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한반도에서의 서양의학서에 대한 번역 한반도(이하 한국으로 통일)에서 서양의학이 시술되기 시작한 것은 문헌에 의하면 1884년 미국인 선교의사였던 알렌(Horace N. Allen)에 의한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588855
-
2005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1.한반도에서의 서양의학서에 대한 번역 한반도(이하 한국으로 통일)에서 서양의학이 시술되기 시작한 것은 문헌에 의하면 1884년 미국인 선교의사였던 알렌(Horace N. Allen)에 의한 ...
1.한반도에서의 서양의학서에 대한 번역
한반도(이하 한국으로 통일)에서 서양의학이 시술되기 시작한 것은 문헌에 의하면 1884년 미국인 선교의사였던 알렌(Horace N. Allen)에 의한 것이 그 효시를 이룬다. 그 후 알렌의 후임으로 부임한 에비슨(Oliver R.Avisom)이 의학교육을 하는데 과학용어와 의학용어 등이 없어 곤란함을 느껴, 서양의학에 관한 의학서를 번역하기 시작한 것으로 알려져있다. 또한 에비슨은 당시 유명한 서양의학서인 그레이의 [해부학]외에도 일본에서 간행된 일본어 의학서적을 번역하였는데, 조사에 의하면 일본 서적을 저본으로 한 의학서는,『解剖學 卷一(1906)』,『新編生理敎科書 前(1906)』,『武氏産科學(1908)』등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므로 일본서적을 통해 영향을 받은 醫學用語의 실태를 규명하기 위해서 1906년에 제중원에서 번역 간행된 『解剖學 卷一』과 그 저본인『実用解剖学』에 나타나는 의학용어를 비교 그 영향과 관계 그리고 상위점등의 특징을 분명히 밝히고자 하였다. 2.『解剖學 卷一』(1906)』에 나타나는 의학용어를 살펴보고 일본에서 간행된『実用解剖学』의 용어와 그를 저본으로 번역된『解剖學 卷一(1906)』의 용어를 비교해보면 『実用解剖学』의 語彙가 그 번역서인 『解剖學 卷一』에 많은 영향을 주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당시 조선에서 간행된 『解剖學 卷一』는 선교의사였던 에비슨 과 그 통역을 담당했던 조수 金 弼淳의 공동작업으로 이루어졌는데, 원본의 독일어를 영어로 고친 예가 다음과 같이 나타난다.(骨組織(Feinerer Bau der Knochen)―『実用解剖学』);( 골조직(骨組織) BONE TISSUE―『解剖學 卷一』) 아마도 당시로는 번역한자어의 개념이 그때까지 확실한 의미를 갖고 정착된 용어 등이 아니었기에 『解剖學 卷一』의 번역자인 에비슨은 번역된 한자어의 개념을 영어로 다시 설명할 필요가 있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우선『解剖學 卷一』에 나타나는 의학용어 중 2자 한자어를 중심으로 일부를 발췌하면 다음과 같은 용례가 보인다.
距骨 鉅齒 肩胛 肩峰 犬齒 脛骨 頸筋 結節 莖狀 鼓膜 鼓室 組織 足骨 坐骨 中軸 趾骨 趾蹠 眞肋 眞椎 眞皮 蹠骨 尺骨 骨 椎管 椎弓 扁骨 下肢 下椽 海面 血管 血液 頰筋 虹彩 滑車 回旋 橫徑 後端 喉頭 胸腔 胸骨 胸廓 胸筋
이번 조사에 의하면 일본에서 간행된 서양의학서인 『実用解剖学』과 이것을 저본으로 하여 한국에서 번역 간행된『解剖學 卷一』의 내용은 반드시 일치한다고 할 수 없지만, 2자 한어를 시작으로 한자어로 표시된 많은 의학용어가 그대로 차용된 예가 상당수 나타난다.또한 위에 제시한 의학용어의 용례는 일본에서 처음 번역된『解体新書』이후,『重訂 解体新書(1798)』등에 나타나는 용어도 많은 수 포함돼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의학용어에 관한 어원 및 출전에 대한 연구로는, 중국에서 만들어진 일부 서양의학용어가 일본의 의학용어의 성립에 영향을 준 것을 밝힌 것으로 舒 志田씨 의 선행 연구 가 있어 그 안에 나타나는 용례와 일본의 의학번역서적을 비교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 용례가 보인다.
跟骨 肋骨 內臟 四肢 子宮 掌骨 脊髓 血液 胸骨 ―『醫學原始(1692)』
分泌 鎖骨 心臟 眼球 軟骨 榮養 腕骨 運動 隆起 子宮 椎骨 血液 ―『重訂解體新書(1798)』
그러므로 한국에서 번역 간행된『解剖學 卷一』에 나타나는 의학용어의 일부는 중국에서 만들어져, 일본에 영향을 주었으며, 그 후 한국에 그대로 차용된 것으로 유추되는 의학용어가 상당수 있을 추측할 수 있다.
또한 『解剖學 卷一』에 나타나는 2자 한자어로 구성된 의학용어 중 상당수는 현대어 사전에도 그 용례를 볼 수 있는데 일부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距骨 肩胛 肩峰 犬齒 脛骨 結節 鼓膜 鼓室 固有 骨盤 顆粒 軀幹 鉤狀 球狀 屈筋 棘狀 基底基質 開口 卵巢 內臟 肋骨 內皮 短骨 大翼 頭蓋 盲孔 眉間 半球 分泌 分割 四肢 上皮 舌骨聲帶 小頭 小翼 鎖骨 伸筋 眼球 眼窩 腋窩 軟骨 榮養 外科 運動 隆起 靭帶 子宮 赤髓 前額前葉 組織 坐骨 尺骨 脊髓 脊柱 錐體 恥骨 齒冠 血管 血液 頰筋 虹彩 滑車 橫徑 喉頭 胸腔胸骨 胸廓 胸椎
그러므로 근대 중국과 일본에서 서양의학의 도입과 더불어 만들어진 서양 의학용어의 한자 번역어 등은 그 후 중국이나 일본의 서적의 영향을 통해 당시 조선에 전달되고, 채택되어 현재에도 그대로 이어져 전문용어로서 사용되고 있으며 그 중 일부는 일반 용어로서 까지 사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