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이동준, "한국은 한반도 유일한 합법정부로 인정받지 못했다"
2 이현휘, "정당대변인의 “말”과 한국정치의 관습" (4) : 2009
3 허동현, "장면, 수첩에 세상을 담다(1948-1949)-대한민국, 그 첫걸음의 기억" 경인문화사 2016
4 박태균, "유엔의 48년 ‘유일 합법정부’ 승인 38도선 이남인가, 한반도 전체인가"
5 장영민, "미국공보원의 5?10총선거 선전에 관한 고찰" 한국근현대사학회 (41) : 125-169, 2007
6 김명섭, "대한제국, 대한민국 임시정부, 그리고 1948년 대한민국수립" 2016
7 강규형, "대한민국 수립(건국)의 연속성과 특별성: 대립이 아니라 단계로서의 인식을 위하여" 2016
8 김주환, "고등학교 한국근・현대사 교과서 논쟁과 개편방향 -5・10 총선거와 대한민국 정통성에 대한 서술을 중심으로-" 대한정치학회 17 (17): 21-50, 2009
9 제성호, "건국절 제정의 타당성과 추진방안" 법학연구원 39 (39): 193-221, 2015
10 박흥준, "건국과 유엔(UN)의 역할: 유엔의 승인과 의미" 2008
1 이동준, "한국은 한반도 유일한 합법정부로 인정받지 못했다"
2 이현휘, "정당대변인의 “말”과 한국정치의 관습" (4) : 2009
3 허동현, "장면, 수첩에 세상을 담다(1948-1949)-대한민국, 그 첫걸음의 기억" 경인문화사 2016
4 박태균, "유엔의 48년 ‘유일 합법정부’ 승인 38도선 이남인가, 한반도 전체인가"
5 장영민, "미국공보원의 5?10총선거 선전에 관한 고찰" 한국근현대사학회 (41) : 125-169, 2007
6 김명섭, "대한제국, 대한민국 임시정부, 그리고 1948년 대한민국수립" 2016
7 강규형, "대한민국 수립(건국)의 연속성과 특별성: 대립이 아니라 단계로서의 인식을 위하여" 2016
8 김주환, "고등학교 한국근・현대사 교과서 논쟁과 개편방향 -5・10 총선거와 대한민국 정통성에 대한 서술을 중심으로-" 대한정치학회 17 (17): 21-50, 2009
9 제성호, "건국절 제정의 타당성과 추진방안" 법학연구원 39 (39): 193-221, 2015
10 박흥준, "건국과 유엔(UN)의 역할: 유엔의 승인과 의미" 2008
11 신주백, "‘한반도 유일 합법정부’ 문제와 역사교육"
12 허동현, "UN이 인정한 ‘한반도 유일 합법정부 대한민국’의 의미와 가치" 2015
13 Price, John, "The ‘Cat's Paw’: Canada and the United Nations Temporary Commission on Korea" 85 (85): 2004
14 Gordenker, Leon, "The United Nations and the Peaceful Unification of Korea: The Politics of Field Operations, 1947-1950" Matinus Nijhoff 1959
15 Hauben, Jay, "Is the UN Role in Korea 1947-1953 the Model Being Repeated Today?"
16 "Foreign Relations of the United States, 1948, Vol. VI, The Far East and Australasia"
17 한시준, "1949년 ‘건국론’의 불성립과 파급 영향" 2016
18 김도민, "1948-50년 주한미대사관의 설치와 정무활동" 59 :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