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은 그 동안 거의 알려져 있지 않았던 일차 사료들을 심도 있게 분석하여 한국 최초의 개신교 선교사로 임명되었던 헤론의 집안 배경 및 내한 과정을 밝힌 것이다. 헤론은 부모가 독...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463425
2015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151-181(31쪽)
2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그 동안 거의 알려져 있지 않았던 일차 사료들을 심도 있게 분석하여 한국 최초의 개신교 선교사로 임명되었던 헤론의 집안 배경 및 내한 과정을 밝힌 것이다. 헤론은 부모가 독...
이 논문은 그 동안 거의 알려져 있지 않았던 일차 사료들을 심도 있게 분석하여 한국 최초의 개신교 선교사로 임명되었던 헤론의 집안 배경 및 내한 과정을 밝힌 것이다.
헤론은 부모가 독실한 신앙을 가진 집안에서 장남으로 태어났으며, 부친은 영국 회중교회 목사 출신으로, 미국 장로교회 목사였다. 헤론은 모든 일에 꼼꼼하고 모범생 타입이었지만, 집념이 강하고 너무 작은 일까지 완벽하게 처리하려는 경향이나, 불편한 일을 쉽게 잊지 못하고 마음속에 꾹 참고 지내는 경향도 나타내었다.
헤론은 메리빌대학을 중퇴하고 의과대학 학비를 마련하기 위해 5년 동안 교사 생활을 하다가 테네시대학교 의학부에 입학하였다. 1883년 수석으로 졸업한 헤론이 개업을 했던 존스보로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점에서 헤론의 인생에 매우 중요한 곳이었다.
첫째, 헤론이 의료 선교사로 자원하는데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 리아 부인과의 만남이었다.
둘째, 그곳에서 동업을 했던 깁슨의 딸 해리엇과의 만남이다.
훌륭한 의사로서 선교 사역을 이해하는 배우자를 만난 헤론의 선교사 임명은 순조롭지가 않았다. 우선 1883년 5월 2일자 헤론의 선교사 자원은 싱겁게 철회되었고, 엘린우드가 헤론을 불신하게 된 단초를 제공하였다. 이후 한국 선교 개시와 관련된 이수정의 편지, 맥윌리엄스에 의한 5천 달러의 기부가 이루어지면서 1884년 4월 28일 헤론이 최초의 한국 선교사로 임명되었다.
하지만 중국에 파송되었던 알렌이 한국 선교사로 임명되었고, 헤론은 9월 부터 뉴욕 의학대학원에서 연수를 받았다. 그리고 1885년 2월 2일 한국행이 결정되자, 헤론은 4월 23일 해리엇과 결혼하였고, 5월 9일 샌프란시스코를 출발하여 일본에 잠시 체류한 후, 6월 20일 제물포에 도착하였다. 선교사로 임명된 지 1년이 넘어 선교지에 도착한 것이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deals with the familial backgrounds and process of Dr. John W. Heron"s coming to Korea by careful analysis of primary data scarcely used in the previous studies. Dr. Heron was the eldest son in a devoted Christian family. His father wa...
This article deals with the familial backgrounds and process of Dr. John W. Heron"s coming to Korea by careful analysis of primary data scarcely used in the previous studies.
Dr. Heron was the eldest son in a devoted Christian family. His father was a pastor of an English Congregational Church, and a Presbyterian Church in the U. S. A. of the time. Dr. Heron was a meticulous person with strong devotion and sometimes would show a tendency to focus on too much details and had hard time letting go of past events.
Dr. Heron left the Maryville College halfway, and worked as a teacher for 5 years to save funds for entering Medical College. He entered the Medical Department of Tennessee University in 1881, and graduated with honours in 1883. He opened a clinic at Jonesboro, Tennessee, where gave special meanings to his life.
Dr. Heron met Mrs. Rhea in Jonesboro, who influenced him the most becoming a medical missionary, and also Miss Harriett E. Gibson, the daughter of his partner Dr. Gibson. Harriett had a good understanding on the importance of missionary duty.
The appointment of Dr. Heron as a missionary by Presbyterian Church, U. S. A. went not smoothly. Dr. Heron expressed his intention for a foreign missionary in the letter of May 2, 1883. But it was easily withdrawn by himself, and gave Dr. Frank F. Ellinwood, the Secretary, a reason to distrust Dr. Heron.
Mr. Rijutei, the first Korean who baptized in Japan, sent an appeal to the American Church asking the starting of missionary work by American in Dec. 1883. This letter moved the mind of Mr. David W. McWilliams, who executed a will of Late Frederick Marquand, to donate $5,000 for the opening of Korea as a new mission field. This event facilitated the appointment of Dr. Heron as a first medical missionary to Korea on April 28, 1884.
However, Dr. Horace N. Allen, who was dispatched to China in October 1883, was transferred to Korea in September 1884. The Board of Foreign Missions provided Dr. Heron took the course at New York Postgraduate Medical School from September 1884. Dr. Heron finished the course with excellent scores, and took a position of Associate Physician of Almshouse Hospital of Blackwell Island, New York.
The Board of Foreign Missions decided to send Dr. Heron to Korea on February 2, 1885. After finishing the work at Almshouse Hospital, Dr. Heron married to Miss Harriet E. Gibson on April 23, and arrived at his mission field, Chemulpho, on the 20th of June.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헤론, "헤론 의사의 선교 편지(1885~1890)" 장로회신학대학교 부설 한국교회사연구원 2007
2 김동건, "제중원 2대 원장 헤론(John W. Heron, M. D.)의 생애" 9 : 205-211, 2000
3 박형우, "알렌의 의료 선교사 지원과 내한 배경" 한국기독교역사학회 (40) : 191-218, 2014
4 Frank F. Ellinwood, "Letter to John W. Heron(Jonesboro, Tenn.) (Apr. 28th, 1884). PHS RG 31 44-13, #276"
5 "John William Heron, M. D., The Medical Missionary Record 5"
6 T. H. McConnell, "John W. Herron, M. D., Missionary" 2 (2): 100-102, 1900
7 Daniel L. Gifford, "John W. Heron, M. D" 4 : 441-443, 1897
8 "Catalogue of the Officers And Students of Maryville College, East Tennessee, For the Academic Year 1873~1874" O. B. Smith & Co., Booksellers And Publishers 1874
9 "Announcement of the Spring and Special Course of Instruction 1881"
10 이선호, "19세기 말 미국 북 장로회의 한국 선교 추진 과정에 대한 연구" 국학연구원 (157) : 279-325, 2012
1 헤론, "헤론 의사의 선교 편지(1885~1890)" 장로회신학대학교 부설 한국교회사연구원 2007
2 김동건, "제중원 2대 원장 헤론(John W. Heron, M. D.)의 생애" 9 : 205-211, 2000
3 박형우, "알렌의 의료 선교사 지원과 내한 배경" 한국기독교역사학회 (40) : 191-218, 2014
4 Frank F. Ellinwood, "Letter to John W. Heron(Jonesboro, Tenn.) (Apr. 28th, 1884). PHS RG 31 44-13, #276"
5 "John William Heron, M. D., The Medical Missionary Record 5"
6 T. H. McConnell, "John W. Herron, M. D., Missionary" 2 (2): 100-102, 1900
7 Daniel L. Gifford, "John W. Heron, M. D" 4 : 441-443, 1897
8 "Catalogue of the Officers And Students of Maryville College, East Tennessee, For the Academic Year 1873~1874" O. B. Smith & Co., Booksellers And Publishers 1874
9 "Announcement of the Spring and Special Course of Instruction 1881"
10 이선호, "19세기 말 미국 북 장로회의 한국 선교 추진 과정에 대한 연구" 국학연구원 (157) : 279-325, 2012
남장로교의 전주 신흥학교ㆍ기전여학교 설립과 발전(1901-1937)
재일대한기독교회에서 한국교회 파견목사의 지위 변천 과정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5-04-21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Society For Korean Church History -> The Society of the History of Christianity in Korea | ![]() |
2013-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3 | 0.43 | 0.5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 | 0.64 | 0.945 | 0.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