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해방 후 평양 감리교인의 월남과 교회 재건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46342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평양은 기독교가 크게 성행한 북한 지역 선교의 중심지였다. 감리교는 선교초기부터 이곳에서 선교를 시작하였다. 그 후 전도사업과 의료사업, 교육사업을 통해 그 기반을 넓히면서 성공적으로 성장하였다. 그러나 일제 말기 친일교단의 횡포로 신앙이 훼손되고 교회가 폐쇄되는 등 심각한 시련과 위기를 당했다.
      해방 이후 이 같은 문제들을 극복하기 위해 교회 재건운동이 전개되었다. 그러나 평양을 비롯한 북한 지역에서는 교회 재건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교회 재건을 위한 교회의 노력이 시작되기도 전에 소련군이 북한 지역에 진주하고 친소적인 북한 정권이 들어섰기 때문이다. 이후 북한 지역의 교회는 북한 정권과 갈등, 대립하게 되고 박해를 당하게 되었다.
      이 같은 상황의 변화로 인해 대다수의 북한 지역의 교역자와 교인들은 북한 정권의 박해를 피해 남한 지역으로 피난하게 되었다. 피난 나온 감리교 교역자와 교인들은 곳곳으로 흩어져 생활하면서 지역의 기존 교회에 흡수되어 신앙을 이어갔다. 그러나 그 중의 일부 교인들은 자신이 떠나온 고향을 그리워하면서 같은 고향에서 피난 나온 다른 교인들과 함께 특별한 신앙공동체를 세웠다.
      이 글은 평양에서 피난 나온 감리교인들이 세운 대표적인 교회인 남산교회, 시온교회 그리고 성화교회의 설립과 발전 과정을 살펴본 것이다. 이들 교회들은 각각 다른 시기, 곧 남산교회는 해방 직후인 1945년 12월에, 시온교회는 6.25전쟁 시기인 1951년 10월에, 성화교회는 피난 나온 사람들이 하나둘씩 사라져 가는 시기인 1994년 9월에 설립되었다. 그렇지만 이 교회들은 모두 하나님을 예배하는 신앙의 장소뿐 아니라 피난 나온 사람들이 모이는 만남의 장소로 역할하였다.
      그러나 이 글에서는 미처 밝히지 못한 부분들도 있다. 피난 나온 감리교인들이 남한 지역에 설립한 이들 세 교회에서 평양 지역 감리교회의 역사적, 신앙적 전통과 유산을 잇는다는 분명한 목적을 찾기는 어려웠다. 그리고 그들이 설립한 교회가 한국교회사에서 어떤 의미를 갖는 것인가 하는 것과 민족통일을 위해 어떤 역할을 해야 할 것인가도 앞으로 더 연구되어야 할 과제이다.
      번역하기

      평양은 기독교가 크게 성행한 북한 지역 선교의 중심지였다. 감리교는 선교초기부터 이곳에서 선교를 시작하였다. 그 후 전도사업과 의료사업, 교육사업을 통해 그 기반을 넓히면서 성공적...

      평양은 기독교가 크게 성행한 북한 지역 선교의 중심지였다. 감리교는 선교초기부터 이곳에서 선교를 시작하였다. 그 후 전도사업과 의료사업, 교육사업을 통해 그 기반을 넓히면서 성공적으로 성장하였다. 그러나 일제 말기 친일교단의 횡포로 신앙이 훼손되고 교회가 폐쇄되는 등 심각한 시련과 위기를 당했다.
      해방 이후 이 같은 문제들을 극복하기 위해 교회 재건운동이 전개되었다. 그러나 평양을 비롯한 북한 지역에서는 교회 재건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교회 재건을 위한 교회의 노력이 시작되기도 전에 소련군이 북한 지역에 진주하고 친소적인 북한 정권이 들어섰기 때문이다. 이후 북한 지역의 교회는 북한 정권과 갈등, 대립하게 되고 박해를 당하게 되었다.
      이 같은 상황의 변화로 인해 대다수의 북한 지역의 교역자와 교인들은 북한 정권의 박해를 피해 남한 지역으로 피난하게 되었다. 피난 나온 감리교 교역자와 교인들은 곳곳으로 흩어져 생활하면서 지역의 기존 교회에 흡수되어 신앙을 이어갔다. 그러나 그 중의 일부 교인들은 자신이 떠나온 고향을 그리워하면서 같은 고향에서 피난 나온 다른 교인들과 함께 특별한 신앙공동체를 세웠다.
      이 글은 평양에서 피난 나온 감리교인들이 세운 대표적인 교회인 남산교회, 시온교회 그리고 성화교회의 설립과 발전 과정을 살펴본 것이다. 이들 교회들은 각각 다른 시기, 곧 남산교회는 해방 직후인 1945년 12월에, 시온교회는 6.25전쟁 시기인 1951년 10월에, 성화교회는 피난 나온 사람들이 하나둘씩 사라져 가는 시기인 1994년 9월에 설립되었다. 그렇지만 이 교회들은 모두 하나님을 예배하는 신앙의 장소뿐 아니라 피난 나온 사람들이 모이는 만남의 장소로 역할하였다.
      그러나 이 글에서는 미처 밝히지 못한 부분들도 있다. 피난 나온 감리교인들이 남한 지역에 설립한 이들 세 교회에서 평양 지역 감리교회의 역사적, 신앙적 전통과 유산을 잇는다는 분명한 목적을 찾기는 어려웠다. 그리고 그들이 설립한 교회가 한국교회사에서 어떤 의미를 갖는 것인가 하는 것과 민족통일을 위해 어떤 역할을 해야 할 것인가도 앞으로 더 연구되어야 할 과제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yeongyang was the center of mission in North Korea where christianity was largely prevalent. Methodist church began medical, educational and evangelistic works in 1892. They grown up successfully in that area. However, they faced a serious trials and crisis by the pro-Japanese administrative cabinet of the Korean methodist church controlled by Japanese government in the last days of Japanese militaristic totalitarianism, for example, not a few of churches were closed.
      After national liberation of 1945, they tried to reconstruct the churches, but was not properly in North Korea including Pyeongyang. Because Soviet Army had seized North Korea before they started to reconstruct churches. Since that time churches in North Korea were conflicted with North Korea government and suffered persecution by them.
      For this reason, most of methodists in North Korea defected to South Korea. They spreaded all over the country, and kept their faith in regional churches. But some of methodists founded christian community with the other members those who defected from the same region.
      As representative of the churches, Namsan Methodist Church, Zion Methodist Church and Seong Hwa Methodist Church were founded by methodists who defected from Pyeongyang. This article describes how these were established and have been developed. For example, these were established at different times, Namsan Methodist Church was after national liberation in December 1945, Zion Methodist Church was during the Korean War in October 1951, and Seong Hwa Methodist Church was founded in September 1994 when the defectors were already disappearing in history. However, these churches were not only for service, but also a meeting place for them.
      This article is still a few points that it figured out yet. For example, do the methodists have a purpose for following their heritage and tradition through these churches? Also we need to study more about what these churches have meaning in the history of the korean church and what they should do for reunification of Korea.
      번역하기

      Pyeongyang was the center of mission in North Korea where christianity was largely prevalent. Methodist church began medical, educational and evangelistic works in 1892. They grown up successfully in that area. However, they faced a serious trials and...

      Pyeongyang was the center of mission in North Korea where christianity was largely prevalent. Methodist church began medical, educational and evangelistic works in 1892. They grown up successfully in that area. However, they faced a serious trials and crisis by the pro-Japanese administrative cabinet of the Korean methodist church controlled by Japanese government in the last days of Japanese militaristic totalitarianism, for example, not a few of churches were closed.
      After national liberation of 1945, they tried to reconstruct the churches, but was not properly in North Korea including Pyeongyang. Because Soviet Army had seized North Korea before they started to reconstruct churches. Since that time churches in North Korea were conflicted with North Korea government and suffered persecution by them.
      For this reason, most of methodists in North Korea defected to South Korea. They spreaded all over the country, and kept their faith in regional churches. But some of methodists founded christian community with the other members those who defected from the same region.
      As representative of the churches, Namsan Methodist Church, Zion Methodist Church and Seong Hwa Methodist Church were founded by methodists who defected from Pyeongyang. This article describes how these were established and have been developed. For example, these were established at different times, Namsan Methodist Church was after national liberation in December 1945, Zion Methodist Church was during the Korean War in October 1951, and Seong Hwa Methodist Church was founded in September 1994 when the defectors were already disappearing in history. However, these churches were not only for service, but also a meeting place for them.
      This article is still a few points that it figured out yet. For example, do the methodists have a purpose for following their heritage and tradition through these churches? Also we need to study more about what these churches have meaning in the history of the korean church and what they should do for reunification of Korea.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머리말
      • Ⅱ. 서부연회의 재건과 수난
      • Ⅲ. 평양지역 감리교인의 월남과 교회 설립
      • Ⅳ. 맺음말
      • 참고문헌
      • Ⅰ. 머리말
      • Ⅱ. 서부연회의 재건과 수난
      • Ⅲ. 평양지역 감리교인의 월남과 교회 설립
      • Ⅳ. 맺음말
      • 참고문헌
      • 한글초록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계준, "희망을 낳는 자유" 한들출판사 2005

      2 김흥수, "해방후 북한교회사" 다산글방 1992

      3 김흥수, "한국전쟁과 기복신앙확산연구"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1999

      4 김양선, "한국기독교해방10년사" 대한예수교장로회총회 종교교육부 1956

      5 한국기독교역사학회, "한국기독교의 역사 III"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2009

      6 유동식, "한국감리교회의 역사" 기독교대한감리회 1994

      7 윤춘병, "한국감리교 교회성장사" 감리교출판사 1997

      8 평양 성화신학교 동문회, "한국 교회 교육의 선구자" 한들출판사 2002

      9 한승호, "하나님 미워" 다울 2001

      10 평양 요한학교 동문회, "평양요한학교와 이환신 교장" 평양요한학교 동문회 2003

      1 이계준, "희망을 낳는 자유" 한들출판사 2005

      2 김흥수, "해방후 북한교회사" 다산글방 1992

      3 김흥수, "한국전쟁과 기복신앙확산연구"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1999

      4 김양선, "한국기독교해방10년사" 대한예수교장로회총회 종교교육부 1956

      5 한국기독교역사학회, "한국기독교의 역사 III"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2009

      6 유동식, "한국감리교회의 역사" 기독교대한감리회 1994

      7 윤춘병, "한국감리교 교회성장사" 감리교출판사 1997

      8 평양 성화신학교 동문회, "한국 교회 교육의 선구자" 한들출판사 2002

      9 한승호, "하나님 미워" 다울 2001

      10 평양 요한학교 동문회, "평양요한학교와 이환신 교장" 평양요한학교 동문회 2003

      11 김명구, "창천교회 100년사" 기독교대한감리회 창천교회 2006

      12 "조선감리회보"

      13 "제1회 서부연회 연회자료"

      14 송길섭, "정동제일교회 구십년사" 기독교대한감리회 정동제일교회 1977

      15 류형기, "은총의 팔십오년 회상기" 한국기독교문화원 1983

      16 안재정, "원로목사 체험수기" 복지문화사 1993

      17 정일형, "오직 한 길로" 을지서적 1991

      18 황령숙, "시온의 여성사" 기독교대한감리회 시온교회 여선교회 1999

      19 "시온교회 연혁"

      20 조이제, "시온교회 50년사" 기독교대한감리회 시온교회 2002

      21 윤춘병, "수난시대의 목회자 이진구 목사" 기독교대한감리회 동부연회본부 1997

      22 윤춘병, "성화가 걸어온 발자취" 성화회 1990

      23 이덕주, "서울연회사 II" 기독교대한감리회 서울연회 2009

      24 한국기독교사회문제연구원, "분단현실과 통일운동" 민중사 1984

      25 일월서각 편집부, "분단전후의 현대사" 일월서각 1983

      26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북한교회사집필위원회, "북한교회사"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1996

      27 이윤영, "백사 이윤영 회고록" 사초 1984

      28 위영룡, "반석교회 50년사" 기독교대한감리회 반석교회 2004

      29 홍기표, "내리백년사" 기독교대한감리회 인천내리교회 1985

      30 "남산소식"

      31 "남산교회소식"

      32 이성삼, "남산교회 50년사" 기독교대한감리회 남산교회 1996

      33 사와 마사히코, "남북한기독교사론" 도서출판 민중사 1997

      34 마경일, "길은 멀어도 그 은총 속에" 전망사 1984

      35 "기독교대한감리회 통합 중부 동부 연합연회회록"

      36 "기독교대한감리회 중부 동부 서부 연합연회 급 총회록"

      37 "기독교대한감리회 제20회 총회 회의록"

      38 "기독교대한감리회 연회회록"

      39 "기독교대한감리회 시온교회 주보"

      40 신창균, "가시밭길에서도 느끼는 행복" 해냄출판사 1997

      41 윤춘병, "8. 15이후 감리교서부연회수난사" 기독교대한감리교 원로목사회 1987

      42 장병욱, "6. 25공산남침과 교회" 한국교육공사 198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4-21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Society For Korean Church History -> The Society of the History of Christianity in Korea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3 0.43 0.5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 0.64 0.945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