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이선영, "현대문학비평자료집" 태학사 1993
2 장상환, "해방직후 진주지역의 정치변동" 경남사학회 1995
3 박정선, "해방기 조선문학가동맹의 문화대중화 담론과 조직적 실천" 한국어문학회 (93) : 2006
4 이희환, "해방기 인천의 지역문학과 매체" 영주어문학회 19 : 5-44, 2010
5 오문석, "해방기 시문학과 민족 담론의 재배치" 한국시학회 (25) : 29-49, 2009
6 박용찬, "해방기 대구 ․ 경북 지역 문학매체와 학생시단의 위상" 국어교육학회(since1969) (47) : 277-298, 2010
7 박태일, "한국지역문학의 논리" 청동거울 2004
8 박태일, "한국 근대 지역문학의 발견과 파성 설창수" 한국민족문화연구소 (1) : 223-258, 2009
9 박민규, "조선문학가동맹 ‘詩部’의 시 대중화 운동과 시론" 한국시학회 (33) : 183-217, 2012
10 "자유민보"
1 이선영, "현대문학비평자료집" 태학사 1993
2 장상환, "해방직후 진주지역의 정치변동" 경남사학회 1995
3 박정선, "해방기 조선문학가동맹의 문화대중화 담론과 조직적 실천" 한국어문학회 (93) : 2006
4 이희환, "해방기 인천의 지역문학과 매체" 영주어문학회 19 : 5-44, 2010
5 오문석, "해방기 시문학과 민족 담론의 재배치" 한국시학회 (25) : 29-49, 2009
6 박용찬, "해방기 대구 ․ 경북 지역 문학매체와 학생시단의 위상" 국어교육학회(since1969) (47) : 277-298, 2010
7 박태일, "한국지역문학의 논리" 청동거울 2004
8 박태일, "한국 근대 지역문학의 발견과 파성 설창수" 한국민족문화연구소 (1) : 223-258, 2009
9 박민규, "조선문학가동맹 ‘詩部’의 시 대중화 운동과 시론" 한국시학회 (33) : 183-217, 2012
10 "자유민보"
11 "영문"
12 "영남문학"
13 "연합신문"
14 김봉희, "설창수 문학의 이해" 경진 2011
15 "서울신문"
16 신형기, "북한문학사" 평민사 2000
17 권보드래, "민족문학과 한국문학" 민족문학사학회 (44) : 197-234, 2010
18 "문학"
19 "동아일보"
20 이순욱, "광복기 경남·부산 시인들의 문단 재편 욕망과 해방 1주년 기념시집 『날개』" 한국비평문학회 (43) : 189-226, 2012
21 송창우, "경남지역 문예지 연구" 慶南大學校 大學院 1996
22 유재천, "경남의 시인들 1" 박이정 2005
23 "건설기의 조선문학"
24 오태호, "『응향』결정서’를 둘러싼 해방기 문단의 인식론적 차이 연구" 중앙어문학회 (48) : 37-64, 2011
25 김한식, "『백민』과 민족문학- 해방 후 우익 문단의 형성" 상허학회 20 : 146-168, 2007
26 김재용, "[단행본] 북한 문학의 역사적 이해" 문학과지성사; 서울 1994
27 김현정, "1940년대 후반 대전지역 문학 연구" 어문연구학회 71 : 305-329,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