 아토피가 없는 부모의 경우보다 높게 나타나 아토피 피부염은 유전적인 영향이 큰 것으로 조사되었다.
      ○ 부모의 학력이 높을수록 모유수유를 하지 않는 경우에 자녀의 아토피 피부염 발생률이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 주거환경에 대한 영향 중 에어컨이 없는 경우, 습한 환경, 실내 흡연에 대해서 자녀의 아토피 피부염 발생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전문적인 치료유무를 묻는 답변에 26.6%가 치료를 받은 적이 없다고 응답하여 체계적인 아토피 대책의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3) 행정적인 대책 제언

      ○ 치료중심에서 예방중심 정책으로 전환
      ○ 어린이 건강관련 부서 통합 관리 및 전담기구 설치
      ○ 환경성 질환의 유병률 및 발생 원인에 대한 정기적 조사
      ○ 환경오염노출 어린이 위험인구 감소노력
      ○ 어린이 환경성질환 통계자료 구축 및 교육홍보 강화
      ○ 어린이의 활동 공간 및 시설에 대한 창원시의 관리 기준 마련
      ○ 환경성 질환자 지원 및 치료강화
      ○ 환경성 질환에 대한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활성화

      4. 활용계획

      향후 아토피 피부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인자에 대한 연구에 참고 자료가 될 수 있으며 특히 아토피 피부염의 원인에 대한 조사 시 아파트 등 거주형태의 차이, 건축연령, 공해, 소음, 스트레스 등의 다른 외부 요인 등의 항목에 대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또한 아토피 피부염의 실태와 유발 및 위험 인자를 파악함으로써 아토피 피부염의 병인, 치료/관리와 관련한 정확한 정보제공 및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활용할 수 있다. 교육프로그램을 통해 보호자와 교사들의 관심과 지식을 향상시켜, 질환의 조기 진단 및 올바른 자기관리 능력 강화 도모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창원 지역의 유소아 아토피 환아와 가족의 생활습관 및 환경요소와 아토피 피부염의 관련성에 대한 통계학적 자료를 바탕으로 아토피 피부염에 소요되는 의료비용 등을 줄이기 위한 창원시 등 행정부의 정책을 수립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5. 연 구 중 심 어
      아토피성피부염, 어린이, 창원, 유병률, 위험요인
      번역하기

      요 약 문 1. 연구목적 및 필요성 최근 서구화, 산업화를 통한 생활환경의 변화에 따라 아토피와 같은 환경성 질환의 유병률이 전 세계적으로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아토피 피부염은 심한...

      요 약 문

      1. 연구목적 및 필요성

      최근 서구화, 산업화를 통한 생활환경의 변화에 따라 아토피와 같은 환경성 질환의 유병률이 전 세계적으로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아토피 피부염은 심한 소양감과 습진성 피부 병변을 특징으로 하는 염증성 피부 질환으로 주로 유소아기에 발병하며 호전과 악화를 반복하면서 만성화하는 경향을 보이므로 환자들은 물론 환자의 부모와 가족들까지도 삶의 질(quality of life)이 떨어지는 결과를 초래한다. 아토피 피부염에 소요되는 진료비 등 사회경제적 부담도 해마다 증가하고 있어 이에 대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이를 위해서 우선 아토피 피부염의 빈도와 분포 등 그 실태를 파악하고 그 원인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우리나라의 환경 수도이며 WHO 회원 도시인 창원시의 경우도 삶의 질 추구에 대한 욕구가 증대함에 따라 건강에 대한 인식과 관심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인식과 관심을 기반으로 건강도시 프로젝트 사업을 추진 중에 있다. 건강도시 프로젝트 중 미래의 우리나라를 이끌어 나갈 어린이나 청소년이 건강하게 자라도록 하기 위해 쾌적하고 깨끗한 건강 환경의 조성은 매우 중요한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앞으로 보건학적으로 사회 문제가 될 소지가 있는 아토피 피부염에 대한 발생 현황과 그 원인을 파악하여 이를 감소시키거나 제거할 수 있는 방법들에 대해 지속적으로 연구함으로써 미래 의료 보건 환경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환경성 질환의 가장 대표적인 예인 아토피 피부염을 대상으로 창원시에서의 발생 및 분포 현황과 이들 발생 및 분포에 영향을 주는 원인을 분석하고 창원시에서 시행하고 있는 대책 방안에 대한 시민들의 인식도를 파악하여 적절한 예방대책을 제언하고자 한다.

      2. 연구내용 및 방법

      ○ 국민건강보험관리공단을 통해서 아토피 피부염에 대한 통계자료를 수집하여 창원시에서의 수진율과 연도별 및 지역별 비교를 통해 발생 추이를 살펴보고 그 문제의 크기를 추정
      ○ ISAAC(International Study of Allergy and Asthma in Childhood)에서 제안한 표준화된 설문지를 활용하여 창원시 유아보육시설을 대상으로 이용하여 유병률, 지역 병원 및 의원의 아토피 피부염 치료현황, 아토피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인자를 파악
      ○ 주거, 환경 등 생활여건과 아토피 피부염과의 상관관계, 모유수유, 식품 등과의 연관성을 살펴보고, 문헌고찰 등을 통해 다른 인자에 대한 연구를 함으로써 그 원인을 분석
      ○ 병원, 민간요법, 공공의료기관(보건소) 이용률 등의 분석을 통해 창원 시민의 아토피 피부염 예방대책 조사
      ○ 대책 방안의 바람직한 접근방법을 제시하여 창원시의 향후 아토피 피부염 예방시책 추진 방향 제언

      3. 연구결과

      본 연구는 창원시에서의 아토피 피부염 발생원인과 예방연구를 주제로 아토피 피부염에 관한 문헌조사 및 국내외 연구동향에 대한 문헌고찰을 실시하였으며, 국민건강의료관리공단으로부터 건강보험 관련 자료 중 아토피 피부염에 관한 자료를 수집하여 아토피 피부염과 관련한 수진율 등 기초통계자료를 조사하였으며, 창원시 유아보육시설을 대상으로 아토피 피부염과 관련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창원시에서의 아토피 피부염에 대한 유병률,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 영향 인자 등을 조사하였으며, 창원시에서 추후 아토피 피부염 등 환경성 질환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추진해야 할 정책 등을 국내 지자체 및 외국의 추진사례 등에 대하여 조사하여 정책 방향을 제안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기초자료통계조사

      첫째, 국민 건강보험공단의 아토피 피부염 관련 유병률을 조사한 결과 5세 남아를 제외하고는 전국 평균 유병률보다 낮았다.
      둘째, 2003년에서 2007년까지의 유병률을 창원시의 행정구역 별로 비교한 결과 사파동이 가장 높은 14.9%였으며, 동읍 12.4%, 봉림동과 상남동 11.5%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초자료통계조사와 설문조사 결과를 비교하여 2007년에 비해 2008년에 아토피 피부염에 대한 남, 녀 아동의 유병률이 증가하였다.

      (2) 설문조사

      ○ 창원시 5~7세의 아동에 대한 아토피 유병률은 9.6% 수준으로 전국 평균보다 낮았으며 대체적으로 남아보다는 여야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 연령별 유병률은 연령이 증가할수록 현저히 감소하는 경향으로 나타났다.
      ○ 아토피 피부염의 처음 발생 연령은 2세 이내가 64%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 부모가 아토피 피부염이 있는 경우의 자녀에서 나타나는 아토피 피부염 유병률은 아토피가 없는 부모의 경우보다 높게 나타나 아토피 피부염은 유전적인 영향이 큰 것으로 조사되었다.
      ○ 부모의 학력이 높을수록 모유수유를 하지 않는 경우에 자녀의 아토피 피부염 발생률이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 주거환경에 대한 영향 중 에어컨이 없는 경우, 습한 환경, 실내 흡연에 대해서 자녀의 아토피 피부염 발생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전문적인 치료유무를 묻는 답변에 26.6%가 치료를 받은 적이 없다고 응답하여 체계적인 아토피 대책의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3) 행정적인 대책 제언

      ○ 치료중심에서 예방중심 정책으로 전환
      ○ 어린이 건강관련 부서 통합 관리 및 전담기구 설치
      ○ 환경성 질환의 유병률 및 발생 원인에 대한 정기적 조사
      ○ 환경오염노출 어린이 위험인구 감소노력
      ○ 어린이 환경성질환 통계자료 구축 및 교육홍보 강화
      ○ 어린이의 활동 공간 및 시설에 대한 창원시의 관리 기준 마련
      ○ 환경성 질환자 지원 및 치료강화
      ○ 환경성 질환에 대한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활성화

      4. 활용계획

      향후 아토피 피부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인자에 대한 연구에 참고 자료가 될 수 있으며 특히 아토피 피부염의 원인에 대한 조사 시 아파트 등 거주형태의 차이, 건축연령, 공해, 소음, 스트레스 등의 다른 외부 요인 등의 항목에 대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또한 아토피 피부염의 실태와 유발 및 위험 인자를 파악함으로써 아토피 피부염의 병인, 치료/관리와 관련한 정확한 정보제공 및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활용할 수 있다. 교육프로그램을 통해 보호자와 교사들의 관심과 지식을 향상시켜, 질환의 조기 진단 및 올바른 자기관리 능력 강화 도모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창원 지역의 유소아 아토피 환아와 가족의 생활습관 및 환경요소와 아토피 피부염의 관련성에 대한 통계학적 자료를 바탕으로 아토피 피부염에 소요되는 의료비용 등을 줄이기 위한 창원시 등 행정부의 정책을 수립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5. 연 구 중 심 어
      아토피성피부염, 어린이, 창원, 유병률, 위험요인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revalence Rate and Etiologic Risk Factors of Atopic Dermatitis in the Preschool Children in Changwon


      JONG KEUN LEE

      College of Natural Sciences, Changwon National University,
      9 Sarim-dong, Changwon, Gyeongnam 641-773, Korea

      <Abstract>

      Backgrounds: In the past decade there has been increasing concern about the atopic dermatitis(AD) associated with environmental diseases. The incidence of AD has been increased and known as one of the multi factoral diseases, which has the genetic background and environmental factors at the same time.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revalence and etiologic risk factors of atopic dermatitis in preschool children in one of Korean cities, Changwon, Gyungnam.
      Methods: We reviewed and analyzed statistical data base, collected from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Korea, related to diagnosis rate by age and administrative district. A cross-sectional ISAAC (International Study of Allergy and Asthma in Childhood) based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random samples of preschool children(5 to 8 years old) of large sized kindergartens in Changwon.
      Results: The lifetime and last one years prevalence of AD in preschool children in Changwon was increased from 1998 to 2008. The prevalence rate of AD in the preschool children in Changwon city was 9.6%. The prevalence rate in boys was 9.7% and that in girls was 9.4%. The one year prevalence of AD was ranked as middle among other provincial cities in Korea in 2008.
      Conclusions: This study showed that the prevalence rate of the atopic disease in Changwon was % in 2008, which was increased especially compare to 2000. More active governmental approaches for control and prevention of atopic dermatitis in children are needed. Further studies are needed for accurate estimation of the prevalence of AD in Korea including different regional and age population.
      Key words:Atopic dermatitis, Changwon, Children, Prevalence, Risk factor
      번역하기

      Prevalence Rate and Etiologic Risk Factors of Atopic Dermatitis in the Preschool Children in Changwon JONG KEUN LEE College of Natural Sciences, Changwon National University, 9 Sarim-dong, Changwon, Gyeongnam 641-773, Korea <Abstract> Back...

      Prevalence Rate and Etiologic Risk Factors of Atopic Dermatitis in the Preschool Children in Changwon


      JONG KEUN LEE

      College of Natural Sciences, Changwon National University,
      9 Sarim-dong, Changwon, Gyeongnam 641-773, Korea

      <Abstract>

      Backgrounds: In the past decade there has been increasing concern about the atopic dermatitis(AD) associated with environmental diseases. The incidence of AD has been increased and known as one of the multi factoral diseases, which has the genetic background and environmental factors at the same time.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revalence and etiologic risk factors of atopic dermatitis in preschool children in one of Korean cities, Changwon, Gyungnam.
      Methods: We reviewed and analyzed statistical data base, collected from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Korea, related to diagnosis rate by age and administrative district. A cross-sectional ISAAC (International Study of Allergy and Asthma in Childhood) based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random samples of preschool children(5 to 8 years old) of large sized kindergartens in Changwon.
      Results: The lifetime and last one years prevalence of AD in preschool children in Changwon was increased from 1998 to 2008. The prevalence rate of AD in the preschool children in Changwon city was 9.6%. The prevalence rate in boys was 9.7% and that in girls was 9.4%. The one year prevalence of AD was ranked as middle among other provincial cities in Korea in 2008.
      Conclusions: This study showed that the prevalence rate of the atopic disease in Changwon was % in 2008, which was increased especially compare to 2000. More active governmental approaches for control and prevention of atopic dermatitis in children are needed. Further studies are needed for accurate estimation of the prevalence of AD in Korea including different regional and age population.
      Key words:Atopic dermatitis, Changwon, Children, Prevalence, Risk factor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 차
      • 목 차 ⅰ
      • 표 차례 ⅴ
      • 그림 차례 ⅵ
      • 목 차
      • 목 차 ⅰ
      • 표 차례 ⅴ
      • 그림 차례 ⅵ
      • Ⅰ. 서 론
      • 1. 아토피 피부염(Atopic Dermatitis) 1
      • 1) 아토피 피부염의 정의와 발생기전 1
      • 2) 아토피 피부염의 원인 5
      • 3) 아토피 피부염의 대책 및 치료 6
      • 2. 연구동향 9
      • 1) 외국 연구동향 9
      • 2) 국내 연구동향 12
      • 3. 연구 필요성 15
      • 4. 연구 목적 17
      • Ⅱ. 연구내용 및 방법
      • 1. 연구 내용 18
      • 2. 연구 방법 18
      • 1) 설문조사 18
      • 2) 자료분석 19
      • Ⅲ. 연구결과 및 고찰
      • 1. 창원시 학동전기 소아의 아토피 유병률 20
      • 1) 창원시 2003∼2007년 5∼7세 아동들의 아토피 진료현황 20
      • 2) 전국 시도별 기초자료통계조사 결과 21
      • 3) 주요 시·도와 창원시의 5∼7세 남&#8729;녀 아동들의 평균 유병률 비교 23
      • 4) 기관대상 설문조사 결과 25
      • 5) 설문조사 결과와 국민건강보험공단의 자료분석 결과 비교 27
      • 6) 창원시의 도시와 농촌지역별 분석 결과 27
      • 2. 아토피 질환의 위험인자 28
      • 1) 일반적 특성 29
      • (1) 설문조사 결과 환아의 일반적 특성 30
      • (2) 부모의 출생지별에 따른 자녀의 아토피 피부염 발생률 31
      • (3) 자녀의 출생지별 아토피 피부염 발생률 32
      • (4) 부모의 학력에 따른 아토피 피부염 발생률 32
      • 2) 유전적 특성 34
      • (1) 부모의 아토피 피부염 유·무에 따른 자녀의 발생률 34
      • (2) 모유 수유별에 다른 자녀의 아토피 피부염 발생률 35
      • 3) 환경적 특성 37
      • (1) 실내 흡연과 자녀의 아토피 피부염 발생률 37
      • (2) 가정 에어컨의 유&#8729;무에 따른 아토피 피부염 발생률 37
      • (3) 실내 습한 환경과 자녀의 아토피 피부염 발생률 38
      • (4) 실내 곰팡이와 자녀의 아토피 피부염 발생률 39
      • (5) 자녀의 침구류에 따른 아토피 피부염 발생률 40
      • (6) 집주변 환경에 따른 자녀의 아토피 피부염 발생률 41
      • (7) 자녀의 운동 횟수에 따른 아토피 피부염 발생률 42
      • (8) 자녀의 음식 섭취별 아토피 피부염 발생률 1 43
      • (9) 자녀의 음식 섭취별 아토피 피부염 발생률 2 44
      • (10)자녀의 음식 섭취별 아토피 피부염 발생률 3 44
      • (11)자녀의 음식 섭취별 아토피 피부염 발생률 4 45
      • (12) 아토피 피부염 아동의 약의 복용 여부 46
      • (13) 아토피 피부염 아동의 치료 경험 47
      • (14) 아토피 피부염 아동의 치료 기관 47
      • 4) 위험인자 48
      • 3. 환경성 질환의 관리방안 50
      • Ⅳ. 결 론 65
      • 1. 기초통계자료조사 결과 65
      • 2. 설문조사 결과 66
      • 3. 연구 결과를 통한 창원시의 행정 대책 제언 67
      • 참고문헌 69
      • Abstract 78
      • 부 록 7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