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동"과 "서" 사이에서: 슬라브 형제국 우크라이나와 벨라루시의 국가발전전략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etween "East" and "West": Naitonal Development Strategies of the Slavic Brothers, Ukraine and Belarus

      In the post-Soviet era, one of the most controversial issues that former Soviet member states were faced with was finding the new identity of their own. Among the states that had been previously incorporated into the Soviet Union, Belarus and Ukraine are particularly noteworthy in terms of their efforts to rebuild national identity. The future steps that these two states will take can prove to be critical variables that will determine the fate of Russia and the Commonwealth of Independent States(CIS). In other words, national development strategies that Belarus and Ukraine will choose as they struggle to balance between Russia and Europe may tip the scale in the dynamics between the two contending forces. Belarus and Ukraine share a close tie with Russia and these three states were considered as the three pillars of the Soviet Union. Ironically, however, the two countries have taken two different approaches to attain the same goal of reshaping their identity, and they are currently implementing different national development strategies as well.

      Ever since they were declared an independent country in 1991 when the Soviet Union collapsed, Belarus and Ukraine have devised and carried out a series of policies intended to build national identity for a new era. As mentioned earlier, two countries have shown clear differences in the way they strived to achieve such goal. There is a stark contrast between the two nations in who are playing a leading role in reshaping national identity, what they demand, how the government is dealing with the issue and how the people are responding to it. This project intends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national strategies that are taking shape in Ukraine and Belarus and to identify challenges facing them.

      This project focused on the following aspects. Firstly, as for diplomatic field, this project investigates how Ukraine and Belarus establish the relations with outer world to secure their sovereignty and territory, and increase the national interest, while in affliction between the East and the West, and that what foreign strategies they adopt, considering various diplomatic options given to either the countries. As for political field, it is grasped what have been the patterns of political system in both countries, and the generality and specialty of their political environment through the diachronic analysis of the power change progressed with the changes in the relevant domestic and foreign policies since becoming independent in 1991. Besides, this project also pays attention to what domestic decision-making factors are for both administrations, between the East and West, to have to adopt national development strategies. As for economic field, this project analyzes what economy-opening strategy they have pursued while confronting a dilemma between the economic independency and dependency on Russia and the West. At the same time, this project attemptes to predict whether they would join CIS Economy Block or EU. As for social-cultural field, it would be investigated what are the contents of the national identity of Ukraine and Belarus, and how it would affect their national development strategies. Especially, this project attemps to examine how the recovery of their national identity, which has been led by both of the governments, has been progressed, such as the creation of myth, the re-description of their history and the construction of a new nation. Also the project focuses on how the identity of Ukraine and Belarus has been established in a new way.
      번역하기

      Between "East" and "West": Naitonal Development Strategies of the Slavic Brothers, Ukraine and Belarus In the post-Soviet era, one of the most controversial issues that former Soviet member states were faced with was finding the new identity of their...

      Between "East" and "West": Naitonal Development Strategies of the Slavic Brothers, Ukraine and Belarus

      In the post-Soviet era, one of the most controversial issues that former Soviet member states were faced with was finding the new identity of their own. Among the states that had been previously incorporated into the Soviet Union, Belarus and Ukraine are particularly noteworthy in terms of their efforts to rebuild national identity. The future steps that these two states will take can prove to be critical variables that will determine the fate of Russia and the Commonwealth of Independent States(CIS). In other words, national development strategies that Belarus and Ukraine will choose as they struggle to balance between Russia and Europe may tip the scale in the dynamics between the two contending forces. Belarus and Ukraine share a close tie with Russia and these three states were considered as the three pillars of the Soviet Union. Ironically, however, the two countries have taken two different approaches to attain the same goal of reshaping their identity, and they are currently implementing different national development strategies as well.

      Ever since they were declared an independent country in 1991 when the Soviet Union collapsed, Belarus and Ukraine have devised and carried out a series of policies intended to build national identity for a new era. As mentioned earlier, two countries have shown clear differences in the way they strived to achieve such goal. There is a stark contrast between the two nations in who are playing a leading role in reshaping national identity, what they demand, how the government is dealing with the issue and how the people are responding to it. This project intends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national strategies that are taking shape in Ukraine and Belarus and to identify challenges facing them.

      This project focused on the following aspects. Firstly, as for diplomatic field, this project investigates how Ukraine and Belarus establish the relations with outer world to secure their sovereignty and territory, and increase the national interest, while in affliction between the East and the West, and that what foreign strategies they adopt, considering various diplomatic options given to either the countries. As for political field, it is grasped what have been the patterns of political system in both countries, and the generality and specialty of their political environment through the diachronic analysis of the power change progressed with the changes in the relevant domestic and foreign policies since becoming independent in 1991. Besides, this project also pays attention to what domestic decision-making factors are for both administrations, between the East and West, to have to adopt national development strategies. As for economic field, this project analyzes what economy-opening strategy they have pursued while confronting a dilemma between the economic independency and dependency on Russia and the West. At the same time, this project attemptes to predict whether they would join CIS Economy Block or EU. As for social-cultural field, it would be investigated what are the contents of the national identity of Ukraine and Belarus, and how it would affect their national development strategies. Especially, this project attemps to examine how the recovery of their national identity, which has been led by both of the governments, has been progressed, such as the creation of myth, the re-description of their history and the construction of a new nation. Also the project focuses on how the identity of Ukraine and Belarus has been established in a new wa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1991년 소연방 해체이후 포스트소비에트 공간의 신생독립국으로 역사무대에 등장한 우크라이나와 벨라루시는 민주화, 시장화, 민족정체성 형성 등을 포함하는 국가건설 작업에 직면하게 되었다. 그러나 이들이 같은 동슬라브 형제국가임에도 불구하고, 지난 15년간 체제변혁과정에서 매우 상이한 성격의 국가발전전략을 추진해 왔다. 요컨대 신생주권국으로서 우크라이나와 벨라루시는 탈사회주의 정치경제체제 변혁의 경로와 궤적을 다르게 그려왔을 뿐만 아니라 대외적 지향성 또한 현저한 차이를 드러내고 있다.
      이러한 체제변혁의 형식과 내용의 차이는 일차적으로 양국 간 상이한 역사적 발전 과정, 민족 정체성, 지도자들의 국가관 및 세계관, 유권자들의 정치적 성향, 경제적 현실 등 대내적 요인에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이와 함께, 대외적 요인도 중요하게 작용한다. 우크라이나와 벨라루시가 자국의 정치경제체제를 수립 및 발전시켜 나감에 있어서 외부세계의 영향을 강하게 받는 지정학적 거점지대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우크라이나와 벨라루시 양국의 국가발전 전략은 고정된 것이 아니라 외부적 조건에 따라 언제든지 변동이 수반될 수 있는 취약성을 내포한다. 실제로 우크라이나와 벨라루시는 동(러시아)과 서 (서유럽) 사이의 전략적 요충지에 위치해 있어서 동쪽을 향해 세력권을 확대하려는 EU 및 NATO와 이를 저지하려는 러시아로부터 동시에 가해져 오는 다양한 압력과 회유에 항상 노출되어 있다. 이처럼 미국으로 대표되는 서방세계와 러시아 간 치열한 세력경쟁 구도 속에서 우크라이나와 벨라루시의 대외적 운신은 항상 쉽지 않은 상태이다.
      그렇다면 우크라이나와 벨라루시는 미․러 간 패권 경쟁이 엮어내는 지정학적(地政學的), 지경학적(地經學的) 변동에 어떻게 적응해 나갈 것인가 , "동"과 "서" 사이에서 강대국의 공세에 위축되어 있는 우크라이나와 벨라루시는 민족의 통합과 국가의 재건, 주권 및 영토적 안전보장, 경제적 번영, 민족적 정체성의 확립을 위해 과연 어떤 국가발전전략을 강구하고 선택할 것인가 이 두 가지 의문은 유라시아 공간에서 우크라이나와 벨라루시가 차지하는 지정학적 비중을 고려하고, 여기에 최근 이 두 나라와 관련된 에너지 분쟁을 ‘오버랩’(overlap)시킬 때 우리의 지적 호기심을 자극하기에 충분하다.
      이와 관련하여 본 연구과제의 목적은 2007년 1월 불가리아와 루마니아까지 확대된 EU 및 NATO의 동진 팽창, 그리고 이와 밀접한 함수관계에 있는 러시아-우크라이나 간 ‘가스분쟁’과 러시아-벨라루시 간 ‘송유관 분쟁’이라는 "클로즈업 된 장면"을 통해 "동"과 "서" 사이에 위치한 우크라이나와 벨라루시가 민족의 생존․번영․발전을 위해 추구하는 각각의 국가전략을 4개의 영역, 즉 외교안보, 정치, 경제, 사회문화 영역으로 세분하여 두 해에 걸쳐 연차적으로 밀도 높게 분석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탈 소비에트 공간에서 독립된 국제관계 행위자로 등장한 우크라이나와 벨라루시의 국가발전전략 분석을 통해 유라시아 국제질서와 그 동력, 나아가 그 변화를 일목요연하게 파악하게 해준다는 점에서 일차적으로 중요한 학문적 의미를 갖는다. 이밖에 우크라이나, 벨라루시, 러시아가 갖는 민족 정체성의 공통성과 차이성을 명료하게 분석하다는 점에서, 우크라이나 및 벨라루시에 대한 학술적 조명이 구미
      번역하기

      1991년 소연방 해체이후 포스트소비에트 공간의 신생독립국으로 역사무대에 등장한 우크라이나와 벨라루시는 민주화, 시장화, 민족정체성 형성 등을 포함하는 국가건설 작업에 직면하게 되...

      1991년 소연방 해체이후 포스트소비에트 공간의 신생독립국으로 역사무대에 등장한 우크라이나와 벨라루시는 민주화, 시장화, 민족정체성 형성 등을 포함하는 국가건설 작업에 직면하게 되었다. 그러나 이들이 같은 동슬라브 형제국가임에도 불구하고, 지난 15년간 체제변혁과정에서 매우 상이한 성격의 국가발전전략을 추진해 왔다. 요컨대 신생주권국으로서 우크라이나와 벨라루시는 탈사회주의 정치경제체제 변혁의 경로와 궤적을 다르게 그려왔을 뿐만 아니라 대외적 지향성 또한 현저한 차이를 드러내고 있다.
      이러한 체제변혁의 형식과 내용의 차이는 일차적으로 양국 간 상이한 역사적 발전 과정, 민족 정체성, 지도자들의 국가관 및 세계관, 유권자들의 정치적 성향, 경제적 현실 등 대내적 요인에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이와 함께, 대외적 요인도 중요하게 작용한다. 우크라이나와 벨라루시가 자국의 정치경제체제를 수립 및 발전시켜 나감에 있어서 외부세계의 영향을 강하게 받는 지정학적 거점지대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우크라이나와 벨라루시 양국의 국가발전 전략은 고정된 것이 아니라 외부적 조건에 따라 언제든지 변동이 수반될 수 있는 취약성을 내포한다. 실제로 우크라이나와 벨라루시는 동(러시아)과 서 (서유럽) 사이의 전략적 요충지에 위치해 있어서 동쪽을 향해 세력권을 확대하려는 EU 및 NATO와 이를 저지하려는 러시아로부터 동시에 가해져 오는 다양한 압력과 회유에 항상 노출되어 있다. 이처럼 미국으로 대표되는 서방세계와 러시아 간 치열한 세력경쟁 구도 속에서 우크라이나와 벨라루시의 대외적 운신은 항상 쉽지 않은 상태이다.
      그렇다면 우크라이나와 벨라루시는 미․러 간 패권 경쟁이 엮어내는 지정학적(地政學的), 지경학적(地經學的) 변동에 어떻게 적응해 나갈 것인가 , "동"과 "서" 사이에서 강대국의 공세에 위축되어 있는 우크라이나와 벨라루시는 민족의 통합과 국가의 재건, 주권 및 영토적 안전보장, 경제적 번영, 민족적 정체성의 확립을 위해 과연 어떤 국가발전전략을 강구하고 선택할 것인가 이 두 가지 의문은 유라시아 공간에서 우크라이나와 벨라루시가 차지하는 지정학적 비중을 고려하고, 여기에 최근 이 두 나라와 관련된 에너지 분쟁을 ‘오버랩’(overlap)시킬 때 우리의 지적 호기심을 자극하기에 충분하다.
      이와 관련하여 본 연구과제의 목적은 2007년 1월 불가리아와 루마니아까지 확대된 EU 및 NATO의 동진 팽창, 그리고 이와 밀접한 함수관계에 있는 러시아-우크라이나 간 ‘가스분쟁’과 러시아-벨라루시 간 ‘송유관 분쟁’이라는 "클로즈업 된 장면"을 통해 "동"과 "서" 사이에 위치한 우크라이나와 벨라루시가 민족의 생존․번영․발전을 위해 추구하는 각각의 국가전략을 4개의 영역, 즉 외교안보, 정치, 경제, 사회문화 영역으로 세분하여 두 해에 걸쳐 연차적으로 밀도 높게 분석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탈 소비에트 공간에서 독립된 국제관계 행위자로 등장한 우크라이나와 벨라루시의 국가발전전략 분석을 통해 유라시아 국제질서와 그 동력, 나아가 그 변화를 일목요연하게 파악하게 해준다는 점에서 일차적으로 중요한 학문적 의미를 갖는다. 이밖에 우크라이나, 벨라루시, 러시아가 갖는 민족 정체성의 공통성과 차이성을 명료하게 분석하다는 점에서, 우크라이나 및 벨라루시에 대한 학술적 조명이 구미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