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침례교는 미국 보스턴의 클라렌돈교회가 세운 ‘엘라딩기념선교회’의 선교 활동을 그 기원으로 한다. 그 선교회는 1895년 봄 에드워드 폴링을 시작으로 모두 7명의 선교사를 한국에 파...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463421
2015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5-44(40쪽)
3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한국 침례교는 미국 보스턴의 클라렌돈교회가 세운 ‘엘라딩기념선교회’의 선교 활동을 그 기원으로 한다. 그 선교회는 1895년 봄 에드워드 폴링을 시작으로 모두 7명의 선교사를 한국에 파...
한국 침례교는 미국 보스턴의 클라렌돈교회가 세운 ‘엘라딩기념선교회’의 선교 활동을 그 기원으로 한다. 그 선교회는 1895년 봄 에드워드 폴링을 시작으로 모두 7명의 선교사를 한국에 파송하였다. 폴링은 서울에 스테이션을 설치하고 전도에 나섰지만 머지않아 새로운 기회가 찾아 왔다. 남장로교선교부로부터 충청도를 선교 구역으로 인계 받게 된 것이다.
구전에 의하면 폴링은 1896년 봄 그의 조사와 함께 강경을 방문하여 예배를 드렸다고 한다. 폴링이 강경에 정착한 것은 1898년 상반기였다. 폴링에 이어 1896년 제2진 선교사로 내한한 스테드맨은 1897년 가을 공주에 정착하였다. 폴링은 그 전에 사두었던 옥녀봉 일대의 땅을 매입한 후 자신의 주택을 지어 생활하였다. 이듬해까지 폴링은 10여 명의 침례교인을 얻을 수 있었다.
1899년 한국을 떠난 폴링을 이어 스테드맨이 강경으로 와서 사역을 계속하였다. 1900년 그는 모두 12명의 침례교인을 확보하였다. 그들에게 침례를 준 이는 남장로교 선교사 윌리엄 불이었는데, 칠산교회는 이렇게 시작되었다. 1901년 스테드맨이 철수한 후 강경교회와 칠산교회의 교인 40~50명은 매주일 배를 타고 오가며 번갈아 함께 예배드렸다. 하지만 얼마 가지 않아 강경ㆍ칠산교회는 갈등에 휩싸였다. 스테드맨의 복귀가 지연되자 장로교에 가입하자고 주장하는 이들이 생겨났기 때문이다. 결국 그들은 1905년 초왕장로교회를 세웠다.
1901년 엘라딩선교회의 인적ㆍ물적 자원을 인수받은 원산의 펜윅은 그 후 한국인 사역자 신명균을 투입하여 공주와 강경에서 활동하게 하였다. 신명균은 그 후 2년 동안 스테드맨의 사역을 바탕으로 12개의 교회를 세웠다. 1906년 그 숫자는 31개로 늘었다.
1920년대 강경교회의 교인수는 대개 80여 명 정도였다. 그래서 스테드맨에 의해 개조되었던 한옥 예배당에 이어 정사각형의 교회를 새로 지었다. 그 사이 강경교회를 담당했던 사역자로는 김용제와 김용해 등이 있다. 그리고 1936년 현재 강경침례교회의 교인 수는 46명이었다.
일제는 1939년 폴링에 의해 조성되었던 강경교회 토지 중 일부를 강경신사 부지로 편입시켰다. 일제 말기 강경 신사 확장을 위해 그렇게 한 것이다. 그리고 다시 1943년 나머지 대부분의 토지마저 증여 형식을 통해 강경신사로 소유권이 이전되었다. 모든 재산을 강탈당한 강경교회는 결국 1944년 폐쇄되었고, 이제 해방 이후 새로운 역사를 고대하게 되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orean Baptist Church has its origin in the missionary activities of "Ella Thing Memorial Mission" established by Clarendon Street Church in Boston, U. S. A. The mission dispatched total seven missionaries to Korea, starting with Edward C. Pauling in ...
Korean Baptist Church has its origin in the missionary activities of "Ella Thing Memorial Mission" established by Clarendon Street Church in Boston, U. S. A. The mission dispatched total seven missionaries to Korea, starting with Edward C. Pauling in the spring of 1895. Pauling set up a station in Seoul and began his propagation activities, facing a new opportunity soon. He had Chungcheong Province transferred to him as his new missionary area by Southern Presbyterian Mission.
Word of mouth tells that Pauling visited Ganggyeong with his helper and attended a service there in the spring of 1896. It was in the first half of 1898 that he settled down in Ganggyeong. Following him, Fredrick W. Steadman visited Korea as a member of the second missionary group in 1896 and settled down in Gongju in the autumn of 1897. In Ganggyeong, Pauling purchased a piece of land in Oknyeobong, built his home, and lived there. The number of his Baptists amounted to ten by the next year.
After Pauling left Korea in 1899, Steadman moved to Ganggyeong and continued his ministry. He secured total 12 Baptists by 1900. It was William F. Bull, a missionary of Southern Presbyterian Church, that gave them baptism by immersion. It was how Chilsan Church started. After Steadman"s withdrawal in 1901, 40~50 members of Ganggyeong Church and Chilsan Church came and went by boat and had a service in turn every week. The two churches, however, got involved in conflicts soon. As Steadman"s return was postponed, some of the members claimed to join Presbyterian Church. They eventually set up Chowang Presbyterian Church in 1905.
Taking over the human and physical resources of “Ella Thing Memorial Mission” in 1901, Malcolm C. Fenwick put a Korean missionary named Shin Myeong-gyun in the missionary work and let him do his work in Gongju and Ganggyeong. Shin set up 12 churches based on Steadman"s ministry in the following two years. The number increased to 31 by 1906.
The congregation of Ganggyeong Church had approximately 80 members in the 1920s. They built a new church in a square shape in addition to the old Korean-style chapel renovated by Steadman. The ministers that were in charge of Ganggyeong Church those days were Kim Yong-je and Kim Yong-hae. The congregation of Ganggyeong Church amounted to 46 by 1936.
The ruling Japanese had a section of Ganggyeong Church"s land established by Pauling incorporated into the site of Ganggyeong Shrine in 1939 to expand the shrine in the final days of Japanese ruling. The ownership for most of the church"s remaining land was transferred to Ganggyeong Shrine in the form of bestowal in 1943. Ganggyeong Church had all of its property extorted, closed down in 1944 in the end, and looked forward to a new history after Liberation.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회보대금영수" 1911
2 허긴, "한국침례교회사" 침례신학대학교출판부 1999
3 전은식, "한국 침례교 선교 근원지에 대한 역사적 연구" 침례신학대학 신학대학원 2000
4 박창근, "한국 최초의 침례교회" 35 (35): 1992
5 박창근, "한국 최초의 침례 가문-강경침례교회-지병석 총장" 35 (35): 1992
6 "토지대장-충청남도 논산시 강경읍 북옥동 (1998년 5월 2일, 충청남도 논산시)"
7 "제적등본-충청남도 논산시 강경읍 북옥리 136번지 지병석(2006년 8월 1일, 충청남도 논산시)"
8 이덕주, "서울연회사Ⅰ" 기독교대한감리회 서울연회 2007
9 김용해, "대한기독교침례회사" 대한기독교침례회총회 1964
10 장일수, "기독교대한침례회약사(칠산침례교회 조용호 목사 제공)"
1 "회보대금영수" 1911
2 허긴, "한국침례교회사" 침례신학대학교출판부 1999
3 전은식, "한국 침례교 선교 근원지에 대한 역사적 연구" 침례신학대학 신학대학원 2000
4 박창근, "한국 최초의 침례교회" 35 (35): 1992
5 박창근, "한국 최초의 침례 가문-강경침례교회-지병석 총장" 35 (35): 1992
6 "토지대장-충청남도 논산시 강경읍 북옥동 (1998년 5월 2일, 충청남도 논산시)"
7 "제적등본-충청남도 논산시 강경읍 북옥리 136번지 지병석(2006년 8월 1일, 충청남도 논산시)"
8 이덕주, "서울연회사Ⅰ" 기독교대한감리회 서울연회 2007
9 김용해, "대한기독교침례회사" 대한기독교침례회총회 1964
10 장일수, "기독교대한침례회약사(칠산침례교회 조용호 목사 제공)"
11 김흥경, "교회통신"
12 남주희, "강경침례교회자료집" 기독교한국침례회 강경교회 2007
13 이정수, "韓國浸禮敎會史" 침례회출판사 1996
14 "“Missions,” Christian Observer(Nov. 1900)"
15 "The Missionary(남장로교 선교 잡지)"
16 "The Ella Thing Memorial Mission" 1896
17 "Reports of the Southern Presbyterian Mission in Korea(남장로교 한국선교부연례회의록 보고서)"
18 Rev. F. W. Steadman, "Our Work in Korea" 1905
19 "Annual Report of the Executive Committee of Foreign Missions of the Presbyterian Church in the Unites States(미국 남장로교 해외선교실행위원회 연례보고서)" 1897
남장로교의 전주 신흥학교ㆍ기전여학교 설립과 발전(1901-1937)
재일대한기독교회에서 한국교회 파견목사의 지위 변천 과정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5-04-21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Society For Korean Church History -> The Society of the History of Christianity in Korea | ![]() |
2013-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3 | 0.43 | 0.5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 | 0.64 | 0.945 | 0.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