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徽文』의 李泰俊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6020006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휘문고보의 교지 『徽文』의 가치는 많은 학교 간행물 중에서도 독보적이다. 『휘문』은 저명한 사학의 재학생들이 제작한 교지라는 점과 방대한 양이 온전하게 보존되었다는 점을 넘어서...

      휘문고보의 교지 『徽文』의 가치는 많은 학교 간행물 중에서도 독보적이다. 『휘문』은 저명한 사학의 재학생들이 제작한 교지라는 점과 방대한 양이 온전하게 보존되었다는 점을 넘어서는 중요성을 지닌다. 『휘문』에는 한국 근현대 문학의 중요 작가들의 학창 시절 글이 다양하게 게재되어 있다는 점 때문에, 문학사 자료로서의 가치가 매우 크다. 약 20여년간 발행되어 총 18호가 전해지는 양적 측면에서, 한국 현대문학의 중요 작가들인 이태준, 정지용, 오장환, 이병기, 박노갑 등의 번역물과 습작기 작품이 다수 게재되어 있다는 자료사적 가치 측면에서 『휘문』의 중요성이 부각된다. 특히 이태준의 전집이나 연구 자료에 수록되지 않았던 『휘문』 제1호에 실린 두 글을 발굴한 것은 이 연구의 성과이다.
      교지 『휘문』에 가장 많은 글을 게재한 작가는 이태준이다. 본격적인 소설가로서의 길을 걷기 이전에 이태준이 남긴 글을 통해 향후 이태준의 문학적 특성의 맹아를 검출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이태준의 학창 시절 글은 큰 의의를 지닌다. 텍스트로 발표가 된 글은 그것이 문학적 완성도를 논할 수 없는 습작기의 작품이라고 해도 무시할 수는 없다. 공식적인 매체에 글을 싣는다는 행위는 문학 행위라는 자의식이 없다면 이루어질 수 없었을 것이다. 글을 통해 자신을 표현한다는 점에서 학창 시절의 글에 대한 자료 정리 및 연구는 이태준 문학의 전체적인 면모를 보다 확실히 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또한 이태준이 남긴 전체 글을 자료로 확보하여 전집의 완결에 도움이 된다는 점 때문에도 『휘문』에 실린 이태준의 글이 갖는 의의는 중요하다. 학생 시절에 썼던 글을 통해 이태준이 한문에 깊은 소양을 지니고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태준이 자신의 소설이나 수필에서 보여준 상고 취미, 골동 애호 경향은 학창 시절부터 싹트고 있었다. 능수능란한 한문 표현, 당대 청년 학생들의 이념적 지향이 응축된 사고의 전개 등이 이태준의 발굴 자료에서 확인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Hwimoon, a school magazine of Hwimoon Gobo(Hwimoon Highschool) is unrivaled among school publications. It has an importance more than that prominent students edited, most of it is well preserved. Its value as an important document for Korean literary ...

      Hwimoon, a school magazine of Hwimoon Gobo(Hwimoon Highschool) is unrivaled among school publications. It has an importance more than that prominent students edited, most of it is well preserved. Its value as an important document for Korean literary history is in that works of major writers of Korean modern literature are appeared in it. Also, Hwimoon is of great value because it had been published for about 20 years and 18 issues are remained, and major writers' translations and early writings of Korean modern literature such as Lee tae-joon, Jeong Ji-yong, Oh Jang-hwan, Lee Byeong-gi, Park No-g'ap are appeared in it. Specially, during this research, two writings of Lee Tae-joon, not included in his complete works or research materials are found in the first issue of Hwimoon.
      Lee Tae-joon published his writings in Hwimoon more than any other writers. His writings in his school days have significant meaning in that his sprout of literary characteristics could be detected from his writings before he took the course as a novelist. Though they were written in his early years and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discuss their completion as a literary work, one should not disregard writings published as a text. Publishing one's works in official media cannot be done without a writer's self-awareness that he or she is participating in literary activities. This research of arranging and studying Lee Tae-joon's works in his school days will contribute to the clarification of overall aspects of his literature because writers express themselves through writings. Also, writings of Lee Tae-joon published in Hwimoon have a great importance in that they will be of help to secure all works by Lee Tae-joon and finish his complete works.
      Lee Tae-joon was well-grounded in Chinese Writing. His respect for tradition and love for antiques expressed in his novels and essays had began to sprout from his school days. His outstanding expressions in Chinese Writing and the development of thought in which ideological inclination of young students of that period is condensed are confirmed in his writings unearthed during this research.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 초록〉
      • Ⅰ. 서론
      • Ⅱ. 본론
      • Ⅲ. 결론
      • 참고 문헌
      • 〈국문 초록〉
      • Ⅰ. 서론
      • Ⅱ. 본론
      • Ⅲ. 결론
      • 참고 문헌
      • Abstract
      • 자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휘문고보 문우회 (1) :

      2 최동호, "한국 근현대 학교 간행물 연구Ⅰ,Ⅱ" 서정시학 2009

      3 상허학회, "이태준과 현대소설사" 깊은샘 2004

      4 민충환, "이태준 연구" 깊은샘 1988

      1 휘문고보 문우회 (1) :

      2 최동호, "한국 근현대 학교 간행물 연구Ⅰ,Ⅱ" 서정시학 2009

      3 상허학회, "이태준과 현대소설사" 깊은샘 2004

      4 민충환, "이태준 연구" 깊은샘 198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20-01-02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STUDIES INSTITUTE -> Center for Korean Studies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4-01-14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Journal of Korean Studies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3 0.53 0.6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6 0.71 1.169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