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영지버섯 수집균의 배양적 특성 및 자실체 형태에 따른 구분 = Grouping of Ganoderma strains based on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fruitbody morpholog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6016288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영지속 (Ganoderma) 수집 균주의 유연관계를 밝히고자 균사체 생장, 후막포자 형성여부, 온도별 균사 생장, 자실체의 형태를 조사하였다. 영지의 균사생장은 115개 균주 중 68개 균주가 GCM에서 가장 양호하였으며, 균사생장은 균주간에 많은 변이가 있었다. 수집균주는 균총의 형태에 따라 28개 group으로 구분되었는데 대부분 CM3와 CM8 group에 속하였다. 이들 균사체를 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후막포자를 형성한 균주는 G. lucidum ASI 7022 등 16균주였으며, 국내에서 수집된 대부분의 G. lucidum 균주들은 후막포자를 형성하지 않았다. 한편 이들은 온도별 균사 생장 시험에서도 35℃ 고온에서 상대적으로 균사생장이 저조하였는데 미국에서 도입된 G. lucidum과 다른 특성을 보이고 G. tsugae와 유사한 특성이었다. 영지 115개 균주 중 톱밥배지에서 자실체가 발생한 균주는 97개 균주였고 형태는 편각형이 89.7%, 녹각형이 10.3% 였으며, 이러한 형태는 CO₂의 농도에 따라 변이가 있었다. 본 실험 결과 국내에서 수집된 G. lucidum 균주는 분류를 재검토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번역하기

      영지속 (Ganoderma) 수집 균주의 유연관계를 밝히고자 균사체 생장, 후막포자 형성여부, 온도별 균사 생장, 자실체의 형태를 조사하였다. 영지의 균사생장은 115개 균주 중 68개 균주가 GCM에서 가...

      영지속 (Ganoderma) 수집 균주의 유연관계를 밝히고자 균사체 생장, 후막포자 형성여부, 온도별 균사 생장, 자실체의 형태를 조사하였다. 영지의 균사생장은 115개 균주 중 68개 균주가 GCM에서 가장 양호하였으며, 균사생장은 균주간에 많은 변이가 있었다. 수집균주는 균총의 형태에 따라 28개 group으로 구분되었는데 대부분 CM3와 CM8 group에 속하였다. 이들 균사체를 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후막포자를 형성한 균주는 G. lucidum ASI 7022 등 16균주였으며, 국내에서 수집된 대부분의 G. lucidum 균주들은 후막포자를 형성하지 않았다. 한편 이들은 온도별 균사 생장 시험에서도 35℃ 고온에서 상대적으로 균사생장이 저조하였는데 미국에서 도입된 G. lucidum과 다른 특성을 보이고 G. tsugae와 유사한 특성이었다. 영지 115개 균주 중 톱밥배지에서 자실체가 발생한 균주는 97개 균주였고 형태는 편각형이 89.7%, 녹각형이 10.3% 였으며, 이러한 형태는 CO₂의 농도에 따라 변이가 있었다. 본 실험 결과 국내에서 수집된 G. lucidum 균주는 분류를 재검토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o establish a genetic relationships of collected Ganoderma strains, mycelium growth according to media and temperature, colony morphology, chlamydospore formation and fruitbody morphology were investigated. For the identification of optimal growth conditions of the strains, five different growth media and four different temperature were tested. GCM (Ganoderma complete medium) at 30℃ was the most effective for mycelial growth of 68 strains with more or less variation. The strains were divided into 28 groups based on their colony shapes, and most of them belong to CM3 or CM8 group. Chlamydospores were observed in the mycelia of 16 strains including ASI 7022 on microscope, but not in most G. lucidum domestic strains, which showed relatively lagging growth on 35℃ in mycelial growth experiment. These results were not similar to those of G. lucidum but those of G. tsugae imported from USA. The strains were cultivated on oak sawdust media to see their fruit body formation. Ninety-seven among 115 strains formed fruitbodies in sawdust cultivation. They showed two forms of fruitbodies, 89.7% of flat type or 10.3% of antler type, although these shapes can be affected by CO₂concentrat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native strains formerly considered to belong to G. lucidum have to be re-classified with further study.
      번역하기

      To establish a genetic relationships of collected Ganoderma strains, mycelium growth according to media and temperature, colony morphology, chlamydospore formation and fruitbody morphology were investigated. For the identification of optimal growth co...

      To establish a genetic relationships of collected Ganoderma strains, mycelium growth according to media and temperature, colony morphology, chlamydospore formation and fruitbody morphology were investigated. For the identification of optimal growth conditions of the strains, five different growth media and four different temperature were tested. GCM (Ganoderma complete medium) at 30℃ was the most effective for mycelial growth of 68 strains with more or less variation. The strains were divided into 28 groups based on their colony shapes, and most of them belong to CM3 or CM8 group. Chlamydospores were observed in the mycelia of 16 strains including ASI 7022 on microscope, but not in most G. lucidum domestic strains, which showed relatively lagging growth on 35℃ in mycelial growth experiment. These results were not similar to those of G. lucidum but those of G. tsugae imported from USA. The strains were cultivated on oak sawdust media to see their fruit body formation. Ninety-seven among 115 strains formed fruitbodies in sawdust cultivation. They showed two forms of fruitbodies, 89.7% of flat type or 10.3% of antler type, although these shapes can be affected by CO₂concentrat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native strains formerly considered to belong to G. lucidum have to be re-classified with further stud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재료 및 방법
      • 공시균주
      • 배지
      • 배양조건 및 자실체 생산
      • 결과 및 고찰
      • 재료 및 방법
      • 공시균주
      • 배지
      • 배양조건 및 자실체 생산
      • 결과 및 고찰
      • 배지 종류별 균사생장 특성
      • 균사체 형태
      • 균사체의 검경
      • 온도별 균사 생장
      • 자실체 형태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