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aim of this thesis is to illuminate the distinctive character of Yi-I``s theory of Gongfu (工夫) through the concept of haoranzhiqi (浩然之氣). Yi-I’s interpretation of haoranzhiqi (浩然之氣) has hardly received any attention until now...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1944931
2016
-
호연지기 ; 배(配) ; 무시뇌야(無是뇌也) ; 도의(道義) ; 혈기(血氣)와 호기(浩氣) ; haoranzhiqi (浩然之氣) ; pei ; wushineiye ; Dao (道) and Yi (義) ; xueqi and haoqi
100
KCI등재
학술저널
25-56(32쪽)
4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im of this thesis is to illuminate the distinctive character of Yi-I``s theory of Gongfu (工夫) through the concept of haoranzhiqi (浩然之氣). Yi-I’s interpretation of haoranzhiqi (浩然之氣) has hardly received any attention until now...
The aim of this thesis is to illuminate the distinctive character of Yi-I``s theory of Gongfu (工夫) through the concept of haoranzhiqi (浩然之氣). Yi-I’s interpretation of haoranzhiqi (浩然之氣) has hardly received any attention until now, especially in relation to the theory of Gongfu (工夫). When dealing with Yi-I``s haoranzhiqi (浩然之氣), the debate between Zhu Xi and Lu zu jian concerning its significance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Jeong Yakyong insists, without reasonable foundation, that the two philosophers take the same stance in their interpretation of haoranzhiqi (浩然之氣). Furthermore, the influences of Lu zu jian``s theory of haoranzhiqi (浩然之氣) can be found in some scholors of the 17C Chosun dynasty who protest to the Zhu Xi``s Li(理). A thorough comparison of the two theories brings resolve to the issue whether the academic identity of Yi-I differs from that of Zhu Xi or not.
참고문헌 (Reference)
1 진영첩, "주자문인" 대만학생서국 1982
2 朱熹, "주자語類" 中華書局 1994
3 문석윤, "조선 후기 성리학에서 『맹자(孟子)』 ‘호연장(浩然章)’ 논란과 그 의의 - 송시열(宋時烈)의 「호연장질의(浩然章質疑)」를 중심으로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47) : 3-21, 2009
4 陳來음, "송명 성리학" 예문서원 1997
5 "성리학에서 미발의 철학적 문제와 17세기 기호학파의 견해" 13 :
6 장림문, "기의 철학" 예문지 1992
7 朱熹, "近思錄集註" 商務印書館 1975
8 丁若鏞, "與猶堂全書" 아름출판사 1995
9 朱熹, "知言疑義"
10 李再, "栗谷全書"
1 진영첩, "주자문인" 대만학생서국 1982
2 朱熹, "주자語類" 中華書局 1994
3 문석윤, "조선 후기 성리학에서 『맹자(孟子)』 ‘호연장(浩然章)’ 논란과 그 의의 - 송시열(宋時烈)의 「호연장질의(浩然章質疑)」를 중심으로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47) : 3-21, 2009
4 陳來음, "송명 성리학" 예문서원 1997
5 "성리학에서 미발의 철학적 문제와 17세기 기호학파의 견해" 13 :
6 장림문, "기의 철학" 예문지 1992
7 朱熹, "近思錄集註" 商務印書館 1975
8 丁若鏞, "與猶堂全書" 아름출판사 1995
9 朱熹, "知言疑義"
10 李再, "栗谷全書"
11 朱熹, "朱熹集" 四川教育出版社 1996
12 錢穆, "朱子新學案" 三民書局 1992
13 黃宗羲, "未元學案" 華世出版社 1987
14 "新華字典" 商務印書館 2013
15 朱熹, "延平答問"
16 朱熹, "四書章句集注" 中華書局 2001
17 朱熹, "四書或問" 上海古籍出版社.安徽敎育出版社 2001
18 麵.程頤, "ニ程集" 漢京文化事業有限公司 1984
19 이봉규, "『延平答問』 논의를 통해 본 退溪學의 지평 -동아시아 유학사의 맥락과 연관하여" 국학연구원 (144) : 169-206, 2008
지(志),의(意)(염,(念),려(慮),사(思))에 관한 율곡(栗谷)의 공부론(工夫論) 연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 |
2010-06-23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율곡사상연구 -> 율곡학연구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YULGOK-STUDIES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7 | 0.57 | 0.5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9 | 0.47 | 1.667 | 0.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