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국부 평균과 공간 변화량을 이용한 개선된 에지 강조 오차확산법 = Improved Edge Enhanced Error Diffusion Halftoning Using Local Mean and Spatial Vari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94249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aper proposes the improved error diffusion halftoning system to enhance the edges using the spatial perceptual characteristics of the human visual system.The proposed method computes a spatial variation(SV), which is the difference between a pixel luminance and the average of its 3x3 neighborhood pixels' luminances weighted according to the spatial positioning. Information of edge enhancement(IEE) is computed using the SV and the local average luminance. The IEE is added to the quantizer's input pixel and feeds into the halftoning quantizer. The quantizer produces the halftone image having the enhanced edge.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method is compared with conventional methods by measuring the edge correlation. The halftone images by using the proposed method show better quality due to the enhanced edge. And the detailed edge is preserved in the halftone images by using the proposed method.
      번역하기

      The paper proposes the improved error diffusion halftoning system to enhance the edges using the spatial perceptual characteristics of the human visual system.The proposed method computes a spatial variation(SV), which is the difference between a pixe...

      The paper proposes the improved error diffusion halftoning system to enhance the edges using the spatial perceptual characteristics of the human visual system.The proposed method computes a spatial variation(SV), which is the difference between a pixel luminance and the average of its 3x3 neighborhood pixels' luminances weighted according to the spatial positioning. Information of edge enhancement(IEE) is computed using the SV and the local average luminance. The IEE is added to the quantizer's input pixel and feeds into the halftoning quantizer. The quantizer produces the halftone image having the enhanced edge.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method is compared with conventional methods by measuring the edge correlation. The halftone images by using the proposed method show better quality due to the enhanced edge. And the detailed edge is preserved in the halftone images by using the proposed metho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인간의 공간 지각 특성을 이용하여 에지를 강조하는 개선된 오차 확산 해프토닝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방법은 원 화소의 명암값과 3×3 블록의 평균 명암값과의 차이 값에 공간적 위치 값에 따른 가중치를 결합하여 공간 변화량(SV: spatial variation)을 구한다. SV와 국부 평균을 이용하여 계산한 에지 강조 정보량(IEE: information of edge enchancement)을 양자화기 입력에 더하여 해프톤 영상의 에지를 강조한다. 제안방법의 성능은 에지 상관도 평가 함수로 평가했으며 제안방법을 영상에 적용한 결과 이진 영상의 에지가 강조되어 시각적으로 선명한 결과를 보이며 미세한 에지도 잘 보존되었다.
      번역하기

      본 논문은 인간의 공간 지각 특성을 이용하여 에지를 강조하는 개선된 오차 확산 해프토닝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방법은 원 화소의 명암값과 3×3 블록의 평균 명암값과의 차이 값에 공간�...

      본 논문은 인간의 공간 지각 특성을 이용하여 에지를 강조하는 개선된 오차 확산 해프토닝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방법은 원 화소의 명암값과 3×3 블록의 평균 명암값과의 차이 값에 공간적 위치 값에 따른 가중치를 결합하여 공간 변화량(SV: spatial variation)을 구한다. SV와 국부 평균을 이용하여 계산한 에지 강조 정보량(IEE: information of edge enchancement)을 양자화기 입력에 더하여 해프톤 영상의 에지를 강조한다. 제안방법의 성능은 에지 상관도 평가 함수로 평가했으며 제안방법을 영상에 적용한 결과 이진 영상의 에지가 강조되어 시각적으로 선명한 결과를 보이며 미세한 에지도 잘 보존되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청색 잡음 마스크 임계값 변조를 이용한 에지 강조 오차 확산법" 36 (36): 72-82, 1999.

      2 "Principled halftoning based on models of human vision" 1666 : 109-121, 1992

      3 "Neural net based digital halftoning of images" 1 : -4, pp.507-510.1988.

      4 "Image halftoning using a visual model in error diffusion" 10 : 1714-1724, 1993.

      5 "Halftoning technique using genetic algorithm" 5 : 105-108, 1994.

      6 "Error diffusion with dynamically adjusted kernel" 5 : 113-116, .1994.04

      7 "Error diffusion algorithm with edge enchancement" no.12 : 1844-1850, 1991.

      8 "Distortion-Free of General Information with Edge Enhanced Error Diffusion Halftoning" 3046 : 281-290, 2004.

      9 "An adaptive algorithm for spatial scale" 17 (17): 75-77, 1976.

      10 "Adaptive error diffusion and its application in multiresolution rendering" 5 : 1184-1196, 1996.

      1 "청색 잡음 마스크 임계값 변조를 이용한 에지 강조 오차 확산법" 36 (36): 72-82, 1999.

      2 "Principled halftoning based on models of human vision" 1666 : 109-121, 1992

      3 "Neural net based digital halftoning of images" 1 : -4, pp.507-510.1988.

      4 "Image halftoning using a visual model in error diffusion" 10 : 1714-1724, 1993.

      5 "Halftoning technique using genetic algorithm" 5 : 105-108, 1994.

      6 "Error diffusion with dynamically adjusted kernel" 5 : 113-116, .1994.04

      7 "Error diffusion algorithm with edge enchancement" no.12 : 1844-1850, 1991.

      8 "Distortion-Free of General Information with Edge Enhanced Error Diffusion Halftoning" 3046 : 281-290, 2004.

      9 "An adaptive algorithm for spatial scale" 17 (17): 75-77, 1976.

      10 "Adaptive error diffusion and its application in multiresolution rendering" 5 : 1184-1196, 1996.

      11 "A survey of techniques for the display of continuous tone pictures on bilevel displays" 5 : 13-40, 197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5-04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 Contents Society ->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1 1.21 1.2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9 1.25 1.573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