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FAI 환자의 30 Pelvic CT MPR 영상의 유용성 = A Study of MPR Images Usefulness to 30 Pelvic CT for FAI (Femoroacetabular Impingement Syndrome) Pati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58846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증가하고 있는 FAI(femoroacetabular impingement syndrome) 영상진단에 3D Pelvic CT가 임상적으로 많이 시도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CT MPR 영상들을 비교, 분석하여 FAI 진단에 있어 유용성을 알아보...

      최근 증가하고 있는 FAI(femoroacetabular impingement syndrome) 영상진단에 3D Pelvic CT가 임상적으로 많이 시도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CT MPR 영상들을 비교, 분석하여 FAI 진단에 있어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9년 7월부터 2010년 3월까지 본원으로 내원한 환자 중 FAI로 진단된 환자(Cam형 or Mixed형) 남자 14명, 여자 6명 총 2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방법은 일반 X-ray Hip joint axiolateral 영상과 3D Pelvic CT의 Oblique axial plane MPR영상과 Radial plane MPR 영상의 alpha angle을 측정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일반 X-ray Hip joint axiolateral 영상과 3D Pelvic CT의 Oblique axial plane MPR 영상, 그리고 Radial plane MPR 영상의 alpha angle을 측정하여 비교, 분석한 결과 평균값이 각각 69.9° 72.8°, 75.4°로 Radial plane MPR 영상의 alpha angle이 75.4°로 가장 높게 측정되었다.
      결론
      일반 X-ray의 Hip joint axiolateral 영상에서는 정확한 자세와 각도로 촬영하여야만 의미있는 측정치를 얻을 수 있었으며, 3D Pelvic CT의 Oblique axial plane MPR의 alpha angle은 Radial plane MPR 영상보다 평균 2.6° 작게 측정되어 FAI가 저 평가되었다. 따라서 Radial plane MPR 영상이 더욱 유용하므로 FAI의 진단에 효율적이라 사료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 Purpose Three-dimensional pelvic CT is often attempted clinically in the radiological diagnosis of FAI (femoroacetabular impingement syndrome), the incidence of which is increasing recently. Thus, this study purposed to examine the usefulness of C...

      I. Purpose
      Three-dimensional pelvic CT is often attempted clinically in the radiological diagnosis of FAI (femoroacetabular impingement syndrome), the incidence of which is increasing recently. Thus, this study purposed to examine the usefulness of CT MPR images in the diagnosis of FAI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of such images.
      II. Meterial and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0 patients (14 males and 6 females) diagnosed with FAI (cam type or mixed type) sampled from patients who had visited the hospital during the period from July 2009 to March 2010.
      As to the method, we measured and compared the alpha angle in ordinary X-ray hip joint axiolateral images, and in oblique axial plane MPR images and radial plane MPR images of 3D Pelvic CT.
      III. Result
      When che alpha angle was measured and compared for ordinary X-ray hip joint axiolateral images, and oblique axial plane MPR images and radial plane MPR images of 3D Pelvic CT, the mean alpha angle was 69.9°, 72.8° and 75.4°, respectively, so it was large&t as 75.4° in radial plane MPR images.
      IV. Conclusions
      In ordinary X-ray hip joint axiolateral images, meaningful measurements can be obtained only when the position and angle of imaging are accurated, in addition, the mean alpha angle in oblique axial plane MPR images of 3D Pelvic CT was 2.6° smaller than that in radial plane MPR images, and as a result, FAI was underestimated. Accordingly, radial plane MPR images are more useful and thus should be considered in the diagnosis of FAI.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Ⅰ. 서론
      • Ⅱ. 대상 및 방법
      • Ⅲ. 결과
      • Ⅳ. 고찰
      • Abstract
      • Ⅰ. 서론
      • Ⅱ. 대상 및 방법
      • Ⅲ. 결과
      • Ⅳ. 고찰
      • Ⅴ. 결론
      • 참고문헌
      • 국문초록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