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기 성장기 경험이 친구관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 이들 관계에서 자기인식수준의 매개효과를 검증함으로서 긍정적인 친구관계를 향상시킬 수 있는...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4930211
서울 : 서울한영대학교, 2018
학위논문(석사) -- 서울한영대학교 대학원 , 상담심리학전공 , 2018
2018
한국어
186.3 판사항(6)
616.89 판사항(23)
서울
vii, 98장 ; 26 cm
지도교수: 정신섭
권말부록: 설문지
참고문헌: 장 77-88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기 성장기 경험이 친구관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 이들 관계에서 자기인식수준의 매개효과를 검증함으로서 긍정적인 친구관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기 성장기 경험이 친구관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 이들 관계에서 자기인식수준의 매개효과를 검증함으로서 긍정적인 친구관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 경기도에 소재한 중학교 1학년부터 3학년에 재학 중인 남, 여, 남・녀 공학 학생을 대상으로 사전조사와 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데이터화 하여 PASW Ver. 22.0을 이용하여 검증하였고 분석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성장기 경험이 친구관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청소년기 성장기 경험이 높을수록 친구관계가 좋아지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둘째, 청소년의 성장기 경험이 자기인식수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청소년의 성장기 경험이 높을수록 자기인식수준이 높은 효과를 나타내었다.
셋째, 청소년의 자기인식수준이 친구관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자기인식수준이 높을수록 긍정적인 친구관계가 형성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넷째, 청소년의 성장기 경험 중, 하위변인인 부모와의 의사소통과 부모와의 친밀감이 친구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자기인식수준은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에 따른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친구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청소년의 성장기 경험의 하위변인 중에서 부모와의 의사소통이 부모와의 친밀감보다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따라서 청소년의 긍정적인 친구관계를 높이기 위해서는 성장기 경험 중 부모와의 의사소통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둘째, 자기인식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청소년의 성장기 경험 중 부모와의 친밀감이 부모와의 의사소통보다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따라서 청소년의 자기인식수준을 높이기 위해서는 부모와의 친밀감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최대한 확대할 필요가 있다.
셋째, 청소년의 성장기 경험이 친구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자기인식수준은 매개효과가 있음이 검증되었다. 그러므로 자기인식수준을 높이기 위한 실질적인 프로그램 모형개발과 소통을 통한 부모와의 친밀감을 높일 수 있는 양육방법과 환경조성이 필요하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adolescents’ growing experience on their relationship with friends and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self-awareness in the relations, thereby to find out the way to improve the positive fri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adolescents’ growing experience on their relationship with friends and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self-awareness in the relations, thereby to find out the way to improve the positive friendship of them.
To achieve the goal, the pilot and main surveys of male and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in Seoul, Incheon, and Gyeonggi Province were conducted.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and verified with PASW Ver. 22.0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growing experience of the adolescents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friendship. Therefore, the improved growing experience can make their relationship with friends better.
Second, the growing experience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self-awareness. The more growing experience the adolescents had, the higher self-awareness they had.
Third, the adolescents’ self-awareness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friendship. Hence, the adolescents having high self-awareness may have the good relationship with friends.
Fourth, the mediating effect of self-awareness in the relations between the adolescents’ growing experience and the friendship was only significant in communication with parents and intimacy, among the sub-variables of the growing experience.
The discussion on the results is as follows. First, among the sub-variables of the adolescents’ growing experience that affected the friendship, communication with parents rather than intimacy had a bigger effect. Accordingly, we have to find out the ways to enhance the adolescents’ communication with parents among the growing experience to improve their relationship with friends.
Second, among the sub-variables of the growing experience that affected self-awareness, intimacy with parents rather than communication was verified to have a bigger effect. Therefore, we have to seek the ways to improve the adolescents’ intimacy with parents to raise their self-awareness.
Third, since it was verified that self-awareness had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 between the growing experience and friendship, developing the educational programs and fostering the environment is needed to raise the self-awareness.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